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자전거 열풍이 불며 라이딩을 즐기는 사람이 많아졌다. 앉아서 페달을 밟는 자전거는 무릎과 발목 등 하체에 부담을 주지 않고 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운동으로 꼽힌다. 그럼에도 충분한 준비 없이 자전거를 탔다가는 무릎과 허벅지에 통증이 생기고, 넘어지거나 충돌하면 어깨를 다칠 위험도 있다. 자전거를 타기 전 스트레칭으로 충분히 해야 함은 물론, 꼼꼼한 장비점검은 필수다. 체형에 맞춰 자전거 안장과 페달, 핸들의 높이를 조절해야 안전하게 자전거를 즐길 수 있다.
"무리한 자전거타기, 무릎 불안정증·연골연화증 유발"
자전거는 조깅, 마라톤, 등산 등 다른 유산소 운동보다 무릎에 체중이 적게 실려 관절염 환자들도 무리 없이 할 수 있는 운동이다. 그러나 운동을 하지 않다가 갑자기 격하게 자전거를 타면 통증이 생기고, 자칫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준비운동과 더불어 자전거를 탈 때는 먼저 장비를 점검하고 기타 안전용품들도 준비해야 한다. 아무리 짧은 코스라도 헬멧과 고글, 장갑 등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자전거는 타이어 공기압, 브레이크, 체인 등 기본적인 장비 상태를 점검하고 안장과 핸들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만약 자전거를 탄 후 무릎이 아팠던 경험이 있다면 안장의 높이가 안 맞았을 가능성이 크다. 페달이 가장 아래쪽에 있을 때 무릎이 살짝 구부러지는 정도가 가장 알맞은 높이다.
날개병원 이태연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안장이 너무 높으면 다리가 완전히 펴져 무릎 뒤쪽에 통증이 생길 수 있고, 반대로 낮으면 무릎이 많이 굽혀져 무릎 앞쪽이 아플 수 있다”며, “보통 페달링의 최저점에서 무릎 각도가 20~25도가 되도록 안장 높이를 맞추는 것이 적당하다”고 설명했다.
안장 높이가 키와 맞지 않아 무릎에 부담이 가면 무릎 불안정증이나 연골연화증이 유발된다. 무릎 불안정증은 인대가 약해져 관절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못해 느슨한 느낌이 들고 사소한 충격에도 삐끗하는 질환이다. 습관성으로 진행될 경우, 연골이나 인대 손상 등 더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퇴행성관절염을 앞당기게 된다. 연골연화증은 무릎뼈인 슬개골과 허벅지뼈인 대퇴골의 마찰로 인해 슬개골 연골이 자극돼 말랑해지고 붓는 질환이다. 자전거 페달링 동작에서 두 뼈가 빠르고 반복적으로 마찰하면 연골연화증이 생기게 된다. 연골은 한 번 손상되면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고 점차 손상 부위가 커지며, 장기적으로는 무릎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페달을 밟는 양다리는 무릎과 직선이 되도록 해야 한다. 다리를 팔자로 벌리거나 반대로 모으고 페달을 밟으면 무릎과 발목 관절에 무리가 간다. 오르막길을 갈 때는 무리해서 페달을 밟으면 허벅지와 무릎 관절에 큰 부담이 가므로 기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어깨 통증 3개월 이상 지속되면 MRI 등 정밀 검사 필요"
핸들 높이는 상체 피로와 관련 있다. 핸들은 안장과 수평이 되도록 조절해야 한다. 간혹 속도를 내기 위해 핸들을 안장보다 낮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체를 너무 낮추면 어깨와 목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핸들을 잡을 때는 팔꿈치를 가볍게 구부린 상태로 잡고, 손목에 힘이 많이 들어가지 않아야 지면의 충격이 팔에 덜 전해진다.
자전거를 타다 넘어지거나 부딪히면 팔이나 어깨를 다칠 위험이 크다. 특히 어깨가 빠졌을 때는 즉시 응급실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이 원장은 “어깨 충돌 후 X레이 상으로는 뼈에 금이 가거나 골절이 확인되지 않아도 통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되면,어깨 힘줄인 회전근개가 손상됐을 수 있으므로 MRI(자기공명영상) 같은 정밀 검사를 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전거를 타기 전 스트레칭은 필수다. 5~10분간 손목과 발목, 무릎 관절을 부드럽게 돌려주고, 근육 경련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리 근육도 충분히 풀어준다. 자전거를 타고 난 후에는 힘이 많이 들어갔던 부위를 중심으로 5분 정도 마무리 스트레칭을 해준다. 귀가 후에는 샤워, 목욕 등을 하면서 근육과 관절을 이완시켜주는 것도 좋다. 무릎이 부었을 때는 냉찜질을 하면서 쉬고, 그래도 통증이 계속될 때는 정확한 검사로 부상 여부를 진단받는 것이 좋다.
<도움말: 날개병원 이태연 원장 (정형외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