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인구 첫 1000만 명 돌파…전체 인구의 19.5%

입력 2025-07-29 13:36

통계청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작년 11월 기준

(통계청)
(통계청)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전체 인구의 20%정도를 차지하며 고령화로 인한 인구 구조에 변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11월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12만2000명으로, 전체 인구(5180만6000명)의 19.5%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51만 3000명 늘었다.

고령인구 비중은 2019년 15.1%에서 2024년 19.5%로 5년간 4.4%포인트(p) 상승했다. 같은 기간 15세 미만 인구는 12.3%에서 10.5%로 줄었고,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72.6%에서 70.0%로 감소했다.

고령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2024년 186.7로 전년(171.0) 대비 15.7포인트 증가했다. 2015년(111.2)과 비교하면 10년 새 75.5포인트나 상승했다. 노령화지수는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수를 나타내는 지표다.

지역별로 보면 노령화지수는 영남권(215.0)이 가장 높았고, 수도권(167.2)이 가장 낮았다. 특히 농촌 고령화가 두드러진 면 지역의 노령화지수는 524.8로, 동 지역(166.1)의 3.2배 수준에 달했다.

고령자 있는 가구 700만 돌파…전체 32% 차지

(통계청)
(통계청)
고령화 현상은 가구 구조에도 나타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700만 가구를 돌파했다.

작년 11월 기준 고령자가 포함된 일반가구는 713만7000가구로 전체 일반가구(2229만4000가구)의 32%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681만3000가구)보다 32만4000가구 증가한 수치다.

고령자가구는 고령자 1인 또는 2인 이상이 포함된 가구를 뜻한다. 이 중에서도 고령자 1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도 400만 가구를 넘었다. 같은 기간 기준으로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400만7000가구로, 고령자 1인가구는 228만9000가구로 각각 집계됐다. 2019년 대비 고령자 1인 가구는 49.3%,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47.3%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남은 고령자가 있는 가구 비율(41.9%), 고령자만 있는 가구 비율(26.5%), 고령자 1인가구 비율(16.1%) 모두 가장 높았다.

고령자가 있는 가구 비율은 전남에 이어 경북(38.7%), 전북(38.6%) 순으로 높았다. 반면 서울(30.2%), 인천(29.5%), 경기(28.1%) 등 수도권은 전국 평균(32.0%)보다 낮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통계청 “고령자 돌봄 사각지대 찾는다”
    통계청 “고령자 돌봄 사각지대 찾는다”
  • 경제활동 60세 이상이 청년층 보다 많아, 통계청 “2000년 이후 처음”
    경제활동 60세 이상이 청년층 보다 많아, 통계청 “2000년 이후 처음”
  • “韓 고령인구, 20년 후쯤에 日 추월 전망…에이지테크 시장 주목”
    “韓 고령인구, 20년 후쯤에 日 추월 전망…에이지테크 시장 주목”
  • 서초구, 경로식당 중식비 인상 전액 지원…단가 4000원 유지
    서초구, 경로식당 중식비 인상 전액 지원…단가 4000원 유지
  • 사단법인 올, 제11회 ‘젠더와 법 아카데미’ 개최
    사단법인 올, 제11회 ‘젠더와 법 아카데미’ 개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