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운전자 90%가 모르는 후방카메라 색깔별 의미

요즘 차량 후방에 기본 장착된 카메라에 파란, 노란, 빨간 선이 있어 후진할 때 시야 확보에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 색ᄁᆞᆯ들의 의미가 있다는 걸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파란 선(혹은 초록 선)은 차량이 현재 조향 장치를 중립 상태(핸들이 직진 유지 상태)에 놓았을 때 후진 시 차량이 직진할 경우의 예상 경로를 보여준다. 이 선을 통해 운전자는 차체가 얼마나 직선에 가까이 정렬돼 있는지 알 수 있다.
노란 선은 핸들을 돌렸을 때 차량이 실제로 움직일 궤적을 예측해 보여주는 선이다. 핸들 각도에 따라 노란 선도 같이 휘며, 만약 이 예측 경로가 장애물이나 옆 차량에 너무 가깝다면 즉시 방향을 조정해야 한다. 좁은 공간이나 경사진 주차장 등에서 특히 유용하다.
빨간 선은 후방카메라 기준으로 차량 뒤끝에서 약 50cm 정도 떨어진 경고선의 역할을 한다. 많은 운전자가 이 빨간 선이 벽 등에 ‘닿는 지점’인 줄 알지만 실제로는 어느 정도 여유가 있다. 특히 SUV나 왜건, 해치백처럼 트렁크가 뒤로 넓게 열리는 차량의 경우, 빽빽하게 주차하면 트렁크가 열리지 않거나 파손 위험이 있다. 빨간선은 이런 위험을 줄이기 위한 최소한의 여유 거리를 확보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 세 가지 선의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하기만 해도 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서울 노인 10명 중 4명, 요양시설 부족으로 타 지역 이동 불가피

서울시는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었지만 정작 노인 요양시설은 주민 반대와 혐오 인식에 가로막혀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서울에 거주하는 노인 10명 중 4명은 주소지는 서울임에도 불구하고 타 지역 요양시설에 입소해야 하는 현실이다.
최근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재건축·재개발 사업 과정에서 요양시설을 ‘혐오시설’로 규정하며 건립 반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치매센터 건립 반대’ ‘집값 하락 우려’ 등의 현수막이 내걸리며 주민들의 집단 반발이 이어지고, 그 결과 신규 요양시설 건립 건수는 최근 3년 새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기요양 등급을 인정받은 노인 인구는 같은 기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그러나 수요에 비해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대기자가 수백 명에 달하는 시설도 늘어나는 추세다. 한 시립 요양시설의 경우 대기 인원이 900명에 이르러 사실상 입소가 불가능한 상태다.
서울에 거주하면서도 서울 내 요양시설에 입소할 수 있는 비율은 65%에 불과하다. 즉, 나머지 35% 가량의 노인은 낯선 타 지역 시설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서울시의 제도 개선 논의도 지지부진하다. 서울시는 재건축·재개발 시 요양시설을 의무 설치하는 법 개정을 추진했지만, 주민 수용성 부족과 이해관계 충돌 등으로 인해 3년째 표류 중이다.
전문가들은 노인복지시설을 어린이집처럼 공공시설 수준으로 의무화하는 제도적 장치와 함께, 지역사회의 인식 개선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