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라보 라이프] 늙었다는 편견을 테니스로 ‘빡’, 97세 한상원이 사는 법
- 가벼운 발놀림. 경쾌한 스트로크. 머리부터 발끝까지 하얀 유니폼에 까만 선글라스를 낀 한 신사의 테니스 라켓 놀림이 예사롭지 않다. 모자 끝으로 살짝 삐져나온 백발과 선글라스 주위에 움푹 패인 주름을 보고 나서야 이 테니스 신사의 나이를 짐작할 수 있다. 얼굴에 퍼진 나이테는 족히 70~80대라고 써 있다. 테니스 코트를 쉬지 않고 누비는 그의 모습을
- 2014-06-18 18:11
-
- [브라보 라이프] 김두환 시니어테니스연맹 회장의 '즐기는 테니스-쉬운 테니스'
- 봉긋 솟은 이두박근을 자랑하며 코트의 오른쪽에서 포핸드 스트로크를 날린다. 금세 코트 앞으로 달려와 발리로 득점을 한다. 땀은 비 오듯 쏟아지고 선수는 깊은 숨을 몰아쉬며 땀을 훔친다. 텔레비전에 나오는 테니스의 모습이다. 격렬하고 운동량이 많다. 빠르고 힘들어 보인다. 그래서 아마 늦은 나이에는 테니스를 즐길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시니어가 많을
- 2014-05-09 07:43
-
- [부고] 전영호씨 별세 - 전웅선씨 부친상
- ▲전영호씨 별세, 전웅선(구미시청 테니스 선수)씨 부친상=27일 오후 서울의료원 강남분원, 발인 30일 오전, 02-3230-0398
- 2014-04-29 08:10
-
- [브라보 라이프]60년의 이야기가 담겨 있는 장충체육회를 아십니까?
- 서울 도심의 산자락에 많은 사람들이 갖가지 운동기구로 운동을 한다는 내용을 듣고 찾아간 곳은 서울 남산의 중턱 국립극장 뒤편에 위치한 장충체육회. 장충체육회는 마치 사람들의 시선을 피해 비밀병기를 만드는 것처럼 산 속에 숨어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굵은 땀방울을 흘리며 열심히 운동을 하고 있었다. 약 20여 가지의 운동기구와 다양한 무게의 덤벨과 바벨이 깨
- 2014-04-15 09:32
-
- 일요일 우울증 극복하는 9가지 방법은?
- 많은 직장인이 이틀 간의 휴식이 끝나고 다음날 회사 출근하기 전날인 일요일 밤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등 이른바 일요일 우울증에 고민하고 있다. 미국 휴스턴 크로니클은 30일(현지시간) 성공한 사람들이 이런 우울증을 극복하는 9가지 방법을 소개했다. 이들은 주말에 가족과 친구, 중요한 사람과 의미있는 시간을 보내는 것을 중시한다. 또 다음 일주일을 흥미
- 2014-03-31 07:56
-
- 봄철 '무릎관절증' 주의...환자 90%는 50세 이상
-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봄철에 무릎관절증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릎관절증 환자 10명 중 9명이 50대 이상이었다. 3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무릎관절증 진료환자가 지난해 이 267만명으로 2009년보다 13.5% 증가했다. 총진료비는 2009년 7118억원에서 2013년 8988억원으로 26.3% 늘었다. 무릎관절증은 무릎에
- 2014-03-30 19:52
-
- [실버타운 현주소④]해외 실버타운은?…선진국 시행착오 교훈 삼아야
- 그렇다면 우리보다 고령화를 먼저 겪은 선진국의 실버타운은 어떤 모습일까. 우선 실버타운이 가장 발달된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900년경 300만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70년 동안 미국의 총인구가 약 3배 증가할 사이 노인인구는 7배가 늘어날 정도로 노령화 속도가 빨랐고 실버타운을 비롯한 실버산업도 함께 발전했다. ◇민간주도로
- 2014-03-27 16:44
-
- 근린생활시설에 학원 여러 개 창업할 수 있다
- #1. L씨는 집 근처에 수학학원을 차리기로 하고상가를 얻어 계약금을 내고 시설공사까지 마쳤다. 그런데 구청이 제동을 걸었다. L씨가 입주하려는 상가 위층에 피아노학원이 있어 창업이 어렵다는 것이었다. L씨는 계약금에 시설공사비까지 날려야 할 판이다. #2. J씨는 운영하던 당구장 매출이 줄자 이를 PC방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그러나 PC방으로 업
- 2014-03-19 10:09
-
- 억지로 하게 하는 것도 부모의 역할?… 케네디 家
- 케네디가의 자녀교육을 말할 때 식사시간을 활용한 토론교육도 빼놓을 수 없다. 4남5녀의 자녀를 둔 어머니 로즈 여사는 식사시간을 엄수하지 않으면 밥을 주지 않았다. 이는 아이들에게 약속과 시간의 소중함을 알게 하기 위해서였다. 식사시간에는 뉴욕타임스의 기사를 읽고 토론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케네디는 중·고교시절 공부를 등한시해도 신문 읽기만은 빼먹지 않
- 2014-01-29 1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