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쁘니까 행복한 게 많이 없어졌어요.”
지금 트로트 열풍에 휩싸인 대한민국에서 가장 바쁜 가수 진성(61)에게 행복에 관해 묻자 의외의 대답이 나왔다. 수십 년에 걸친 오랜 무명생활 끝에 ‘태클을 걸지마’, ‘보릿고개’, ‘안동역에서’ 등으로 육십이 넘어 전성기를 맞이한 그는 요즘 방송가의 가장 뜨거운 블루칩이다. 그런 그가 “행복한 게 많이 사라졌다”는 말을 한다. 거친 쇼비즈니스 속에서 살아야 하는 사람의 숙명적인 고민처럼, 혹은 그 누구보다 격렬한 인생 후반전을 치르는 이의 깨달음처럼 들려왔다. 진성의 목소리로 삶과 노래, 그리고 다짐에 관한 이야기를 직접 들어봤다.
“40년 동안 가수로 지내면서 히트곡 하나 내기 위해서 부단히 달려왔잖아요? 히트곡이 나오는 그 순간이 불행 끝 행복 시작인 줄 알았어요. 그런데 그게 아니더라고요.”
인터뷰를 하며 진성은 세상살이는 혼자가 아니라 여러 사람과 교류하며 해야 한다는 걸 모르고 지내왔다고 고백했다. 개인의 상상을 초월한 곳에서 통제하기 어려운 일들이 발생한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나는 에고이스트로 살았다”
“어린 시절부터 인간관계를 제대로 못했다”는 진성의 고백 뒤에는 그만의 깊은 상처가 자리하고 있었다. 1960년생인 그의 삶은 어린 시절부터 기구함의 연속이었다. 부모님이 가정불화로 집을 나간 후 고아가 됐다. 겨우 세 살 때였다. 할머니가 계시긴 했지만 중풍으로 얼마 못 살고 돌아가셨기에 그는 친척 집을 전전하며 살아야 했다. 열한 살 때 부모님이 극적으로 다시 만나 함께 살게 됐지만, 차라리 안 만나느니만 못한 관계였다. 결국 가족들은 다시 헤어졌다.
홀로 살아남아야 했던 그는 열일곱 살 때부터 야간업소에서 서빙을 하고 노래도 하는 거친 인생살이를 시작한다. 그러기엔 아직 어린 나이였다. 그러나 삶의 고단함은 이후 30여 년간 계속될 길고 긴 무명가수 생활의 출발이기도 했다. 2012년이 돼서야 ‘안동역에서’가 히트를 치고 안동역에 비석이 세워질 정도로 대성공을 했지만 그의 불운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청천벽력과도 같은 혈액암과 심장판막증 진단을 받았다. 진성은 성공의 기쁨을 누릴 틈도 없이 고된 투병 생활에 들어가야 했다.
그의 지나온 삶을 보면, 헤어진 부모에 대해, 그리고 끝없이 이어진 불운에 대해 원망하는 마음이 자라지 않으면 이상할 지경이었다. 그가 스스로 칭한 ‘에고이스트’란 거친 세상 속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쌓아야 했던 어떤 보호막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안동역에서’가 히트를 친 후 많은 사람이 그의 주변에 모이기 시작하자 그 보호막이 문제가 되었다.
맨주먹으로 이룬 성공
“체력적으로도 사람 관리가 안 되더라고요. 그러다 보니 오해를 많이 샀어요. 소개를 받아도 사람들을 관리해본 적이 없어요. 명함을 하나 받고 한두 달 전화 안 하면 상대가 저를 건방지다 생각하겠죠. 그런데 저는 그 사람과 가는 길이 달라요. 그게 제 아집이었지. 앞으로도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해요. 내 체력이 안 되니까. 그래서 그런 얘기를 들으면 ‘선생님이 싫어서 그러는 게 아니고 제 생활 자체로도 힘들다’고 말해주죠.”
진성의 ‘아집’에는 또 다른 근거가 있다. 지금의 자리에 올라오기까지 그는 수십 년 동안 오롯이 혼자서 싸우고 극복했다. 사람들을 동원하거나 지인들을 통해 노래해온 사람이 아니다. 민초처럼, 잡초처럼 질기게 살아남아 성공했다는 자존심이 지금의 그를 있게 한 원동력이다.
“무명생활이 너무 길어서 고생을 해도 ‘이게 고생인가?’ 하며 무심히 살았어요. 그게 제일 큰 장점이죠. 덕분에 트로트 막차를 타고 성공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물론 좌절감에 술도 많이 먹던 시절이 있었죠. 그러면서 인생을 허투루 살았다면 종착역에 아름답게 내리지 못했을 거예요. 다른 사람보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건전한 사고방식도 도움이 됐다고 봐요.”
모든 아름다움은 겸손에서 나온다
인터뷰 중에 진성은 거듭 뒤를 돌아보며 살아야 한다고 말했다. 인생의 최전성기인 지금 그가 보이는 이러한 조심스러움은 그 누구보다도 삶의 질곡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는 사람이기에 더욱 진정성 있게 들렸다.
“모든 아름다움은 겸손에서 나오는 거 같아요. 언제부턴가 저는 돌다리 두드리며 건너듯 조심하고 또 조심하면서 살았어요. 즐거움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그래도 오래 즐겁게 살기 위해 주위 사람들과의 관계를 아름답게 잘 끌고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스스로 뿌린 것들을 잘 가꿔야겠다는 책임감도 생기고요.”
갑작스럽게 성공한 사람들이 종종 보이는 소위 ‘졸부 의식’을 그는 철저히 경계한다. 그래서 사람들에 대해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려고 노력한다.
“인간은 성격이 다 다르고 자기 입장에서 생각하는 경우가 많죠. 상대를 먼저 배려하기보다는 내 기준으로 해석하고 판단하니 안 맞을 때가 있어요. 대중들과 함께하는 연예인은 이런 태도를 특히 조심해야 한다고 봐요. 그래서 다가오는 사람을 파악할 줄 아는 혜안이 있어야 하고, 마음도 자주 비워야겠죠.”
부부관계는 서로에 대한 믿음으로 이뤄져야
나이가 들어도 인간관계가 여전히 서투르다고 말하는 진성이 가장 아끼는 이는 그의 곁에 있는 아내다. 오십이 돼서야 아내와 공식적인 부부가 됐다. 그는 고마워하면서도 미안해했다.
“아내는 저만 보고 살아온 사람이에요. 그런데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힘든 것들이 있고 그것 때문에 집에 와서 괴로워할 때가 있죠. 그런 모습을 안 보이려고 해도 저도 모르게 내색을 하곤 했죠. 그래도 다 받아주는 아내를 보며 스스로 이겨낼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었습니다. 제가 아팠을 때 누구보다도 헌신적인 아내가 있었기에 이 자리까지 오게 된 거라고 생각해요. 아내를 생각하면 그냥 고마워요.”
그에게 있어 아내는 이제 믿음의 대상인 듯했다. 그래서인지 그가 말하는 부부관계의 해법도 믿음에 있었다.
“요즘은 옛날보다 이혼율이 높잖아요. 사랑이 바탕에 깔려야겠지만, 50대가 넘어가면 정열적인 사랑은 퇴색하죠. 그래서 성공적인 부부관계란 서로에 대한 믿음을 얼마나 쌓았느냐에 달려 있는 것 같아요. 젊을 때는 함부로 말했어도 나이가 들면 그런 버릇을 지양하고 상대를 아낄 줄 아는 마음도 생겨야 하지 않을까요? 뜨거운 사랑은 아니어도 배려와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사랑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