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고 궁궐에서 찾는 '궁궐의 우리 나무'

기사입력 2018-06-04 10:11 기사수정 2018-06-04 10:11

[책방 플러스] 궁궐 나들이의 우리 나무 안내서

▲'궁궐의 우리 나무' 책 커버
▲'궁궐의 우리 나무' 책 커버

창경궁에는 영조 38년(1762), 뒤주에 갇혀 죽어가는 사도세자의 모습을 지켜본 나무 두 그루가 여전히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바로 선인문 앞 금천 옆 회화나무와 광정문 밖의 아름드리 회화나무다. 이렇듯 우리 역사와 함께 살아 숨 쉬는 나무들을 궁궐에서 찾아보는 것 어떨까? 유익한 안내서가 되어줄 ‘궁궐의 우리 나무’를 책방에서 만나봤다.

참고 도서 ‘궁궐의 우리 나무’ 박상진 저

자료 제공 눌와


5대 궁궐 안 나무를 한눈에

▲'궁궐의 우리 나무' 책 펼친면(눌와 제공)
▲'궁궐의 우리 나무' 책 펼친면(눌와 제공)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종묘, 덕수궁에서 자라는 나무들의 위치를 하나하나 표시한 지도가 담겨 있다. 궁궐별로 나눠 각 파트의 첫 장에 앞서 말한 지도를 펼친 면으로 보여주고, 나무마다 상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확대된 지도도 제공한다. 실제 궁궐에 방문하게 된다면 두꺼운 책 대신 부록으로 들어 있는 한 장짜리 지도를 가져가자. 5대 궁궐 안 나무 위치뿐만 아니라 건물, 탑, 장승, 시설물, 탐방로, 음수대 정보까지 한눈에 볼 수 있어 편리하고 유용하다.


이파리 모양으로 나무 찾기

▲'궁궐의 우리 나무' 책 펼친면(눌와 제공)
▲'궁궐의 우리 나무' 책 펼친면(눌와 제공)

각각의 나무를 소개하기 전 서두에 나무 이름 아래 이파리 사진을 먼저 보여준다. 형태가 비슷해 헷갈리거나 이름을 모르는 나무의 경우 이파리 모양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 옆 페이지에는 나무의 전체적인 모습을 찍은 사진이 나온다. 물론 계절이나 궁궐의 조경관리, 자연재해 등에 따라 조금씩 외형이 변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사진과 함께 실린 내용을 통해 나무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삼국사기’, ‘조선왕조실록’, ‘동의보감’ 등에 기록된 다양한 이야기까지 엿볼 수 있다.


종에 따라 다른 나무 구별법

▲'궁궐의 우리 나무' 책 펼친면(눌와 제공)
▲'궁궐의 우리 나무' 책 펼친면(눌와 제공)

벚나무만 하더라도 왕벚나무, 산벚나무, 올벚나무, 능수벚나무 등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종류만 10가지가 넘는다. 이처럼 같은 듯 다른 나무들을 구별해볼 수 있도록 사진과 함께 자세한 설명이 나온다. 그밖에 회화나무와 주엽나무, 매화나무와 살구나무 등 종은 다르지만 생김새가 비슷해 헷갈리는 나무들에 대한 구별법도 살펴볼 수 있다. 나무껍질이나 꽃, 열매 등도 사진으로 실려 이파리 모양과 더불어 참고하면 나무 찾기에 도움이 된다.


책에서 발견하는 또 다른 즐거움

#plus1

▲'2018 고궁음악회' 포스터(한국문화재재단)
▲'2018 고궁음악회' 포스터(한국문화재재단)

고궁 나들이를 가는 날 시기가 맞는다면 ‘2018 고궁음악회’를 즐겨보는 것도 좋겠다. 6월 중 경복궁에 방문하면 수정전 일원에서 고궁음악회를 관람할 수 있다(주간: 7월 29일까지 매주 금·토·일요일 15:30~16:15/야간: 6월 17~30일 20:00~20:55). 창경궁에서는 5월 20일부터 6월 2일까지, 7월 22일부터 8월 4일까지 야간공연을, 창덕궁에서는 8월 31일부터 10월 28일까지 주간공연이 열릴 예정이다.


#plus 2

▲몽유도원도
▲몽유도원도

복사나무, 즉 복숭아나무 숲은 흔히 무릉도원이라 불리며 신선사상과 이어져 유토피아의 대명사가 됐다. 조선 세종 29년(1447), 안평대군은 꿈속에서 박팽년과 함께 본 복사나무 숲에 대해 화가 안견에게 이야기한다. 이에 안견은 그 광경을 사흘 만에 그림으로 완성했는데 그때 그린 작품이 바로 ‘몽유도원도’다. 이밖에 천도가 열리는 복숭아 과수원을 지키는 손오공의 이야기가 담긴 ‘서유기’, 시인 도연명의 ‘도화원기’ 등 다양한 작품에서 이상향의 상징으로 등장하는 복사나무를 발견할 수 있다.


#plus 3

▲동궐도 속 향나무와 실제 창덕궁 안 향나무의 모습
▲동궐도 속 향나무와 실제 창덕궁 안 향나무의 모습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경을 조감도식으로 상세하게 담은 조선시대 궁중회화 ‘동궐도(東闕圖)’에 그려진 나무 중 현재도 볼 수 있는 나무들이 있다. 창덕궁 돈화문 주변의 회화나무들과 봉모당 뜰 앞 향나무가 그 대표적인 예다. 특히 동궐도에서 보면 동서로 길게 뻗은 향나무 가지들을 6개의 받침목이 지탱하고 있는데, 현재도 당시와 흡사한 모습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 [포토 에세이] 들국화
    [포토 에세이] 들국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