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르테르를 위로하며”… 이영미, 연기에 깊이를 더하다
- 한 편의 공연을 보고 난 후 머릿속에 자꾸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배우의 연기가 강렬한 인상을 남겼을 수도 있고, 캐릭터의 상황 또는 대사에 공감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한창 공연 중인 뮤지컬 ‘베르테르’에서 배우 이영미는 관객에게 그러한 존재감을 발휘한다. 베테랑 배우인 그는 오르카 역을 맡아 또 한 번 연기 변신에 성공했다. “오르카의 대사에
- 2025-03-20 08:10
-
- 남국의 품격 담은 대만 명문, 가오슝 신의 골프클럽
- 대만여자오픈이 열리는 신의(信誼) 골프클럽으로 향했다. 이 대회는 3년간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9년 말 불어닥친 팬데믹으로 인해 단 한 차례 대회만 남기고 막을 내렸다. 당시 대회에서는 일본에서 활약하던 전미정이 16년 만에 우승하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아쉬운 사연을 간직한 신의 골프장은 지금도 명문 코스로서의 품격을 이어가고 있다.
- 2025-03-18 08:51
-
- “건강과 맛 꼼꼼하게 챙겨”… 5060 미식 중년이 뜬다
- 영화나 드라마에서 등장만으로도 작품에 집중하게 하는 인물을 ‘신스틸러(Scene Stealer)’라고 한다. 외식업계에서는 그간 주요 고객층을 20~40대라고 여겼으나, 지난해부터 10대와 50~60대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을 ‘식(食)스틸러’라고 하는데, 50~60대 중년은 특히 ‘미식 중년’으로 정의되며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 2025-03-11 08:48
-
- “책 읽는 내 모습에 취한다” 텍스트를 즐기고 읽는 맛
- 소셜미디어의 쇼츠와 릴스가 뿜어내는 도파민에 반기를 들고 책을 무기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인 최초이자 아시아 여성 작가 중 처음으로 노벨 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 신드롬 역시 독서 열풍에 강력한 추진력을 더하고 있다. 읽는 것보다 보는 것에 더 빠르게 반응하는 시대, 텍스트는 어떻게 힙함의 상징이 되었을까? 반갑지
- 2025-03-05 08:47
-
- TJ미디어, 새 가족 문화 제안 “설 명절에 노래방 어때요?”
- 지난 7일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 웹사이트에 따르면 ‘노래방(noraebang)’, ‘달고나(dalgona)’ 등 한국 문화에서 온 7개 단어가 신규 등록됐다. 이번에 업데이트 된 한국 관련 단어들은 한국 음식이나 호칭 등 문화적 의미가 깃든 것으로, 특히 영어권에서 큰 인기를 끈 ‘K-컬처’와 관련된 것이 많다. 이제는 노래방이 한국을 넘어 전
- 2025-01-21 08:30
-
-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야산 자락에 옛집 한 채가 있다. 현대식 건물 일색인 도시에 남은 옛날 한옥은 그 존재만으로도 신선하다. 저만치 홀로 핀 들꽃처럼 자존감으로 당당하다. 고미술품 수집가로 한국 최초의 사립박물관인 간송미술관을 설립한 간송 전형필(1906~1962)의 자취가 서린 집이다. ‘전형필 가옥’이라 부르는데, ‘간송 옛집’으로도 통한다.
- 2024-12-13 08:21
-
- “소멸하는 지방 살리자”… 팔 걷고 나선 日 시니어들
- 60세 이상 시니어 세대는 과거 지방이 활기차고 번성했던 시절을 기억하는 마지막 세대다. 정년을 앞둔 이들이 ‘그 시절 즐거웠던 시골 동네를 되찾자!’며 지방 쇠퇴를 막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일본의 744개 지자체의 젊은 여성 인구가 2050년까지 절반 이하로 감소할 전망이다. 인구 급감으로 소멸 가능성이 있는 곳들이다. 60세 이상
- 2024-10-29 08:50
-
- 지방 소멸 해결하는 日 ‘이동 슈퍼’, 지역 돌봄 인프라로 발전
-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원 특별기획 [고령화에 갈 곳 잃은 교통난민] 제1부 인국절벽에 가로막힌 노인 이동권 제2부 전용 교통수단으로 활로 찾은 일본 제3부 첨단 기술과 공유경제, 미래 이동권의 키워드 ‘슈퍼까지 어떻게 가야 하지?’ 취재 장소인 슈퍼까지 택시를 탈 생각이었지만 도착한 곳은 역무원도 없는 아주 작은 지하철역이었다.
- 2024-10-07 07:59
-
- [카드뉴스] 배우 송일국 “오십이 돼도 삶은 어려워요”
-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브라보 마이 라이프(@bravomylifemag)님의 공유 게시물 배우 송일국이 쉰을 넘긴 뒤 느낀 점은: 사실 믿기지가 않아요. 50대, 지천명. 하늘의 명을 안다는 나이인데 왜 나는 삶에 대해 아직도 모를까요? 근데 후회는 없어요. 10대, 20대 방황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그런
- 2024-09-20 08:15
-
- ‘킹키부츠' 영광의 10주년…풍성한 9월 문화소식
- ●Exhibition ◇서울의 지하철 일정 11월 3일까지 장소 서울역사박물관 서울 지하철이 개통 50주년을 맞았다. 반세기 동안 서울 지하철은 800억 명의 승객을 실었고, 지구 5만 바퀴에 해당하는 거리를 달렸다. 서울교통공사와 서울역사박물관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특별전은 지하철 탄생부터 지금까지의 변화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1
- 2024-09-06 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