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는 총파업 여부 등을 놓고 진행한 회원 찬반 투표 개표결과 오는 10일부터 집단휴진을 결정했다고 1일 밝혔다.
관련 기사
-
- 국내 첫 ‘경도인지장애’ 디지털치료기기 등장… 이모코그 ‘코그테라’, 식약처 공식 허가
- 55세 이상 중·장년층을 위한 치매 예방용 디지털치료기기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식약처의 문을 통과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이모코그는 23일, 자사의 인지기능 훈련 앱 ‘코그테라(Cogthera)’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디지털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7번째 디지털치료기기이며, ‘경도인지장애(MCI)’ 치료 목적으론 최초라고 회사 측은 소개했다. 경도인지장애는 일상생활은 가능하지만 기억력이나 집중력이 눈에 띄게 떨어진 상태로, 치매 전 단계로 알려져 있다. 코그테라는 이 단계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모
-
- “인공 고관절 수술, 실패 이유는?” 단계별 맞춤 관리 필요해
- 인공 고관절 수술을 받은 후 재수술이 필요해지는 주요 원인이 수술 후 경과 기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술 후 단계별 맞춤 관리가 필수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이영균·박정위 교수팀은 2004년부터 2023년까지 병원에서 진행한 인공 고관절 재수술(재치환술) 515건을 분석한 결과, 재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은 '무균성 해리'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무균성 해리란 인공관절과 뼈 사이의 고정된 부분이 느슨해져 관절이 불안정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은 엉덩이 관절에 심
-
- 이모코그-네이버클라우드, 시니어 인지케어 AI 사업 협력 맞손
-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시니어 인지케어 기술이 본격적인 협력 체계를 갖추게 됐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이모코그(공동대표 이준영·노유헌)와 네이버클라우드(대표 김유원)는 지난 9일 서울에서 ‘시니어 인지케어 AI 기술을 활용한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AI 기반 안부 전화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과 디지털 인지검사 ‘기억콕콕’의 연계 ▲음성 기반 치매 선별 및 예측 알고리즘 개발 ▲맞춤형 인지훈련 콘텐츠 공동 개발 ▲시범사업 및 실증 추진 ▲글로벌 확산
-
- 한의계, “자동차보험료 상승, 한방 과잉진료 탓 주장은 과도”
- 최근 자동차보험료 인상의 주요 원인을 일부 한방병원의 과잉진료 탓으로 돌리는 보도로 논란이 일고 있다. 한의계는 이 같은 주장이 사실과 다르며 보험사의 수익성 높은 구조를 간과한 채 환자들의 진료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들의 한방의료 만족도는 79.5%로 나타나 2020년(74.5%), 2022년(76.6%)에 이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한방치료 선택 이유로는 ‘치료 효과가 좋아서(42.5%)’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교통사고 환자의 한의치료
-
- 이모코그-휴레이포지티브, 디지털 시니어 케어 협력 MOU 체결
- 디지털 인지건강 전문기업 이모코그와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휴레이포지티브가 손을 잡고 고령자 대상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공략에 나선다. 양사는 17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디지털 시니어 케어 분야에서 공동 사업 개발과 전 생애주기 통합 헬스케어 솔루션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고령자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공동 개발 ▲조기 검사부터 예방, 치료, 관리까지 통합 가능한 플랫폼 구축 ▲연구 및 기술 자원 공유 ▲공동 마케팅 등을 전방위적으로 협력하게 된다. 이모코그는 인공지능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