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에서는 현대 의학이 신의 영역까지 넘보고 있다고 평가하지만, 아직도 몇몇 질환은 경험 많은 의료진도 쉽게 발견해내기 어렵다. 명의를 찾아 의료 쇼핑을 하는 환자가 적지 않은 것도 아마 이 때문일 것이다. 병원에 가면 병을 속 시원히 밝혀내고 치료해주길 원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더조은병원에서 만난 심재숙(沈載淑·73)씨도 그랬다.
심재숙씨는 주변에서 흔히 마주치는 꽃중년이었다. 출가한 자녀가 가끔 걸어오는 전화를 기다리고, 남편과 아침저녁으로 산책을 즐기는, 은퇴한 부부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가끔 저리곤 하는 다리가 신경 쓰였지만, 아직은 장보는 일도, 산책을 다녀오는 일도, 집 계단을 오르내리는 일도 큰 문제 없었다. 집 앞 도봉산 등산은 엄두를 내기 어려웠지만, 주변의 둘레길 정도는 쉽게 다닐 수 있었다.
무릎이나 다리가 문제인 줄 알았는데…
그러다 문제가 발생한 것은 작년 초쯤이다. 다리가 저리는 날이 점점 더 많아졌다. 가장 힘들었던 것은 극심한 통증이었다. 심재숙씨는 그 당시 자신을 괴롭혔던 통증을 출산의 고통에 비유했다.
“엄청났죠. 지금 생각해도 몸서리가 쳐질 정도로. 처음엔 조금 먼 데를 다니는 것이 힘들었는데, 나중에는 집에 가만히 있어도 욱신거렸어요. 너무 아파 눈물이 날 정도였죠. 마치 다리 속을 헤집고 누가 힘줄을 잡아당기는 듯한 느낌이었어요.”
그래서 찾은 곳이 더조은병원. TV를 시청하다 알게 된 병원이었다. 그때만 해도 TV에 출연했던 그 의사를 이렇게 빨리 만나게 될 줄은 몰랐다. 그저 몸 아픈 것이 더 심해지면 저길 가봐야겠다 생각했을 뿐이다.
하지만 통증은 더 심각해졌고, 지난해 2월 더조은병원 도은식(都恩植·59) 병원장을 만나러 갔다. 심씨의 상태는 생각보다 심각했다.
“무릎이나 다리가 문제인 줄 알았는데 허리가 문제라고 하더라고요. 난생 처음 들어본 병명이었어요. 옆구리 디스크라니…. 수술을 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덜컥 겁이 나서 일단은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시술을 먼저 해달라고 했어요. 병원에선 임시방편이고 또 아파올 것이라고 했지만, 당장 수술을 결정하기엔 두려웠거든요. 그래서 신경성형술 시술만 받고 퇴원했어요.”
도 원장은 심씨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환자 중 한 명으로 기억했다.
“MRI를 찍어보니 극외측 디스크였어요. 환자들이 병명을 어려워해 옆구리 디스크라고 설명해줘요. 이 질환은 보통의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허리가 노화되는 과정에서 디스크가 밀려나와 생기는 병인데, 뒤쪽이 아닌 옆으로 밀려나오면서 문제가 생기는 것이죠. 골치 아픈 것은 밀려나오는 부위에 신경절이 있는데, 디스크가 이곳을 건드리면 아주 극심한 고통에 시달려요. 신경들이 몰려 있거든요. 평범한 디스크하고는 비교가 안 되죠.”
병원에서 심씨에게 했던 말은 거짓이 아니었다. 반년은 평범한 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문제없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허리가 다시 아파왔다.
“그래도 수술을 피해보려고 다른 병원에 갔어요. 수술 없이도 허리를 잘 고치는 병원으로 유명하다고 해서 찾아가봤는데 허사였어요. 계속 주사만 놔주는데 효과가 하나도 없었죠.”
그렇게 시간이 지나는 동안 통증은 더 심해졌다. 극심한 고통 속에서 생각나는 사람은 도 원장뿐이었다. 바로 병원을 찾아 12월 27일로 수술 날짜를 잡았다. 다들 크리스마스며 들뜬 연말 분위기를 즐길 때였지만 그런 것이 하나도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심씨의 허리는 그마저도 기다려주지 않았다. 수술 날짜까지 기다릴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병원 침대에 누워야 했다.
“수술을 사흘 앞두고 허리가 끊어지는 것 같았어요. 얌전히 누워 있어도 통증은 멈추지 않았죠. 수술 날짜까지 기다릴 수 없었어요. 그래서 무작정 병원을 찾았어요. 일단 입원부터 해서 무슨 수를 써서든 통증부터 가라앉혀야 살겠다 싶었죠. 지금 생각하면 병원에 미안한 일이었지만 어쩔 수 없었어요. 결국 새해를 병원에서 맞이했어요.”
디스크 환자 중 극외측 디스크는 약 15%
결국 심씨는 크리스마스를 이틀 앞둔 12월 23일 병원에 입원했다. 입원과 함께 통증을 줄이는 처치도 진행됐다. 도 원장은 심씨의 당시 반응이 충분히 이해된다고 말했다. 극외측 디스크 환자들이 대부분 겪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극외측 디스크 환자의 공통점은 몇 가지가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극심한 고통에 시달린다는 거예요. 일상적으로 생각하는 통증과는 차원이 달라요. 그리고 중년 이후의 고령 환자들에게 많아요.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니까요. 다리에 힘이 풀리는 증상도 흔해 다른 병원을 거쳐 오시는 분이 많아요. 안타깝게도 극외측 디스크는 진단 과정에서 발견 안 되는 경우들이 있거든요.”
병원에서 허리 진단을 위해 MRI 촬영을 할 때는 대부분 시상촬영이라는 방식을 사용한다. 허리를 환자 옆에서 본 모습으로 촬영하는 것인데, 일반 디스크 환자를 진단할 때는 이러한 촬영이 필요하다. 문제는 이 시상촬영만으로는 극외측 디스크를 진단하기 어렵다는 것. 척추를 위에서 본 모습으로 단면을 촬영하는 관상촬영을 해야 극외측 디스크를 잡아낼 수 있다.
디스크 환자 중 극외측 디스크 환자는 과연 얼마나 될까? 더조은병원에서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년간 내원한 환자 13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극외측 디스크 환자는 약 15% 정도였다. 적지 않은 숫자다. 디스크 환자 중 15% 정도는 자칫 제대로 된 진단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도 원장은 극외측 디스크는 수술도 쉽지 않다고 설명한다. 디스크나 튀어나온 부분이 손이 쉽게 닿을 만한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평범한 디스크는 등 쪽으로 튀어나오니까 절개 부위가 크지 않아도 수술이 가능해요. 수술시간도 짧고 회복도 빠르죠. 그러나 극외측 디스크는 수술이 꽤 까다롭습니다. 만 명이 넘는 환자를 수술한 저도 두세 시간이 훌쩍 걸리니까요. 또 자칫 수술이 제대로 안 되면 다리저림과 같은 후유증을 앓을 수도 있어요. 의사 입장에선 신중을 기해야 하는 수술입니다.”
요즘 척추수술을 하는 신경외과 전문의들에게는 한 가지 딜레마가 있다. 병원들이 무리하게 척추수술을 한다는 부정적 이미지가 사회에 확산되면서, 수술을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것. 도 원장은 제대로 된 진단을 통해 정확한 치료가 이뤄지면 문제가 없는데, 나쁜 선입견 때문에 되레 수술을 받아야 할 환자가 수술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안타까워했다. 실제로 최근 신경외과나 정형외과 병원에선 전체 치료 중 수술이 차지하는 비율이 몇 % 이하라며 광고할 정도다.
“일종의 교통정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증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환자에게 맞는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해요. 허리 수술이 필요 없다면, 왜 1년에 12만 건 이상의 수술이 전국에서 이뤄지겠어요. 분명 허리 상태에 따라서는 수술만이 해결책인 경우가 있어요. 환자에게 한 가지 치료법을 고집하고 강요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요. 다행히 수술이 필요 없다면 보존적 치료를 하고, 어쩔 수 없다면 수술 치료를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남편의 사랑 큰 힘 돼
심씨의 수술은 모두의 바람처럼 무사히 끝났다. 미국에 있다 놀라 귀국한 막내딸과 남편이 병원을 지켰다.
“수술이 생각보다 무섭지는 않았어요. 허리에 칼을 댄다고 해서 처음엔 겁이 났지만, 워낙 통증이 심해서 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마음이 컸죠. 그리고 옆에서 늘 지켜주는 남편이 있어서 두렵진 않았어요. 제 수술 때문에 남편이 고생 많았죠.”
사실 심씨의 큰 수술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3년 건강검진에서 대장암 판정을 받고 암수술을 받아야 했다. 그때도 힘이 되어준 사람은 남편이었다.
인생을 살면서 찾아온 몇 차례의 고비는 부부의 사랑을 더욱 견고하게 해줬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매일 아침과 저녁 한두 시간의 짧지 않은 산책을 거르는 법이 없다고 심씨는 말한다.
“남편에겐 늘 감사한 마음이에요. 수술 후 집안일도 많이 도와줘서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됐어요. 이젠 주변에서 허리 치료에 대해 물으면 수술도 아프지 않다고 말할 정도로 여유를 찾았어요. 빨리 수술할 걸 괜히 겁냈다 싶기도 해요. 앞으로 허리 때문에 더 이상 고생하고 싶지 않아요. 그래서 스트레칭을 열심히 하고 있어요. 몸이 좀 더 나으면 다른 운동도 해볼 생각이에요.”
극외측 디스크는 보통의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허리가 노화되는 과정에서 디스크가 밀려나와 생기는 병인데, 뒤쪽이 아닌 옆으로 밀려나오면서 문제가 생깁니다. 골치 아픈 것은 밀려나오는 부위에 신경절이 있는데, 디스크가 이곳을 건드리면 아주 극심한 고통에 시달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