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와 열을 내려주는 ‘쓴맛’

기사입력 2019-06-05 08:43 기사수정 2019-06-05 08:43

[음식과 건강]

5가지 맛(쓴맛·단맛·신맛·짠맛·매운맛) 중에서 쓴맛은 몸속의 습을 제거해준다. 습이 많으면 몸이 무거워지고 속이 울렁거리고 입맛도 없어진다. ‘동의보감’에는 10가지 병 중에 8~9개는 습과 관련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옛말이 있다. 한의학에서 볼 때 대부분의 병은 원인과 관계없이 화와 열이 머리 쪽으로 몰릴 때 온다. 그런데 강한 쓴맛에는 화와 열을 끌어내리는 효능이 있다. 그래서 한약에는 강한 쓴맛이 나는 약재가 많다. 황금과 황련, 황백, 씀바귀, 민들레, 대황 등이 그것이다. 녹차도 강한 쓴맛이 난다. 고기와 녹차가 궁합이 맞는 것은 고기의 뜨거운 열을 차가운 성질의 쓴맛이 나는 녹차가 중화시켜주기 때문이다. 쓴맛이 나는 차를 마시면 열이 내려가 눈과 머리가 맑아진다. 블랙커피에도 이런 효능이 있다.

약한 쓴맛은 씁쓰름한 맛이다. 첫맛은 쓰지만, 끝맛은 은은한 단맛이 나면서 입에 침이 감돌게 한다. 고진감래(苦盡甘來)라는 말과 의미가 통하는 맛이다. 춘곤증으로 나른해지는 봄날에 취나물, 곰취, 씀바귀, 왕고들빼기 같은 씁쓰름한 봄나물을 먹으면 입맛이 돌고 기운이 나면서 몸이 가벼워진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인삼, 홍삼은 씁쓰름하면서 나중에는 단맛이 난다. 인삼과 홍삼의 약한 쓴맛은 기운을 보충해준다. 그래서 몸이 무겁고 축 처지며 입맛이 없을 때 씁쓰름한 맛이 나는 음식이 제격이다.

쓴맛의 3가지 효능

약한 쓴맛의 효능은 크게 3가지다. 첫째, 기운을 끌어올여준다. 인삼이나 홍삼, 봄나물이 대표적인 식품이다.

둘째, 약한 쓴맛은 허열을 내려 머리를 맑게 한다. 녹차와 커피를 마셨을 때 잠이 깨면서 머리가 맑아지는 것은 바로 쓴맛 때문이다. 약한 쓴맛은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 즉 스트레스로 인해 교감신경이 항진됐을 때 완화시켜준다. 약한 쓴맛은 먹고 난 뒤 입에서 침이 돌아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 수행하는 사람들이 약한 쓴맛의 음식을 먹는 건 이 때문이다. 학생들에게도 약한 쓴맛이 좋다. ‘동의보감’에도 “상추가 머리를 총명하게 한다”는 기록이 있다. 약한 쓴맛의 효능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셋째, 소화를 잘되게 해준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밥을 먹고 난 다음에 숭늉을 끓여 먹었다. 밥을 살짝 태워 만든 누룽지는 약한 쓴맛이 나는데 이 맛이 소화를 돕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식후에 약한 쓴맛의 차를 마셔 소화를 돕게 한다. 서양에서는 커피와 홍차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했다. 모두 약한 쓴맛의 효능을 응용한 것이다. 이때는 처음에는 쓴맛이었다가 끝맛은 구수해야 제대로 효과가 나타난다. 식사 중에 상추, 샐러드 등을 곁들이면 약한 쓴맛이 침을 분비하게 해서 소화를 돕는다.

▲곰취
▲곰취

입이 쓴 것은 병에 대한 몸의 반응

머리로 허열이 오르면 이목구비의 기능을 떨어지고 입맛도 없고 입이 쓰고 침도 마른다. 이럴 때 숭늉, 봄나물 등 씁쓰름한 맛이 나는 음식을 섭취하면 침 분비를 자극해 입이 마르는 것을 방지한다.

자주 “입이 쓰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화병, 열병, 과로로 몸의 진액이 마른 상태에서 나타난다. ‘동의보감’에는 “입맛이 쓴 것은 심장의 열 때문이거나, 간장의 열이 쓸개로 옮겨간 것이거나,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고민하기 때문이다”라는 내용이 있다. 즉 화가 입의 진액을 말려버린 것이다. 이럴 때 몸이 스스로 반응하면서 입맛을 쓰게 만들어, 머리로 올라온 열을 식히고 침을 분비하도록 한다. 즉 입맛이 쓴 것은 병의 결과가 아니라, 병을 낫게 하려는 몸의 자연스런 반응이다. 입맛이 쓸 때 사용하는 약들은 대부분 쓴맛이 난다. 열을 내리고 진액을 보존하기 위해서다. 약한 쓴맛이 나는 음식을 매일 먹으면 스트레스로 심장에 생긴 화와 혈당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또 숙면을 도와주는 효과도 있다. 치커리, 상추, 씀바귀,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민들레, 취나물, 쑥, 케일, 더덕, 여주 등은 약한 쓴맛이 나는 대표적인 음식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밥을 먹고 난 다음에 숭늉을 끓여 먹었다. 밥을 살짝 태워 만든 누룽지는 약한 쓴맛이 나는데

이 맛이 소화를 돕기 때문이다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최철한(崔哲漢) 본디올대치한의원 원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박사. 생태치유학교 ‘그루’ 교장. 본디올한의원네트워크 약무이사. 저서: ‘동의보감약선(東醫寶鑑藥膳)’, ‘사람을 살리는 음식 사람을 죽이는 음식’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실험실서 키운 고기 ‘배양육’ 미래 시니어 먹거리 될까?
    실험실서 키운 고기 ‘배양육’ 미래 시니어 먹거리 될까?
  • 오뚜기 ‘짜슐랭’, 배우 김우빈과 만나다
    오뚜기 ‘짜슐랭’, 배우 김우빈과 만나다
  • 다가오는 중복, 시원한 보양식 콩국수 건강하게 즐기려면?
    다가오는 중복, 시원한 보양식 콩국수 건강하게 즐기려면?
  • 한의사가 말하는 ‘장어 꼬리 보약론’의 진실
    한의사가 말하는 ‘장어 꼬리 보약론’의 진실
  • 건강기능식품의 대표주자, 오메가3는 정말 ‘만병통치약’일까?
    건강기능식품의 대표주자, 오메가3는 정말 ‘만병통치약’일까?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