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은 대중에게 ‘우리나라 전통의학의 원리에 따라 처방되며, 풀과 뿌리, 꽃과 잎 등을 재료로 주로 사용하고 독성이 거의 없으며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이란 인식이 깊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이 한약이라는 것은 중병을 고칠 때도 많지만, 옛적부터 사람을 죽이는 목적으로 사용된 일도 많았다.
한약에는 독약도 분명히 존재했고 건강에 해를 주기 위한 역할도 분명히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독약으로 사용될 만한 한약은 그 당시에도 위험하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임금이 내리는 사약이나 기타 음모와 얽힌 암살 등에 사용되던 것이 주류였다. 그러다보니 왕실이 자연스럽게 얽히게 된다. 아마 어진 임금이 재위할 때에는 사약을 내리거나 임금이 독살될 위기에 처하는 일이 별로 없었을 것이고, 그 반대로 폭군이 집권할 때는 한약을 독약으로 사용하는 일이 빈번하지 않았을까? 여기에 폭군으로 알려진 두 명의 임금을 소재로 다룬 영화를 통해서 한약을 독약으로 썼던 예를 보고자 한다.
포악한 연산군과 ‘사약’
영화 <왕의 남자>는 연산군의 불우한 기억과 그에 기인한 파격적인 행보에 초점을 맞춘다. 연산군과 장녹수의 관계를 풍자하다 의금부에 끌려가서 모진 문초를 받던 남사당패의 광대 우두머리 장생과 그의 일행은 연산군 앞에서 공연을 하는 기회를 얻게 되지만, 극도로 긴장해 공연 전체를 망치고 목숨이 위험해지는 위기를 맞는다. 이때 그들을 구한 공길의 기지로 위기를 벗어나게 되고, 이들을 맘에 들어 한 연산은 희락원이라는 궁내 거처까지 마련해준다. 그러나 광대들에게 뜻하지 않은 일이 발생한다. 왕을 위한 연회에서 왕의 충신인 처선이 꾸민 모종의 사건이 후세에 깊이 기억되는 장면을 만들게 된다.
왕의 권한을 견제하던 삼사를 풍자하면서 탐관오리를 비난하던 정극 공연에 이어서 여인들의 암투에 의해 왕이 후궁에게 사약을 내리는 장면이 난데없이 등장한 것이다. 이에 생모의 비극을 떠올린 연산이 분격하여 그 자리에서 선왕의 후궁들을 칼로 벤다. 사약을 마시고 비통한 죽음을 맞이한 장면이 바로 연산의 포악한 성정을 그대로 드러내게 한 발단이었다. 조선시대에 사약을 만드는 기관은 내의원이었고, 그 조성은 비밀로 되어 있어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대략 비상, 부자, 초오, 천남성 등의 약재를 섞어서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상은 비소화합물로 유해중금속인 비소를 일정량 이상 복용하면 구토, 설사와 함께 중추신경이 마비되게 한다. 부자에 들어있는 아코니틴이라는 성분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하여 근육마비를 일으킨다. 초오는 관절염, 신경통 등에 잘 사용되는 한약이지만, 과용하면 맥박을 떨어뜨리고 심장에 영향을 주어 호흡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혼수상태에 빠지게 하는 작용이 있다. 천남성도 코니인이라는 맹독성 성분을 가지고 있다. 특히 초오는 약을 달인 후에 식지 않은 상태에서 마시면 흡수가 빨라지면서 더 강한 독성을 나타낸다.
이런 한약의 부작용을 경감시켜 주고 이들이 가진 약성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 소금물에 담갔다가 찌거나, 강한 열에 오랫동안 쪄내는 과정을 거쳐 독성을 떨어뜨린 후 약재로 사용하곤 했다. 이렇게 강한 독성에도 불구하고 부자와 초오의 효과는 확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자는 한의학적으로 심장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남성의 성기능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거나 관절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 초오도 진통에 탁월한 효능을 갖고 있으므로 아코니틴의 함량만 기준이하로 떨어뜨려 줄 수 있다면 진통제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
한의학적으로는 이 초오의 독성을 낮추기 위해서 북어와 같이 끓이곤 했는데, 실제로 북어와 초오를 끓이면 신기하게도 독성 성분인 아코니틴의 함량이 떨어진다.
‘아편증기’에 중독된 광해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는 광해군을 폭군이 아닌, 따뜻한 마음을 가졌으나 그것을 잃고 살았던 사람으로 묘사하며 풀어나간다. 실제로도 역사가들은 광해군을 폭정과 방탕에 빠진 임금으로만 여기지 않는다.
그보다 그가 추구했던 실리적인 외교가 당시 조정의 대세였던 신하들의 전통적인 보수적 외교관을 극복하지 못해 그가 폐위된 원인으로 분석한다. 이 깊은 얘기의 출발은 영화 말미에 광해군이 진짜인지 아니면 그가 자리를 비운 틈에 그의 역할을 대신했던 평민 하선인지를 가리는 중요한 증거인 그의 왼쪽 가슴에 난 깊은 흉터와 관계가 있다.
임진왜란의 격랑 속에서 피란가기에 바빴던 선조는 신하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조정을 하나 더 만드는 분조(分朝)의 결정을 내렸다. 당시 적자가 없던 선조는 후궁 소생인 광해를 세자로 책봉하여 그 중임을 맡기게 된다. 동분서주하며 민심을 수습하고 군량을 모으며 몸을 바쳐 국난을 극복하는데 큰 공을 세웠던 세자라면 당연히 전란이 끝난 후 어깨를 펴며 왕위를 계승했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이런 상식과는 달리 선조는 광해를 외면하고, 그 후 태어난 어린 영창대군이 그의 발목을 잡을 상황이 되면서 광해의 마음속에는 비정과 말할 수 없는 피해의식이 자리 잡았을 것이다. 영화의 서두에서 자신을 반대하는 신하들의 살해 위협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광해의 외침으로 시작한 이 의심의 굴레는 결국 영화가 끝날 때 즈음에는 자신을 대신하여 자리를 지켜준 하선을 죽여 입을 닫게 하라는 명령으로까지 이어진다.
현대판 왕과 거지로도 관객들에게 입소문이 바짝 났던 이 영화는 명분만을 앞세우고 양반들의 권익만 중요시했던 조정에 대한 따끔한 하선의 질책으로 맛깔이 난다. 현실에서도 후금에 대한 철저한 실리외교로 더 큰 전란을 막는 결과도 가져왔지만 말이다. 극중에서 이조판서는 광해군을 제거할 목적으로 이조정랑을 시켜 당시 왕의 총애를 받던 한상궁에게 밀명을 내린다.
바로 광해군에게 아편증기를 쐬게 하여 서서히 중독시켜 극적인 죽음보다 자연사로 보이게 하려한다. 이것을 모른 광해는 아편에 중독되어 의식을 잃게 되고 그 공백을 내보일 수 없는 도승지 허균과 조내관은 광해와 모습이 흡사한 하선을 몰래 끌어들여 왕의 역할을 맡긴다.
아편은 양귀비의 덜 익은 열매에서 얻는 유액을 건조하여 굳힌 것이다. 주성분으로는 모르핀, 파파베린, 코데인, 테바인 등 진경과 진통작용을 가진 성분들이 많다. 지방에서도 집안에서 복통 등에 사용할 목적으로 조금씩 재배하다가 마약법 위반으로 단속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중에서 모르핀은 계속 사용할 경우, 나중에 심각한 금단증상을 가져온다. 때문에 모르핀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서 단번에 모르핀을 끊게 되면 금단증상이 격하게 밀려들면서 환자의 생명이 위험해지기도 한다.
따라서 이런 현상을 피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반응을 지켜보면서 서서히 줄여나가야 할 정도로 모르핀은 중독증상이 강하다. 주사제로 사용되기 때문에 민간에서 제조하는 것이 거의 힘들고, 말기암환자나 담석통 등의 진정에 사용되거나 전장에서 심각한 부상의 즉각적인 대응에 사용한다. 때문에 모르핀의 유출사고는 모르핀을 보관하는 곳이 병원과 전쟁이 일어나는 전장의 한복판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최혁재(崔爀在)약사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예제팀장
경희대 약학대학 객원교수, 한국병원약사회 법제이사, 서울시 약사회 병원약사이사,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 총무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