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문학이 대세다. ◯◯인문학이라고 이름 붙이기도 따라서 유행이다. 그런데 성만 한 인문학이 또 있을까? 사람이 태어나 살아가고, 사랑을 나누고, 종족을 남기고, 늙고 죽어가는 이야기는 다 성에 있다. 성을 한자로는 ‘性’이라 표기하는데 어찌 이렇게 적확한 표현을 찾았는지 놀랍기까지 하다. 성은 그 사람의 본성을 뜻한다. ‘배정원의 성 인문학’은 역사, 예술, 사회 등 사람이 만들어가는 문화 속에서 성을 재미있게 풀어볼 것이다.
<행복한성문화센터 대표, 대한성학회장, 보건학 박사, 배정원TV 유튜버>
춘화는 아주 오래전부터 세계 어느 나라에나 있어 왔지만, 특히 한·중·일 동아시아의 춘화는 나라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다.
우리 한국의 춘화는 일본이나 중국만큼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자연스러우면서도 그림 자체에 이야기가 들어 있어 마치 문인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다. 다만 일본이나 중국처럼 목판화로 춘화를 인쇄하지 않았기에 자료가 그렇게 많진 않다. 일본의 춘화는 모네, 드가, 르누아르, 고흐 등 서양의 인상파 화가들에게 강한 영향을 주어 신비로운 동양에 대한 동경심을 품게 했다. 또 화려한 색채, 배경, 의복의 섬세한 표현과 함께 성기 페티시즘이라 불릴 만큼 성기를 거대하게 그리고 노골적이고 구체적으로 그려냈으며, 그림에 괴기스럽거나 우스꽝스럽거나 엉뚱한 상상력이 담겨 있어 보는 맛이 유난하다.
중국의 춘화 역시 우리나라나 일본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중국 춘화에 대한 기록은 한나라 시대부터 찾아볼 수 있으니 그 역사가 유구하며, 경제적으로 안정기를 누렸던 명나라 시대의 작품이 유난히 많다. 원래 춘화(春畵)는 춘궁비화(春宮秘畵), 즉 동궁이 사는 춘궁의 비밀스런 이야기를 의미할 정도로 왕가의 성 교육용에서 출발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태자는 해가 뜨는 쪽인 동궁에 기거했으며, 동궁을 식물의 생장이 시작되는 봄을 뜻하는 춘(春)자를 넣어 춘궁이라 불렀다.
중국의 춘화는 왕가와 귀족, 호족, 부호 등 경제적·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의 전유물로 발전해왔으며, 자연스레 그들의 생활 속 성을 반영하고 있다.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성은 유교와 도교의 생활 철학 속에서 정립되었다. 특히 도교의 철학이 강력한 영향을 미쳐 성적 접촉을 통해 신체의 에너지를 운용함으로써 남자의 건강과 장수를 도모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여기에서 방중술과 양생술이 나왔다. 흔히 이야기하는 접이불루(接以不淚, 여러 여성과 관계하되 사정을 참음으로써 여자의 음기로 남자의 양기를 보한다는 것)와 환정보뇌(還精補腦, 사정을 참음으로써 그 정기가 척추를 통해 뇌로 흘러 들어가서 뇌를 강화한다고 믿는 것)가 대표적인 방중술과 양생술이다.
또한 중국 춘화에서는 남녀가 자연 속에서 거리낌 없이 관계를 갖고, 누군가가 곁에서 지켜보는 가운데 관계를 맺기도 하며, 심지어 하녀들이 두 사람의 몸을 밀거나 들어서 성관계를 돕기까지 하는데, 이것은 모두 그림 속 주인공이 부호이거나 권력가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누가 지켜보거나 말거나 남녀의 표정은 느긋하기만 하다.
각설하고, 이번에 가져온 그림은 ‘마상 섹스’다. 이 그림은 보는 이로 하여금 슬며시 웃음을 빼물게 한다.
남녀가 말 위에서 한창 섹스를 하고 있으며, 하얀 말은 갈기를 휘날리며 신나게 달리는 중이다. 두 남녀의 머리 스타일과 복색을 보니 청나라 때 그려진 그림이다. 여자는 귀부인인 듯 연미(가발과 굵은 철사, 융단이나 비단 같은 천을 이용해 제비꼬리같이 만든)를 이용해 화려한 머리 장식을 하고 있고, 채찍을 사용하느라 팔을 한껏 들어 올린 탓에 넓은 통의 소매 사이로 보이는 양 손목엔 팔찌를 하고 있으며, 귀에도 역시 커다란 보석이 달린 귀걸이를 하고 있다. 아마도 그 당시 유행하던 진주나 비취로 만든 귀걸이겠다. 옆트임이 있는 청대의 저고리만 입은 채 하체는 벌거벗은(아마도 달려오는 중에 벗어 던졌을까?) 여자는 가죽으로 만든 부츠 같은 신발을 신고 있어 무척 호방하게 보인다. 그녀가 타고 앉은 남자는 아무 옷도 입고 있지 않은데, 변발을 한 것으로 보아 청나라 남자다.
달리는 말 위에 누워서도 균형을 잘 잡고 있는 남자는 배가 불뚝 나오고 가슴이 좀 처졌으나 평소에 승마와 사냥 등에 익숙한 자로,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임에 분명하다.
이 그림이 눈길을 끄는 것은 말 위에서의 섹스라는 흔하지 않은 배경 때문이다. 춘화의 배경은 부호나 왕족의 거대한 저택 실내나 넓은 정원 등 정적인 공간이 많은데, 달리는 말 위에서 그것도 여성 상위의 섹스라니!
더욱 재미있는 것은 두 사람의 표정이다. 남녀의 자세로 보아 그들은 이미 삽입 중인데, 말이 달리며 오르내리는 것을 이용해 여자는 오르가슴에 이른 것 같기도 하다. 발갛게 달아오른 얼굴로 여자는 더한 극치감을 쫓아, 심지어 달리는 말에 채찍을 마구 휘두르고 있지 않은가! 그에 반해 남자의 표정은 극치감이라기보단 얼핏 두려움마저 서려 있는 듯 보인다. 이 여자가 황홀감에 취하다 못해 말이 아니라 자신에게 채찍을 내려칠까 두려운 걸까? 아니면 고정된 침상에서의 여성 상위조차 자칫 각도 조절에 삐끗하면 남자의 생명과도 같은 음경이 골절되기도 하는데, 마구 흔들리는 달리는 말 위에서의 삽입이라니 쾌감보다 걱정이 앞서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남자 위에 올라앉은 여자는 신이 났는데, 설상가상 남자는 떨어질까 봐 말의 몸뚱이를 손으로 부여잡느라 여간 노심초사가 아니겠다.
황홀함으로 발그레 달아오른 그녀를 태운 말은 높이 솟아오른 거대한 바위 사이로 질주 중이다. 바위 주변의 나무들도 싱싱하게 하늘로 가지를 향하고 있는 것을 보니 남자의 발기는 아무 문제 없이 청청하게 진행 중이지만, 남자는 지금 무슨 생각을 할까? 아니 생각이란 걸 하면 발기가 사라질지도 모르니, 그냥 그녀가 충분히 만족해서 말을 세울 때까지 ‘말아, 달려라’ 하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어쩌면 좋은가? 성에 관해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낫습니다. 이는 물이 불을 이기는 이치와 같지요’라고 했던 소녀(素女)의 말처럼 달리는 말을 타고 여성 상위를 즐기는 그녀는 멈출 기색이 보이지 않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