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시니어 시장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기사입력 2024-05-17 08:37 기사수정 2024-05-17 08:37

2023 실버문화페스티벌에서 만난 중년의 직장인은 이렇게 말했다. “시니어 비즈니스를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고령화가 진행되는 상황에 자본이 중장년에게 있으니 앞으로 시니어 시장이 커지는 건 불 보듯 뻔한 거 아닙니까?”

일리 있는 분석이다. 우리나라는 빠른 고령화를 겪고 있다. 2025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2028년에는 1차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세대가 모두 고령인구에 포함된다. 향후 매년 80~90만 명 내외의 베이비부머가 고령층에 유입될 예정이다.

▶ 2022년 기준, 전체 가계 자산의 27% 보유

▶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

▶ 2028년 1차 베이비부머 모두 고령인구 포함

고령화에 따른 시니어 보유 자산의 확대는 다양한 시니어 비즈니스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시니어케어 시장의 확대와 금융회사의 대응’에 따르면, 2030년 시니어 시장은 215조 원 규모까지 커질 전망이다.

▶ 2030년 시니어 시장 215조 원 규모로 확대 전망

시니어 업계에는 그야말로 뜨거운 열기가 느껴진다. 고령화에 따른 인구절벽, 돌봄 등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면서 이를 돌파구로 삼기 위한 업계의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 전문가들은 머리를 맞대는 중이다. 기업 멤버십 서비스 ‘브라보 시니어 프렌즈’도 그중 하나. 오는 6월 5일에는 중장년 소비자를 대상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는 기업, 기관 대표자, 실무자를 초대해 런칭 기념 세미나를 진행할 예정이다.

실버 산업계의 뜨거운 열기가 느껴지는 지금, 중장년 소비자를 대상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는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에디터 조형애 디자인 유영현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중장년을 위한 취미 플랫폼5
    [카드뉴스] 중장년을 위한 취미 플랫폼5
  • [카드뉴스] 배우 김지영 “나이 든 제가 좋아요”
    [카드뉴스] 배우 김지영 “나이 든 제가 좋아요”
  • [카드뉴스] 베스트셀러 작가가 읽는 책
    [카드뉴스] 베스트셀러 작가가 읽는 책
  • [카드뉴스] 나이 들면 필요한 영양제 5가지
    [카드뉴스] 나이 들면 필요한 영양제 5가지
  • [카드뉴스] 디자이너가 반한 동묘 스타일
    [카드뉴스] 디자이너가 반한 동묘 스타일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