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정균 국토교통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사무국 재결1과장
언뜻,오던 길을 돌아다보면캄캄한 어둠뿐…그 어둠 속에서수없이 명멸하며빛나는 별빛을 바라보면지금껏 온 길을가난한 마음으로다시 돌아가야 한다는 사실에우린 놀라고 만다그대!우리 돌아가는 길에한 줌의 주먹밥 대신한 줌의 사랑이라도정성스레 쥐어 준다면온 세상 어둠이 폭죽을 터뜨릴 텐데…오늘도까만 밤,수없이 많은 별을 헤며이 캄캄한 우리 마음 속에황금장미 만발한별씨를 심어 본다.
관련 뉴스
-
- 65세 이상 인구 첫 1000만 명 돌파…전체 인구의 19.5%
-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전체 인구의 20%정도를 차지하며 고령화로 인한 인구 구조에 변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11월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12만2000명으로, 전체 인구(5180만6000명)의 19.5%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51만 3000명 늘었다. 고령인구 비중은 2019년 15.1%에서 2024년 19.5%로 5년간 4.4%포인트(p) 상승했다. 같은 기간 15세 미만 인구는 12.3%에서 1
-
- 사단법인 올, 제11회 ‘젠더와 법 아카데미’ 개최
- 사단법인 올(이사장 전효숙)은 오는 9월 2일부터 제11회 ‘젠더와 법 아카데미’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아카데미는 매주 화요일 저녁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통해 총 5주간 진행된다. ‘젠더와 법 아카데미’는 성평등과 인권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젠더법 관련 이론과 실무례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법조인과 관련 종사자는 물론, 젠더 이슈에 관심 있는 일반 시민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수강 신청은 사단법인 올 홈페이지 또는 행사 포스터의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다. 올해 아카데미는 인공
-
- “종활, 남은 삶 위한 당연한 것”… 日 고령층 죽음준비 인식 변화
- 7월 29일 일본의 ‘생전정리의 날’을 맞아 일본 내 최대 시니어 커뮤니티 플랫폼 ‘취미인클럽(趣味人倶楽部)’을 운영하는 기업 오스탄스가 발표한 ‘종활(終活) 인식 조사’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종활이란 노년에 인생의 마무리를 준비하는 활동으로, 일본에서는 이미 보편적인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오스탄스는 시니어 인플루언서 커뮤니티에서 출발해 콘텐츠 제작, 데이터 기반 리서치, 마케팅까지 아우르는 고령사회 특화 기업이다. 특히 50~70대를 주축으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 ‘취미인클럽’은 약 40만 명 이상이 가입해 있으며, 고령층의
-
- [챗GPT 브리핑] 2072년 건보료율 3.5배, 장기요양보험료는 15배 급등 전망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서울시, 노인복지관 토요일 오후 6시까지 연장 운영 서울시가 시립노인종합복지관의 토요일 운영시간을 오후 1시에서 6시까지 연장한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따라 토요일 오후에도 당구, 탁구, 게이트볼 등 복지관 내 체육활동이 가능해진다. 서울시는 또 취약계층의 수도요금 감면 사각지대도 해소하기로 했다. ◆2072년 건보료율 3.5배, 장기요양보험료는 15배 급등 전망 저출산고령사회
-
- [주택연금 백문백답] ⑬법적 나이 바뀌어도 주택연금은 그대로
- 과거 세대의 경우 출생신고가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다보니 종종 주민등록번호상의 나이를 변경하는 경우가 생긴다. 일부는 국민연금 수령 시기를 고려해서 나이를 정정하는 경우도 있다. 주택연금은 국민연금과 달리 법적 나이를 정정하더라도 연금 월지급금에는 변동이 없다. 다만, 나이가 바뀐 사실은 주택금융공사(주금공)에 반드시 통지해야 한다. 29일 주금공에 따르면 주택연금 가입자의 생년월일 변경 건수는 연 10건 내외로 집계되고 있다. 중요한 건 법적으로 나이를 정정해도 주택연금 월지급금은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주택연금 월지급금은 ‘한국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