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지 않으려는 노력 같은 것은 없다. 잘 늙어가기 위한 원칙과 소신이 있을 뿐이다. 멋진 에이징 철학을 인생 선배들에게 들어봤다.✽어르시니어: 새로운 어른+시니어
나이 듦의 품격, ‘어르시니어’에게 듣는다
정진홍(83세)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또 새해입니다. 새해를 일컬으며 살아온 햇수가 여든을 훌쩍 넘었는데, 아직 또 새해를 겪습니다. 송구스럽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합니다. 딱히 누구에게 그러냐고 물으면 할 말이 없습니다. 두루 제 주변에 있는 혈연들로부터 친구들, 이웃들, 바라보는 하늘과 바람을 실어다 주는 나무와 밟고 다니는 대지에 이르기까지, 그러니까 있는 것들 모두에게 그러합니다. 그런데 그보다 내내 미안한 것은 저 자신입니다. 제가 저한테 이리도 성하지 못한데 왜 세월은 ‘또’를 떼어 내주지 않고 이어지는지요.
사람 목숨이 참 길어졌습니다. 노년을 짚어 말하는 세는 나이도 쉰은 말할 것도 없고 예순을 넘어 일흔에 이르렀는데 바야흐로 이도 넘어서는 듯합니다. 이제 인생은 그루갈이(二毛作)를 하는 게 마땅하다는 주장을 거역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사람들은 그저 늙어가지 않습니다. 너도나도 나이를 먹으면서 새 삶을 꿈꾸고 짓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마땅히 그래야 합니다. 10년도 길다 하고 세상살이의 틀과 결이 통째로 바뀝니다. 이제 세월의 흐름을 연속으로 묘사하는 것은 적절해 보이지 않습니다, 대나무의 나이테처럼 뚜렷한 마디들을 지으며 그때마다 새 삶을 의도하지 않고는 세월을 살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마디마다 겪는 새로움이 나를 다시 태어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 마음가짐을 가지고 살자는 다짐은 백번 옳지만 몸은 세상살이의 격한 바뀜에 맞추어 되시작하겠다는 마음과는 아랑곳없이 마냥 낡아가기만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그루갈이보다 더 긴요한 것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스물에서나 서른에서의 시작과 예순이나 일흔에서의 시작이 시작은 시작이되 같지 않다는 사실에 대해 눈을 뜨는 일이 그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달리 말하면, 세상살이의 바뀜에 맞춰 내 삶을 고쳐 적응하되 적응의 모습을 늙어간다는 사실을 준거로 하여 다듬어야 하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한창때의 시작은 쌓아 올리는 일을 위한 비롯함이었다면 스스로 늙어간다고 여길 즈음의 되시작은 덜어 내리는 일을 위한 처음이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세월은 흘러도 삶은 쌓입니다. 정도 쌓이고 한도 서립니다. 가진 것 늘었다 싶은데 어느덧 없습니다. 그런 일도 쌓입니다. 애써 앞섰고 올랐는데 어느 틈에 뒤처지고 내려앉았습니다. 그런 일도 쌓입니다. 팔팔했는데 후줄근해진 몸도 흐르지 않고 쌓여 내 삶을 더 커다란 더미가 되게 합니다.
노년의 그루갈이는 이 더미를 추스르는 일부터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억을 걸러 남길 것과 버릴 것 나누어 그렇게 하고, 삶을 감쌌던 세월의 천을 씻고 빨아 때도 얼룩도 지우고, 마음도 그 속을 퍼내고 쓸어내어 가볍고 고요하게 비우고, 그렇게 하고는 이윽고 회상이 낳는 미소를 머금고, 말간 세월의 너울로 몸을 새로 두르고, 날아도 소리쳐도 마음껏 활갯짓해도 거침없는 자유를 누리는, 한살이 내내 꿈꾸었던, 그루갈이에 들어서야 할 것 같습니다. 그게 노년의 새 삶이 아닐는지요.
또 새해입니다. 아직 ‘또’를 일컬을 수 있는 한, 우리의 삶은 ‘유예된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다시 삶을 새로 시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과 다르지 않으니까요. 어찌 보면 축복입니다. 아니, 분명히 그렇습니다. 여전히 내가 더 멋있고 그윽하고 넉넉하고 따뜻하고 환하고 든든한 한 인간이, 한 늙은이가, 될 수 있는 여유를 확인하는 거니까요. 누구를 위해서가 아닙니다. 저 자신을 위해서, 제가 저에게 덜 미안하기 위해, 그렇게 살고 싶습니다. 노인은 그래야 할 때에 이른 사람을 일컫는 거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