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여 바로잡는 것도 앎이고, 침묵하여 바로잡는 것도 앎이다. 때문에 침묵을 안다 함은 말할 줄 아는 것과 같다.” ‘순자’(荀子)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남의 말 듣기를 거부하고, 제 말만 하는 사람들로 세상은 조용할 틈이 없다. 남 탓하며 분노를 키우는 사이, 정작 내 안의 소중한 무언가는 빛바래 간다. 정민(鄭珉·59) 한양대학교 교수는 침묵이 주는 힘, 고요함이 빚어내는 무늬를 잊어버린 세태에 안타까움을 느낀다. 이에 고요히 자신과 대면하는 시간을 갖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습정’을 펴냈다.
습정(習靜), 고요함[靜]을 익힌다[習]는 뜻이다. 갈수록 세상은 시끄럽고 혼란스러운데, 내면은 충족되지 않은 채 껍데기만 남은 듯하다. 정 교수는 이러한 공허함을 습정을 통해 채울 수 있다고 조언했다.
“고요함을 익히는 과정에서 비움과 채움의 길항작용이 일어나죠. 멈춤의 시간 없이 어디로 가는지, 어떻게 늙어가는지 모르고 정신없이 살다 보면, 어느 순간 허망해집니다. 그러다가 화가 나죠. 내가 얼마나 열심히 살았는데, 왜 나에게 불공정한가, 왜 나만 이런가 하고요. 그건 세상에 반항할 수 있는 자신만의 기제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바깥 소음에 일희일비하다 보면 내 안에 나는 없고, 남만 잔뜩 들어 있게 되죠. 스스로 균형을 잡지 않으면 그런 시비에 휩쓸릴 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것이 옳고 그른가, 무엇을 견제해야 하는가 등에 대한 가치판단을 위해서는 주체성 회복이 시급해요.”
그는 롤러코스터 같은 삶 속에서 강제로라도 멈춰 가라앉히는 시간을 보내야만 헛헛한 마음을 달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때의 고요함은 단순히 물리적인 침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한 인디언이 사냥하려고 달려가다가 갑자기 멈춰 서기에, 왜 그러냐고 물으니 이렇게 답했다고 해요. ‘내가 너무 빨리 와서 아직 마음이 따라오지 못해 기다린다’고요. 그 말처럼 마음은 저 멀리 두고 계속 달리기만 하면 허깨비 인생이 되는 거죠. 열심히 살았고 부지런히 노력했더라도 결국 몸과 마음이 따로 노는 거예요. 그러니 짧게라도 계속 습정의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그렇다고 입 다물고 어디 산으로 들어가라는 건 아녜요. 절간에 있어도 마음이 복잡하면 저잣거리에 있는 것과 같죠. 가끔 지하철에서 책을 읽을 때, 사람 많고 시끄러워도 깊이 몰두하면 나와 책만 놓인 듯한 경험을 하잖아요. 그런 내적인 고요함을 익히라는 뜻입니다.”
내 안에 고이는 습정의 독서
습정을 통해 나와 대면을 하다 보면 이런저런 고민이 생겨날 수 있다. 정 교수는 차고술금(借古述今, 옛것을 빌려 지금에 대해 말하다), 즉 과거의 경험에서 현재 문제의 해답을 얻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번 책에서도 저마다 처한 상황에 따라 귀감이 될 만한 옛글들을 모아 엮었다. 그는 번역가, 전달자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사설은 최소화하기로 했다. 글에 대한 가치판단 역시 독자의 몫이라 여긴 까닭에서다.
“저는 학자로서 일반인이 접하기 어려운 옛글을 찾아 해석하고 옮기죠. 이때 중립적으로 보여주려고만 하지, 어떤 의미를 강요하고 싶지는 않아요. 때론 제 의도와 다르게 글을 받아들이는 이들도 있죠. 그러나 그 역시도 읽는 사람의 판단에 맡길 뿐이에요. 요즘 자기계발서를 보면 스스로 통찰하도록 원리를 짚어주는 게 아니라 단편적인 요령만 가르치는 경우가 많더군요. 그런 글들은 계속 소비될 뿐, 내 안에 고이지는 않죠. 독자가 글을 곱씹어보고 자기 언어로 소화해야 비로소 책을 통한 성찰이 이뤄진다고 봐요. 또 그런 자기 언어를 갖게 됐을 때 자연히 바깥으로 향하는 말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자신의 말을 아낀 것 역시 독자의 습정을 위한 배려가 아닐까. 그가 무어라 말하지 않더라도, 책을 읽다 보면 침묵과 성찰의 필요성을 깨닫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은 자신의 가치를 점검하고 높여주는 계기로도 작용하고 있었다.
“책에 ‘자모인모’(自侮人侮)라는 말이 나옵니다. 내가 나를 업신여기니, 남도 나를 업신여긴다는 뜻이죠. 이는 ‘인필자모연후인모지’(人必自侮然後人侮之, ‘맹자’)와도 같은 맥락인데, 스스로 모욕하여 수양하지 않으면, 남도 나를 모멸하고 함부로 대한다는 거예요. ‘왜 사람들이 날 우습게 보는가’라는 생각이 들 때, 결국 그 원인 제공자는 바로 나 자신이라는 말입니다. 그러니 자꾸 남 탓하고 분노하기 이전에, 그 화를 내 안으로 돌려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거죠.”
가치판단을 위한 생각의 중심추
물론 모든 일의 책임을 자신에게 돌리기엔 너무 버거울 수 있다. 중요한 건 내 탓을 할 일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내는 안목. 이 역시 습정을 통해 키울 수 있는 덕목이다.
“가령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아무런 잘못이 없지만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불이익까지 모두 내 탓으로 여겨 감내하라는 건 무책임한 이야기죠. 반면에, 지하철을 탔는데 알고 보니 반대 방향인 경우가 있어요. 그럼 그때라도 내려야 합니다. 안 그러면 점점 목적지와 멀어져 엉뚱한 곳에 내리고 말죠. 그래놓고 나는 열심히 왔는데 왜 나를 이런 곳에 내려놓았느냐고 남 탓할 수는 없잖아요. 두 가지 경우는 다소 결이 다른 상황입니다. 무엇을 내 탓으로 돌려야 할지, 생각의 중심추를 바로잡아 현명하게 판단해야 해요. 아무리 스마트 시대이고, AI가 많은 것을 해결해준다지만, 이러한 문제는 인간의 통찰력이 발휘돼야 해결됩니다. 그런 점에서 앞으로도 인문학의 역할은 점점 커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인문학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예순에 이른 정 교수는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너무나 많다고 했다. 무엇부터 할지가 문제이지, 무엇을 할지에 대해 고민해본 적은 없다고. 어쩌면 그런 이야기가 누군가에게 부러움을 살지도 모르겠다. 그는 ‘할 것이 없다’고 토로하는 중장년이 혹 있다면 ‘자모인모’를 되새기길 권했다.
“무엇부터 할 것이냐, 즉 우선순위를 따질 때 몇 가지 질문을 해봅니다. 나만이 할 수 있는 일인가? 내가 하면 더 잘되는 일은 무엇일까? 이제 와서 남이 해도 똑같은 일을 할 필요는 없잖아요. 나의 가치를 올려주고 사회적으로도 도움이 되는 일이라야 의미 있죠. 자모인모, 내가 내 가치를 올려주지 않는데 누가 올려줄까요? 자기 고민 없이 남을 통해 내 일을 만들려고 하니, 소위 갑질을 하게 되는 겁니다. 결국 남의 노력을 뺏고 훔치는 짓인데, 그건 부끄러운 일이에요. 스스로 가치를 발견하고 거기서 힘을 발휘해야만, 비로소 남도 나를 가벼이 대하지 못하는 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