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를 소란스레 살다간 거유(巨儒), 우암 송시열(宋時烈, 1607~1689년)이 머물렀던 별서(別墅)다. 남간정사(南澗精舍)라 이름 짓고 ‘남간노인’(南澗老人)이라 자칭했다. 집으로 얻은 안심도, 쌓인 정도 많았던가보다. 파란과 질풍노도의 한세월을 통과한 말년의 핍진한 마음 한 자락 여기에 걸쳐두고 살았으리라. 우암이 돌아간 지 300여 년. 집주인 떠난 줄 모르는 대숲은 세한에도 푸르다.
남간정사로 들어서자 허옇게 언 연못부터 눈에 들어온다. 자그만 못이다. 가운데쯤엔 함지박 엎어놓은 듯 작은 섬이 있으며, 거기에 우람하게 잘 자란 왕버들 한 그루가 있다. 삼신산(三神山), 즉 신선의 세계를 상징하는 섬이다. 별서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경물이다. 조선시대 성리학의 자연관에는 인간과 자연의 합일을 추구하는 신선사상이 내재해 있었다. 도교의 영향을 받아서다. 삼신산이 있는 저 작은 연못에서 그러한 사상의 습합과 유행 경향을 읽을 수 있다. 인간과 우주의 본성을 궁구하는 성리학의 이상향을 담은 상징 체계로 그냥 봐도 좋겠다.
우암이 벼슬을 버리고 낙향해 남간정사를 짓고 들어앉은 건 일흔일곱 나이 때였다. ‘조선왕조실록’에 가장 빈번히 등장하는 이름이 우암 송시열이라지? 3000회 이상씩이나. 명민한 석학이었으며 권력의 산정에 오르길 거듭했으니 쓸모도 많고 논란도 많은 인물이었다. “무슨 석학? 독선적인 정치가였을 뿐이다!” 그런 야박한 소리까지 들리는 걸 보면 그의 생애에 신산(辛酸)도 많았을 걸 알 만하다. 그러니 낙향엔 둔세(遁世)의 뜻도 서렸겠다. 산수 간에 마음을 풀어놓고 모처럼 노년의 영일을 구가하고 싶지 않았겠는가. 버릴 수 없는 건 학자의 본분. 그토록 배우고도 더 배우고 싶었을 테다.
그런데 노인의 공부는 서책보다 자연을 대상으로 삼아야 진국이다. 피고 지는 풀꽃 하나에서 천지간의 비밀을 보는 관조의 눈이 열리는 일. 이거야말로 노경의 참된 기쁨이 아니면 뭐란 말인가. 우암은 자연의 일원으로 돌아가기 위해 남간정사를 지었던 것이다. 강학에도 뜻을 두었겠지만.
남간정사 일곽의 건축 구색은 조촐하다. 중앙부엔 정면 4칸, 측면 2칸에 홑처마 맞배지붕을 올린 남간정사가 있고, 뒤란의 언덕 위엔 사당인 남간사가 보인다. 대문 쪽 연못가에서 좀 궁색하게 끼어든 기국정(杞菊亭)은 저 너머 대전시 소제동에 있었던 우암의 처소로 1926년에 여기로 옮겼다.
담박하기는 정원도 마찬가지다. 인위적 손길을 가급적 배제해 조경하는 게 우리 전통 별서정원의 특징이다. 구미에 맞는 나무 몇 그루 심으면 그만이었다. 사계 따라 변전하는 자연의 드라마 감상이야 그저 주변 산야로 눈길을 던지면 충분하니까. 별서 일대의 풍광을 통째 정원으로 삼기를 낙으로 삼았을 뿐, 뭘 더 보태거나 빼질 않았다. 조경보다 차경(借景)을, 눈 호사보다 수신(修身)을 추구했다.
그런데 기발한 기법 하나가 여기에 있다. 남간정사의 대청마루 밑을 관통해 연못으로 흘러가는 물길 조성이 그것이다. 지금은 갈수기라 물이 없지만, 물이 흐를 땐 물소리로 청신해 한층 운치를 돋우리라. 여름엔 시원할 테고. 대청마루를 떠받친 나무기둥 밑에 기다란 초석을 괸 건 습기에 썩지 말라고 취한 조치다. 뒷산에서 흘러오는 물을 굳이 집의 외부로 돌리지 않았으니 오롯이 파격이자 창의다. 우암의 센스와 위트가 비친다.
우암에 대한 평가는 오늘날까지 극단적으로 엇갈린다. 그는 유능했으나 당쟁의 축이었다. 서인-노론의 우두머리로 정권을 쥐락펴락했다. 정적을 치는 데엔 비정했다. 공부는 산처럼 많아 우뚝했지만, 그가 마르고 닳도록 존앙한 주자의 경전 해석을 조금이라도 수틀리게 하는 이들을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았다. 과격한 돌출이 잦아 부메랑으로 돌아온 고초도 잦았다. 유배와 이배(移配)를 톡톡히 섭렵했으니.
남간정사에 살며 우암이 뿌듯하게 경청한 산야의 소식은 장강대하였을 게다. 꽃 타령인들 없었으랴. 고상한 흥이며 평정심인들 왜 없었으랴. 그러나 그는 정치를 놓고는 못 견디는 캐릭터였다. 왕세자 책봉 문제로 임금에게 저항했다가 마침내 사약을 두 사발이나 받고 운명했다. 죽기 얼마 전에 남긴 시의 요지는 구슬펐다. 말 한마디 잘못한 죄로 궁한 신세가 됐구나! 우암의 주검은 운구 과정에서 잠시 남간정사에 머물렀다지. 혼이나마 기꺼웠겠다.
답사 Tip
대전시 동구 가양동 우암사적공원 정문을 들어서면 바로 왼편에 있다. 남간정사 대청마루 아래로 난 물길 구조를 놓치지 말고 살펴보자. 우암사적공원 내 유물관에선 송시열 문집인 ‘송자대전판’(宋子大全板)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