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된 셈인지 가슴을 후벼 파는 일이 잦은 게 인생살이다. 애초 뜻밖의 고난을 만나 나동그라지도록 기획된 게 삶이지 않을까. 고통을 통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길이 없다는 소식은 비처럼 쏟아진다. 옛 선비들은 수상한 세상에 질려 일쑤 산야로 스며들었다. 소쇄옹(瀟灑翁) 양산보(梁山甫, 1503~1557)도 그랬다. 그는 잘나가던 스승 조광조가 훈구파에 몰려 유배되자 세상에 염증을 느껴 산골짝으로 들어갔다. 그러고선 줄곧 산중 원림을 가꾸며 살았다. 그게 소쇄원(瀟灑園)이다.
소쇄원의 들머리엔 대숲이 성성하다. 대나무를 청허자(淸虛子)라 이른 건 맑게 속을 비운 겸허의 표상이기 때문이다. 마디마디 단단하게 맺혀 올곧게 쭉쭉 자라는 품새는 절개를 상징한다. 세상의 풍상이 사납다고 굽힐까보냐, 부러질까보냐, 대나무가 하는 말이 그렇다. 양산보가 원림 초입에 대숲을 조성한 까닭이 쉬 읽힌다.
대숲 사이 조붓한 소로를 지나자 소쇄원의 내부가 훤히 드러나기 시작한다. 하서 김인후(金麟厚, 1510~1560)가 ‘천국’이라 탄복한 소쇄원의 가경(佳景)이. 이곳이 천국이라면 대숲 저 바깥은 감옥인가. 대숲으로 차안과 피안의 경계를 삼았다? 그리 봐도 지나칠 게 없겠다. 양산보는 권력의 횡포로 어지러운 속세를 헌신짝 버리듯 팽개치고 산야에 은둔했다. 소쇄원의 조영을 통해 꿈에서나 만났을 법한 이상 세계 건설을 추구했다. 지지고 볶는 세속만이 유일한 세계가 아니라는 걸, 자연 속에 몸을 두고 풍성한 내면의 선율을 즐기는 삶이 한결 낫다는 걸 오롯이 구현했다.
소쇄원의 구조물들은 깊지 않지만 옹골찬 맛을 풍기는 계곡 좌우의 경사지와 둔덕으로 펼쳐진다. 대청마루 정갈한 작은 집, 모정(茅亭), 연못, 담장, 화단, 외나무다리 등 세우고 꾸미고 덧붙인 것들이 많다. 그러나 짜임새가 좋아 답답한 구석이 없다. 탁 트인 느낌을 준다. 부지의 면적은 1400평쯤으로 널찍하다. 조선의 원림치고 이 정도 넓이를 가진 곳이 드물다.
일찌감치 젊은 시절에 세상을 등진 산림처사 양산보. 그에게 벼슬은 멀고 가난은 가까웠다. 그리운 건 그저 마음의 평화? 밖으로는 문을 닫은 대신 안으로는 광활한 사이즈의 자유를 들여놓고 유유자적하고 싶었을 테다. 그러하니 빈 마음으로 꾸린 원림이다. 그렇다면 오두막 하나와 탁족하기 좋은 계곡의 나무 그늘 하나 외에 무엇이 더 필요하랴. 양산보는 그러지 않았다. 대범하고도 활달하게 구조물들을 조성했다. 번듯한 원림으로 자신의 뜻과 지향을 면밀하게 드러낸 것이다.
이를테면 삿갓지붕을 올린 자그만 정자엔 대봉대(待鳳臺)라 이름 붙여 봉황을, 즉 성군(聖君)을 갈망하는 마음을 담았다. 소쇄원의 두 축인 광풍각(光風閣)과 제월당(霽月堂)의 당호는 송나라의 명필 황정견이 주돈이의 인품을 예찬하며 쓴 글귀 ‘광풍제월’(光風霽月)에서 빌렸다. ‘맑은 날의 바람, 비 갠 뒤의 달’을 닮은 인품을 선망했던 거다. 이렇게 보면 소쇄원은 세월을 낚는 낚시터가 아니다. 마음을 닦는 교실이요, 깨어 있는 정신의 전시장이다.
산중에 사는 이에겐 고독마저 기껍다. 적막이야 연인이고. 양산보가 공들여 소쇄원을 꾸린 건 내면의 웅장한 심지를 남들에게 티 내고 싶어서가 아니었을 거다. 우선은 내가 나를 만족시키고서야 이타(利他)도 헌신도 가능한 게 사람이지 않던가. 양산보는 유한한 인생을 산중의 독존(獨存)으로 요긴하게 활용했다. 유유하게 노닐었다. 지상의 주인으로 살았다. 그랬으니 소문나지 않을 리가. 양산보가 소쇄원을 꾸리고 소쇄하게(맑고 깨끗하게) 산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인걸들이 숱하게 찾아들었다. 기대승, 고경명, 정철, 송순, 임억령 등 당대의 스타급 문사들이 드나들며 학문을 논하고 시를 지었다는 게 아닌가. 기대승은 양산보를 일컬어 ‘만사를 낙관하는 군자’라 했다.
소쇄원은 아름다워 정들기 쉽다. 물소리 바람 소리는 귓전을 스치며 덧없는 세상을 너무 용쓰지 말라 한다. 매인 것 없이, 다툴 것 없이, 그저 살갑게 물처럼 구름처럼 흐르라 귀띔한다. 이래저래 경탄할 만한 옛날 정원이다. 놓치지 말 게 하나 있다. 정조 임금이 ‘호남의 공자’라 부른 하서 김인후의 ‘소쇄원48영시’다. 제월당 마루에 편액으로 걸려 있다. 소쇄원의 경관을 48수 오언절구로 노래한 것인데, 이 시편들은 소쇄원의 풍광에 혼을 훅 불어넣었다.
<이 기사는 브라보 마이 라이프(BRAVO My Life) 2021년 8월호(VOL.80)에 게재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