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마루에 아른거리는 핏줄들의 속삭임

기사입력 2021-07-21 08:00 기사수정 2021-07-21 08:00

[전통정원의 멋] 삼가헌과 하엽정

삼가헌(三可軒). 대구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다. 야트막한 산 아래, 아늑한 터에 자리 잡은 고택이다. 뒷산 솔숲을 병풍으로 삼아 청명한 기운이 물씬 풍기는 조선 양반집이다. 저마다 특유의 개성이 있어 음미할 만한 매력과 가치를 지닌 게 고택이다. 대충 눈요기로 훑고 지나기엔 아깝다. 후루룩 주마간산을 하면 명산이나 야산이나 그게 그거다. 마찬가지로 볼 게 많은 고택을 대강 보고 말면 보잘것없어진다. 가급적 눈여겨보고 뜯어보자! 이렇게 속으로 되뇌며 삼가헌으로 들어선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삼가헌은 사육신의 하나인 박팽년의 11대손 박성수가 1769년에 초가로 초창한 집이다. 이후 그의 아들 박광석이 초가를 허물고 규모를 키워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된 기와집을 새로 지었다. 1874년엔 박광석의 손자 박규현이 원래 있었던 서당을 부분적으로 개조한 별당 하엽정(荷葉亭)을 조성해 대미를 장식했다. 4대에 걸친 연쇄적 건축으로 어디에 내놔도 처질 게 없는 명품 주택을 완결한 셈이다.

선대가 지은 집을 고쳐 다시 짓거나 늘리는 데엔 신중한 고려가 많았으리라. 주거 공간에 대한 선조의 이상과 정신을 바탕에 깐 건축으로 문중의 풍기를 돋우고 싶었을 테니까. 이렇게 보자면 삼가헌은 선대와 후손의 대화가 아롱진 집이다. 대청마루에 앉은 핏줄들의 의논과 자랑과 속삭임이 환(幻)처럼 아른거린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삼가헌 사랑채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우선 지붕이 이상하다. 왼쪽은 팔작지붕인 반면, 오른쪽은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부섭지붕(벽이나 물림간에 기대어 만든 지붕)이라 흥미롭다. 균형미보다 기능성을 구현한 대목이겠다. 사랑채 전면에 세운 원주(圓柱, 두리기둥)도 도드라진다. 조선 시대 민가의 기둥이 대부분 방주(方柱, 네모기둥)인 것은 원주의 사용을 법으로 금해서였다. 원주의 격을 방주보다 높게 쳐 궁궐과 서원, 사당 같은 곳에만 원주의 채택을 허용했던 것.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선 선비들의 집에도 원주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한결 폼 나는 원주를 세워 건물의 품위와 위용을 은근히 과시했던 거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삼가헌의 사랑채와 안채를 잇는 중문에 초가지붕을 얹은 데에도 다 뜻이 있다. 염치를 알고서야 반듯하게 서는 게 선비의 체통이다. 집이건 처신이건 요란한 위세는 천격(賤格)으로 간주했다. 그래서 딱 부러지는 양반집을 짓더라도 초가 한 채 슬쩍 끼워 넣어 청렴의 상징으로 삼았다. 초가의 소박한 태를 마음에 들여놓고 매사 오버하지 않는 처세의 한 가지 푯대로 여겼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사랑채 대청마루에 걸린 현판 ‘삼가헌’은 조선 후기 호남의 명필 창암 이삼만의 작품이다. 창암은 물처럼 흐르는 서체, 이른바 ‘유수체’(流水體)의 달인이다. 풍설에 따르면 추사로부터 ‘신필’(神筆)이라는 찬사를 받았다는 인물이다. 정반대로 추사에게 ‘시골 훈장의 솜씨’라 혹평을 들었다는 얘기도 전해지니 묘하다. 호불호 쑥덕공론을 몰고 다닌 인물이었을까? 대청마루 한편엔 미수 허목의 글씨를 집자한 편액 ‘예의염치효제충신’(禮義廉恥孝悌忠信)이 걸려 있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이제 삼가헌의 서쪽 담장으로 난 쪽문을 통해 하엽정으로 들어선다. 이 별당은 원래 파산서당(巴山書堂)이라는 이름의 강학 공간이었으나 후대에 위치를 조정하고 누마루 한 칸을 덧붙이면서 모습이 확 바뀌었다. 누마루를 달아낸 건 전면으로 펼쳐지는 연못과 정원 풍경을 한결 완연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다. 산골 생활의 풍미는 자연과 더불어 노니는 데에 그 진국이 있다. 담장 밖 산경이 이미 오롯하지만, 담장 안에도 풍경을 꾸려 즐기는 게 조선 선비들의 도락 방식이었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그저 즐길 풍경을 꾸미되 격식에도 소홀치 않았다.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라는 동양의 전통적 우주론을 고스란히 반영한 저 연못의 품새를 보라. 땅을 상징하는 네모꼴 테두리를 구축하고, 그 중심에 원형의 섬을 만들어 천상계를 축약했다. 인간의 광활한 상상이 내려앉은 연못이다. 몹시 아름다운 자태로 돋보이는 연못이기도 하다. 연꽃은 아직 올라오지 않았다. 연두색 연잎들만 먼저 설레어 수면에 살을 비빈다. 허공엔 적막과 하얀 햇살의 기묘한 칵테일. 하엽정의 초여름 한낮이 농익어 찬연하다.


답사 Tip

삼가헌 지척에 박팽년을 비롯한 사육신을 기리는 사당 육신사(六臣祠)가 있다. 육신사 경내의 태고정(太古亭, 보물 제554호)은 박팽년의 손자 박일산이 지은 별당 건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유배지에 조성한 조선 정원
    유배지에 조성한 조선 정원
  • 끝내 담백하게 살았던 옛사람의 초가 한 채
    끝내 담백하게 살았던 옛사람의 초가 한 채
  • 돌 연못을 벗 삼아 노닐기만 하였으랴?
    돌 연못을 벗 삼아 노닐기만 하였으랴?
  •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