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우리나라 직장인 실질 은퇴 나이

기사입력 2024-05-24 08:50 기사수정 2024-05-24 08:50

“정년은 무슨… 마흔 이후도 잘 그려지지 않아.”

친구는 말했다. 친구의 불안은 통계와 궤를 같이 한다. 사람들은 주된 직장에서의 은퇴 시점을 법적 정년인 60세 전후로 인식하고 있지만, 실질 은퇴 나이는 그와 큰 괴리를 보이고 있다.

실질 은퇴 연령*

49.3세

*202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실제 은퇴 나이는 예상 은퇴 나이보다 15년 이상 빠르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가구의 희망 은퇴 나이도 현실과 10년 이상 차이를 보인다. 2023년 실제 은퇴 나이는 50대가 49세, 60대가 57세, 70대가 63세로 연령대별 희망 은퇴 나이보다 10년 이상 일렀다.

KB금융지주 경영보고서의 희망 은퇴 나이 VS 실제 은퇴 나이

50대: 희망 65세, 실제 49세

60대: 희망 70세, 실제 57세

70대: 희망 77세, 실제 63세

노후 자금 상황은 이런 현실에 발맞추지 못하고 있다. 경제적 노후 준비를 시작하지 못한 비중이 50%를 웃돌고 있다. 그 시기는 평균 45세로 5년 전 조사에 비해 1년여 늦어졌다.

경제적 노후 준비 시작한 시기

평균: 45세

아직 시작하지 못했다: 52.5%

주된 일자리 퇴직 연령 49.3세. 법적 정년과 큰 괴리를 보이고 있다.

에디터 조형애 디자인 이은숙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시니어 시장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카드뉴스] 시니어 시장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카드뉴스] 중장년을 위한 취미 플랫폼5
    [카드뉴스] 중장년을 위한 취미 플랫폼5
  • [카드뉴스] 삶의 흔적을 담은 손
    [카드뉴스] 삶의 흔적을 담은 손
  • [카드뉴스] 베스트셀러 작가가 읽는 책
    [카드뉴스] 베스트셀러 작가가 읽는 책
  • [카드뉴스] 나이 들면 필요한 영양제 5가지
    [카드뉴스] 나이 들면 필요한 영양제 5가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