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진암은 천주교 발상지로 알려진 곳이다. 발상지란 역사적으로 큰 가치가 있는 일이나 현상이 처음 나타난 장소를 말하는데 천주교란 서양 종교인 서교다. 우리나라 그것도 깊고 깊은 산골이 발상지라는 데 의문을 평소 갖고 있었다. 이번 기회에 소상하게 알아보고 싶었다. 거기에 100년에 걸쳐 3만 명을 수용할 대성당을 건립한다는 사실도 방문의 구미를 당겼다.
천진암은 이름이 말해주듯 원래 불교 사찰이 있던 곳이다. 주소로는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우산리다. 우산리는 좁은 계곡 탓으로 논밭이 거의 없다. 지금은 이런 계곡을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아 펜션이나 음식점이 성행하지만 과거 농경시대에는 아주 드물게 집들이 있었던 곳이다. 사람이 살아야 길이 넓어지고 교통이 발전한다. 이런 후미지고 한적한 곳에 하루는 족히 걸어야 당도할 천진암에 사람들이 모여서 천주교 교리에 대한 강학을 했다는 것은 놀랍지만 당시의 시대상에 주목해야 한다.
천주교 박해가 심하던 시절이라 남들의 눈을 피해야 하는 절박함이 있었지만 사찰에서 왕명을 어기는 위험한 천주교 강학을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장소를 제공한 스님들은 어떤 심정이었을까? 좋게 말하면 종교간 우애라고 하지만 발각되면 목숨을 잃을 위험한 행동을 할 때는 다른 이유도 있었을 것이다. 문헌을 찾아보니 조선 정부는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하는 정책을 시행했기 때문에 사찰은 수탈의 대상이 되어도 제대로 항거하지 못했다는 기록을 찾아내고 수긍을 했다. 꼬리가 길면 밟힌다. 천주교 탄압인 ‘신유박해’ 때 천진암 스님들도 처형당하고 천진암도 불태워졌다. 안타까움은 순교한 분들은 이름이 남아 후세에 추앙을 받고 있으나 장소 제공으로 목숨을 잃은 스님들은 아무 기록조차 없다는 것이다. 슬픈 일이다.
불태워진 천진암 터는 오랫동안 사람들의 기억에서 멀어져가고 농경지로 개발되어갔다. 1960년대에 와서 남종삼 성인의 후손인 남상철 회장이 다산의 기록에서 천진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불교 사찰 목록을 조사하고 노인들의 증언을 통해 천진암 터를 찾았다. 그 뒤 토지를 매입하여 성역화 사업을 시작하였다고 천진암 성지 유인물에서 밝히고 있다.
천진암 성역화를 위해 한국천주교회 창립선조 다섯 분의 시신을 이장하여 이곳에 모셨는데 천진암 강학을 주도한 이벽, 한국인 최초로 영세를 받고 서울 서소문 형장에서 참수 순교를 당한 이승훈, 천진암 강학회에 참석하고 신해박해에 순교한 권일신, ‘유한당 언행실록’의 저자이며 신유박해에 순교한 권철신, 다산 정약용의 형으로 알려진 정약종, 이렇게 5분의 시신이 각기 다른 곳에서 이장되어 모셔져 있다.
한민족 100년 계획으로 30만 평 부지에 3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성당을 짓고 있다. 100년에 걸친 공사 끝에 2079년에 완공되면 세계적인 관광명소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1985년부터 시작된 공사가 아직도 기초 터를 단단히 다지는 중이라고 한다. 지금 터 다지기 공사를 하는 사람은 완공된 성당의 모습을 볼 수 없고 완공된 성당을 보는 사람은 기초 터 닦는 현장을 보지 못한 사람들이다. 지금 여기서 일하는 사람은 자신이 못 볼 건물을 짓고 있다. 나 아니면 안 되기 때문에 내가 꼭 이루고야 말겠다는 단기완성에서 벗어나 후손에게 완공하도록 배턴 터치를 하는 모습은 느림의 미학을 보여준다.
사실 건축 공사에서 100년은 너무 긴 시간이다. 이익을 추구하는 보통의 건설 회사라면 이렇게 느리게 공사하다가는 다 망하고 만다. 고층 아파트를 지을 때의 공사기간은, 1개 층을 짓는 소요 일수를 1개월로 본다. 30층이라면 30개월이면 충분하다는 계산이다. 천진암을 가 볼 때마다 느끼는 감정이지만 도대체 일을 하는 건지 마는 건지 눈으로 봐서 진전이 없다. 빨리빨리 문화에 익숙한 우리들에게 느린 변화는 또 다른 생각을 불러온다.
천진암 계곡으로 들어가면 그 끝은 천진암 성지다. 관통하는 길이 없으니 들어갔던 곳으로 되돌아 나와야 한다. 단순히 지나가는 목적으로 가는 차량이 없으니 길은 복잡하지 않다. 10여 km에 달하는 계곡이 깊어서 늘 맑은 물이 흐른다. 계곡이 좁아 농토가 별로 없으니 계곡물은 언제나 깨끗하다. 이 물은 팔당댐으로 흘러들어가 서울 시민의 식수로 사용된다. 천주교 신자라면 성지순례 차원에서 찾아가 보길 권한다. 천주교 박해에 대한 역사 공부를 더 한다면 방문의 의미는 더 커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