갑자기 가슴 한편이 허전해지는 소식을 들은 것은 지난해 7월이다. 가장 존경하는 골퍼 톰 왓슨(Tom Watson·70)이 PGA 투어 챔피언스를 떠난다는 뉴스였다. 내가 태어난 해에 투어 생활을 시작한 그는 50년 가까이 선수로 활동해왔다. 그런 그가 마침내 투어를 떠난다는 소식이었다. 나는 귀를 의심했다. 뉴스가 발표되기 바로 직전에 믿을 수 없는 기록을 만들어낸 그였기에. 어떤 기록이냐고?
그는 그 주에 열린 메이저 대회에서 나흘 라운드 가운데 사흘 동안 ‘에이지 슈팅’을 기록했다. 골프를 즐기지 않더라도 에이지 슈팅이 뭔지 아는 독자는 많을 것이다. 골프에서 ‘자신의 나이보다 더 적은 타수로 18홀 경기를 마치는 것’ 아닌가? 평생 단 한 번만 기록해도 꿈같을 대기록이다. 어디 홀인원을 거기에 갖다 대랴! 그런데 한 대회에서 나흘 중 사흘이나 에이지 슈팅을 기록하다니! 그것도 ‘더 시니어 오픈’이라는 메이저 대회에서 말이다. 마법 같았다. 그는 첫날 69타를 쳤다. 그리고 이튿날 68타를 쳤고. 하루 건너뛰고 마지막 날 다시 68타를 기록했다. 최종 성적은 공동 17위. 70세 생일을 불과 한 달 남짓 남겨둔, 노장 중에서도 노장 골퍼의 기량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기록이었다.
아내 위해 골프를 내려놓다
그런데 그 대회가 끝나고 바로 은퇴 발표를 한 것이다. 앞으로 대회에 나오지 않겠다고. ‘아니, 이렇게 잘 치는데, 아직 칼날이 서 있는데 왜 벌써 은퇴를 한다는 거지?’ 뉴스를 좀 더 보고서야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아내 힐러리 왓슨이 췌장암으로 투병 중이어서 그렇다는 내용이었다. “아내와 함께하기 위해 투어를 떠난다”고 그가 밝혔다는 것이다. 그랬다. 그의 아내는 2017년에 췌장암 수술을 받았다. 기적처럼 완치됐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다시 재발한 것이다.
프로 골프대회 출전을 ‘투어’라고 부르지 않는가? 이곳저곳 돌아다니면서 경기를 하기 때문에 그렇다는 건 다 짐작할 것이다. 톰 왓슨이 에이지 슈팅을 연거푸 기록한 ‘더 시니어 오픈’은 영국에서 열렸다. 그의 집은 미국이고. 그는 ‘더 시니어 오픈’보다 한 달 앞서 일본에서 열린 ‘마스터 카드 재팬 챔피언십’에 참가할 때도 혼자였다. 미국에서 열리는 경기에 나갈 때도 집을 멀리 떠나기는 마찬가지였을 테고. 동부에서 서부로 남부에서 북부로. 그는 삶이 얼마 남지 않은 아내를 위해 인생의 전부와도 같은 골프를 내려놓기로 한 것이다. 젊은 시절 PGA 투어에서만 39승을 올린 톰 왓슨은 선수생활 마무리를 그렇게 했다. 10여 년 전 ‘2009 디 오픈’에서 59세란 나이로 우승 문턱까지 갔던 톰 왓슨. 그때 그 명승부를 잊을 수 없다. 내가 골프에 입문한 지 3년이 채 되지 않았을 때다. 그해 순수 독학으로 화이트 티에서 처음 언더파를 친 나는 골프에 더 깊이 빠져들었다. 그러던 어느 날 ‘디 오픈’ 마지막 날 중계방송을 봤다. 내게는 작은아버지뻘 되는 골퍼가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 아닌가? 그가 바로 톰 왓슨이었다. 그때만 해도 그가 누구인지 잘 알지 못했다. 그는 18번 홀에서 두어 발짝짜리 퍼팅을 남겨두고 있었다. “이 퍼팅이 들어가면 디 오픈 최고령 우승이 기록된다”고 해설자는 떨리는 목소리로 말했다. ‘디 오픈 최고령 우승 기록을 갈아치운다’는 것이 얼마나 큰 의미인지 솔직히 그때는 제대로 몰랐다. 그래도 덩달아 숨을 죽였다. 그는 차분히 퍼팅 루틴을 밟았고 스트로크를 했다.
우승보다 값진 ‘명승부’
아~! 내 탄식과 함께 그 퍼팅은 빗나가고 말았다. 그는 먼저 경기를 마치고 혹시나 하고 기다리던 선수와 연장전을 치렀다. 연장전은 네 홀을 쳐서 점수를 합산했다. 그때만 해도 그랬다. 한 홀씩 승부를 겨루는 ‘서든 데스’가 아니었다. 명색이 세계 최고 권위의 골프대회 ‘디 오픈’ 아니던가. 나는 누군지도 잘 모르면서 톰 왓슨을 응원했다. 결과는? 내 바람과는 반대였다. 그는 그렇게 우승을 놓쳤다. ‘디 오픈 최고령 우승 기록 경신’도 물거품이 됐고. “너무 지쳐서 연장전에서는 걸음을 떼기조차 힘들었다”고 그는 소감을 밝혔다.
그해 ‘디 오픈’ 소식에 우승자에 대한 내용은 별로 없었다. 온통 준우승을 한 톰 왓슨 얘기뿐이었다. 당시 우승자는 이런 말을 남겼다. “훗날 사람들은 2009년 디 오픈 우승자가 누군지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오히려 준우승을 한 선수가 톰 왓슨이라는 사실만 생각할 것이다”라고. 그가 한 예언은 맞았다. 나도 그해 우승자가 누군지 기억하지 못했다. 최근에 찾아보고 나서야 스튜어트 싱크라는 대선수였음을 알게 됐다. 그 명승부를 보고 나는 톰 왓슨을 존경하게 됐다. 내게 큰 감동을 준 그가 투어를 떠난다고 하니 서운했다.
얼마 전 그의 아내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다. 얼마나 상심이 클까. 사랑하는 배우자를 떠나보내고 인생의 전부였던 골프도 내려놓은 톰 왓슨. 이제 다시는 그가 경기하는 모습을 볼 수 없는 것일까? 문득 지난해 투어를 떠나면서 그가 남긴 마지막 말이 떠올랐다. “영원히 투어를 떠나는 것은 아니다.” 나는 믿기로 했다. 그가 투어 무대로 돌아오리라는 것을. 그래서 내게 다시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줄 것임을. 톰 왓슨이여, 돌아오라!
김용준한마디로 소개하면 ‘골프에 미친놈’이다.
서른여섯 살에 골프채를 처음 잡았고 독학으로 마흔네 살에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프로가 됐다. 제법 큰 사업을 하다가 아예 골프의 길로 나섰다. 영국왕립골프협회(R&A)가 주관하는 경기위원 교육과정 최고단계 타스(TARS, Tournament Administrators and Refree’s School)를 최우수 성적으로 수료했다. 그때 한 공부를 밑천으로 현재 KPGA 경기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평소 말이 앞선다고 욕을 먹는가 싶더니 그 재주를 살려 방송인으로도 변신했다. 골프채널코리아에서 골프 중계 해설을 맡고 있다. 골프쇼 ‘필드 위의 사냥꾼’에 출연해 예능 기질도 뽐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