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새로운 가족’ 유형

입력 2025-10-01 07:00

[가족을 말하다 관계를 잇다] 달라진 사회 다채로운 가족

우리 사회에서 가족의 모습이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 전통적인 부부·자녀 중심의 가구에서 벗어나 1인 가구, 황혼이혼, 다문화, 비친족, 조손가족,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 등 다양한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조사 통계는 이러한 변화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인 흐름임을 보여준다.


이웃들의 다양한 가구 형태

▲1. 1인 가구(비혼·사별)전체의 33.6%, 고령층에서 압도적 증가. 2. 황혼이혼60세 이상 이혼 2배 이상 증가. 3. 조손가족/기타 가족이혼·사별로 인해 유동적으로 증가. 4. 다문화가족전체 37만 가구 이상, 2세대의 성장 본격화. 5. 비친족 가구전체의 2.4% 차지, 최근 눈에 띄는 증가세. 6. 반려동물 동거 가구고령층·1인 가구에서 가족 대체 기능 강화(AI 생성형 이미지)
▲1. 1인 가구(비혼·사별)전체의 33.6%, 고령층에서 압도적 증가. 2. 황혼이혼60세 이상 이혼 2배 이상 증가. 3. 조손가족/기타 가족이혼·사별로 인해 유동적으로 증가. 4. 다문화가족전체 37만 가구 이상, 2세대의 성장 본격화. 5. 비친족 가구전체의 2.4% 차지, 최근 눈에 띄는 증가세. 6. 반려동물 동거 가구고령층·1인 가구에서 가족 대체 기능 강화(AI 생성형 이미지)

1인 가구는 이미 전체 가구의 3분의 1을 넘어섰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보건복지포럼’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인 가구는 2010년 417만 4000여 가구에서 2023년 734만 1000여 가구로 1.7배 증가했으며, 전체 가구의 33.6%를 차지한다. 특히 80대 이상에서는 같은 기간 2.98배나 증가했고, 50대와 60대도 2배가량 증가했다.

그 배경으로 미혼이나 사별이 아닌, 혼인의 안정성 약화가 눈에 띈다. 50세 이상 중·노년층의 이혼, 이른바 ‘황혼이혼’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전체 이혼 건수에서 중장년층 비중이 커졌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1인 가구의 2010년과 2020년 혼인 상태를 비교하면, 60대의 이혼은 19.7%에서 44.1%로 2.24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70대는 3.35배, 80대 이상은 2배가 늘었다.

한편 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조부모와 손자녀가 함께 사는 조손가족이 꾸준히 발생하며 가족 다양성의 한 축으로 부각되고 있다. 친족 가운데 조카나 사촌 등과 사는 경우의 기타 가족도 존재한다.

다문화가족 역시 우리 사회에 깊이 자리 잡았다. 2024년 기준 37만 1066가구로 추정하며, 국제결혼 부부들의 자녀 세대가 본격적으로 성장기(평균 연령 12.13세)에 접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런가 하면 혈연이나 혼인 관계 없이 남과 함께 사는 비친족 가구도 늘고 있다. 2022년 기준 전체 일반 가구의 2.4%인 약 110만 명이 비친족 가구에 속한다. 2021년 대비 증가율은 8.7%로, 같은 기간 1인 가구 증가율(4.7%)보다 높다. 이 가운데 2인 가구가 가장 많으며, 남성과 여성으로 이루어진 가구는 45.1%를 차지한다.

또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경향도 뚜렷하다. 농림축산식품부의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2024년 반려동물 양육 가구 비율은 전체의 28.6%로 증가하고 있다. 공식 조사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반려동물은 ‘가족의 대체·확장 형태’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1인 가구와 고령 가구에서 반려동물은 돌봄과 정서적 관계망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공존하는 현실은 이제 예외가 아니라 보편적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정책과 사회 서비스가 전통적 가족만을 전제로 설계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동시에 사회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상 가족’이라는 단일한 기준에서 벗어나, 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분위기가 필요하다. 서로 다른 가족이 존중받을 때 비로소 사회적 연대와 포용이 가능해진다.


출처: 중고령자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과제 : 1인 가구를 중심으로, 202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WDI 이슈페이퍼 : 조손가족의 특성과 정책 지원 방안, 2025,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WDI 이슈페이퍼 : 조손가족 통합적 지원 방안 연구, 2024,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4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2025,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WDI 이슈페이퍼 : 비친족가구 그들은 누구인가?, 2025,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4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2025, 농림축산식품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챗GPT 브리핑] 서울시, 50대 황혼이혼 급증…고령자가구 30% 外
    [챗GPT 브리핑] 서울시, 50대 황혼이혼 급증…고령자가구 30% 外
  • 나이든 서울 가족, 고령자 가구 125만 넘어…7년만에 31만여가구 늘어
    나이든 서울 가족, 고령자 가구 125만 넘어…7년만에 31만여가구 늘어
  • 의지할 곳 없는 노후 공포 “가족 없어도 믿고 맡길 수 있어야”
    의지할 곳 없는 노후 공포 “가족 없어도 믿고 맡길 수 있어야”
  • 65세 이상 인구 첫 1000만 명 돌파…전체 인구의 19.5%
    65세 이상 인구 첫 1000만 명 돌파…전체 인구의 19.5%
  • 서울시, 초고령사회 대비 2040년까지 3조4000억 원 투입
    서울시, 초고령사회 대비 2040년까지 3조4000억 원 투입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