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와 회복으로 가는, 헤세의 정원”

기사입력 2020-06-29 08:00 기사수정 2020-06-29 08:00

[명사·명작 톺아보기] ‘정원사’로 불린 독일의 대문호 헤르만 헤세

시대를 앞서간 명사들의 삶과 명작 속에는 주저하지 않고 멈추지 않았던 사유와 실천이 있다. 우리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자유와 사랑과 우정 이야기가 있다. 그 속에서 인생의 방향을 생각해본다. 이번 호에는 정원을 사랑한 작가 헤르만 헤세를 소개한다.


바이러스에게 혼쭐이 나는 시절이다. 연분홍 치마 한 번 걸쳐보지 못하고 봄이 떠났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역병의 시간들을 “인간은 위태롭지만 지구는 회복하는 중”이라 표현하는 이도 있다. 이 또한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혹독한 깨달음이겠다. 겸손을 배워야 할 날들이다.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 1877~1962)의 ‘정원에서 보내는 시간’을 며칠 손에 들고 다녔다. 꽃과 나무를 심을 수 있는 한 뙈기의 땅을 사랑한 이 남자는 ‘작은 기쁨’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게 아니고, 눈에 쉽게 띄지도 않으니, 잘 느끼고 보려면 고개를 높이 들라고 했다.

‘수레바퀴 밑에서’, ‘데미안’, ‘싯다르타’ 등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독일 출신 작가. 1943년에 발표한 장편소설 ‘유리알 유희’로 노벨문학상까지 수상했으니 그의 명성에 대해 구구절절 설명할 필요는 없겠다. 다만 그가 정원 가꾸기의 달인이었고, 3000여 점의 그림을 그렸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은 더러 있다.


헤세가 쉬는 방법

헤르만 헤세는 정원을 지독히 사랑했다. 자연에 귀 기울이고 이야기를 나눌 줄 아는 사람은 진실을 체험할 수 있고 삶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에게 정원은 영혼의 쉼터이자 안식처였다. 꽃과 나무들이 만들어낸 색채의 물결이 마당에 가득해지면 마치 천국에라도 와 있는 양 행복해했다.

“나는 유감스럽게도 쉽고 편안하게 사는 법을 알지 못했다. 그러나 한 가지만은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었는데 그건 아름답게 사는 것이었다.”

헤세는 자기 마음대로(!) 살기 위해, 한 권의 책과 빵 한 조각만으로도 더 바랄 게 없었던 어린 시절의 정원을 잊지 않았다. 그토록 소망했던 정원은 서른 살에 처음으로 갖게 됐다. 그는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허름한 작업복을 챙겨 입고 밖으로 튀어나갔다. 이 시간을 빼앗기기 싫어 글은 해가 진 뒤에야 썼다.

초목에 물이 오르는 계절이 되면 그는 더 바빴다. 평화롭게 보이는 집들과 들과 꽃과 구름의 모습을 빠트리지 않고 화폭에 담았다. 친구와 지인들에게 편지를 쓸 때도 한쪽에 수채화를 그려 넣곤 했다. 한 번도 그림을 배운 적 없고 자신은 화가가 아니라고 했지만 그의 그림들은 하나같이 맑고 투명했다. 정원 가꾸기와 그림 그리기는 믿음과 자유를 얻기 위해 그가 휴식하는 방법이었다. 헤세는 자연을 통해 인간을 들여다봤고 생성과 소멸의 순환 과정을 이해했다. 그가 식물들을 관찰한 기록들은 그래서 허투루 읽히지 않는다.


재배 식물 가운데도 알뜰한 것과 헤픈 것이 있다. 절약하는 것이 있는가 하면 또 낭비가 심한 것도 있다.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고 긍지를 갖는 것이 있는가 하면 어떻게든 다른 식물에 기생하려는 것도 있다. 그 종이나 생명력이 고루하고 평범하다 못해 활기가 없는 식물이 있는 반면 어떤 것은 마치 위풍당당한 신사 같다. 그들 가운데도 좋은 이웃과 나쁜 이웃이 있다. 다정한 것이 있는가 하면 혐오스러운 것도 있다. 어떤 식물은 제멋대로 무한정 거칠게 피어나 당당히 살다 죽는 반면 볼품없는 존재 때문에 손해 보며 내내 굶주리고 창백한 모습으로 힘겹게 생명을 유지해가는 식물도 있다. 어떤 식물은 열매를 맺고 증식하면서 믿기지 않을 만큼 풍성하게 성장해가며 어떤 식물은 애써 돌봐야만 겨우 씨라도 남긴다.


▲헤르만 헤세 박물관에 있는  초상화와 타자기
▲헤르만 헤세 박물관에 있는 초상화와 타자기


스위스 몬타뇰라의 정원

정원과 함께한 후반의 삶은 비교적 평화로웠지만 그의 청년기는 방황의 연속이었다.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나 명문 신학교에 입학했으나 적응하지 못했고 부모에게 “시인이 아니면 아무것도 되지 않겠다”고 선언한 뒤 퇴학과 자살 기도 등 질풍노도의 시간을 보냈다. 결혼 후에도 아내의 정신병과 이혼, 세계대전을 겪으며 삶이 평탄치 않았다.

나치스에 반대하는 작가로 낙인찍힌 뒤 ‘배신자’, ‘매국노’라는 비난과 함께 탄압을 받던 헤세는 스위스로 망명한 뒤 여기저기 옮겨 다니며 살았다. 1919년, 불혹을 갓 넘긴 나이에는 스위스의 작은 마을 몬타뇰라에 정착한다. 조국으로부터 받은 상처와 불행한 가정사로 방황하던 그가 마음 치유를 위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 그림은 종종 탈출구가 돼주었다.

그는 사교 활동보다 정원에 있길 좋아했고, 아무리 대단한 곳에서 강연 요청이 와도 몬타뇰라를 떠나고 싶어 하지 않았다. 40여 년간 이곳에서 거의 칩거하다시피 했지만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희생당한 사람들이 도움을 청할 때는 언제나 문을 열었고,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작품세계는 더 확대되고 깊어져 그의 주옥같은 작품들은 대부분 이곳에서 탄생했다.

훗날 사람들은 헤세의 정원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소위 상류사회의 거드름을 피우는 속물은 보이지 않았고 (…) 그곳에서 필요한 것은 모양이 망가지고 가장자리 창이 넓은 밀짚모자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중년의 글쓰기 어렵게 만드는 것,  “줄이거나 늘리거나”
    중년의 글쓰기 어렵게 만드는 것, “줄이거나 늘리거나”
  •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