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만 스쳐도 아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통풍(痛風). 더운 여름에 저녁 시간까지 이어지는 올림픽 경기를 ‘집관’(집에서 관람)하며 치킨과 맥주를 찾는 시니어에게 ‘통풍주의보’가 내려졌다.
육류와 술을 즐기는 중장년 남성에게 주로 나타나는 통풍은 몸이 요산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고 이게 쌓이면서 발생한다. 요산이 관절의 연골, 힘줄과 주위 조직에 과다하게 쌓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이 통풍이다.
통풍의 주요 증상은 날카로운 통증이다. 이상헌 건국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엄지발가락, 발목, 무릎 같은 관절 중 한 군데가 붉게 부어오르고 열이 느껴지다 통증이 심하게 나타난다”며 “통증은 몇 시간 뒤 사라지기도 하지만 대개 2~3일 정도, 심하면 몇 주 이어지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상헌 교수는 “통풍은 갑자기 발생하기 쉽다. 대개 심한 운동을 하고 난 다음이나 과음과 고단백 음식을 섭취한 다음날 아침이나 큰 수술 뒤에 잘 나타난다”고 덧붙였다.
치킨과 맥주가 통풍을 부르는 음식으로 지적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통풍을 일으키는 요산은 단백질의 일종인 퓨린이 체내 대사과정을 거치며 만들어진다. 치킨을 비롯한 육류는 고단백식품이고, 맥주의 주원료인 맥주보리도 퓨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게다가 맥주는 일반적으로 소주보다 많은 양을 섭취하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치맥’보다는 가족력이나 체질이 통풍에 더 치명적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아예 무관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복용하고 있는 약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이상헌 교수는 “뇌졸중이나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복용하는 아스피린이나 이뇨제, 베타차단제도 요산 배설을 억제해 요산 농도를 높인다”고 말했다.
특히 여름에는 날이 더워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탈수로 인한 혈액에서 요산 농도가 더 높아져 통풍을 주의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8년과 2019년 통풍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7월에 가장 많았다. 이에 전문가들은 물을 매일 10~12컵 정도 마시는 습관이 통풍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식습관도 조절해야 한다. 이상헌 교수는 먼저 금주를 권했다. 알코올은 요산을 만들고 배설을 억제해 통풍에는 매우 좋지 않다. 또 콜라와 사이다 같이 당분이 많은 탄산음료도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교수는 “내장류와 고기, 고등어 같은 푸른 생선, 멸치처럼 퓨린 함량이 높은 음식도 가급적 줄이는 것이 좋다”며 “다만 알코올처럼 꾸준하게 먹는 것은 아니어서 민감하게 대응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