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박한 정자 하나로 할 말 다하는 원림

기사입력 2021-02-24 10:47 기사수정 2021-02-24 10:47

[전통정원의 멋] 안동 만휴정

산 아래 마을을 지나 언덕을 오르자 이내 숲속이다. 밋밋한 야산이지만 솔이 지천이라 푸르다. 길 오른편으로는 얼어붙은 도랑이 이어진다. 그러다 순식간에 풍경이 바뀐다. 옹골차고 미끈한 바위들이 계곡을 채운 게 아닌가. 송암폭포 일원이다. 바위 벼랑에도, 소(沼)에도 얼음장이 두꺼워 고적한 정취를 자아낸다. 해빙이 되고 봄비 내리면 물은 날듯이 활개를 치리라. 소쿠라지는 폭포 소리로 후련하리라. 기차게 변전하는 산중의 사계를 두고 딴 데에 원림(園林)을 둘까보냐. 고릿적 선비들은 산을 좋아해 산에서 노닐기를 관습으로 삼았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작디작은 별서를 만든 건 여기가 허허롭게 사는 이의 피안이란 뜻인가. 만휴정(晩休亭)은 계곡 옆 둔덕에 마냥 소탈한 품새로 들어앉아 있다. 있으나 없는 것처럼 티끌 없이 고요하다. 정갈한 고로(古老)의 반쯤 감긴 눈매처럼 그저 잠잠하다. 세상과 동떨어진 정적과 고독이 짙어 가슴으로 스며드는 풍경이다. 초목이 길차게 우거졌으나 서늘한 겨울 숲엔 새소리도 그쳤다. 부질없이 번잡한 건 사람의 속기일 뿐. 여기에서 속세의 먼지를 털어냄직하다. 조선 전기의 문신 보백당 김계행(金係行, 1431~1517)이 만년을 누린 원림이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원림에도 유형에 차이가 있고 투자에 격차가 있다. 은근한 치레로 슬쩍 자랑하는 원림이 있는가 하면, 담박한 성정을 담은 정자 하나로 할 말 다하는 원림이 있다. 만휴정은 후자의 전형이다. 몇몇 선과 면으로 조촐하게 그린 먹그림을 닮았으니. 그러나 성정의 경향만 좇아 지었으랴. 주변 산천의 형세와 스케일을 가늠하는 심미안 역시 건축의 주춧돌로 쓰였다. 자연 풍광이 제법 빼어나니 덧칠이야 허세로 여겼을 테고, 비좁아 옹색한 골에 큼직한 원림을 꾸릴 수는 없는 일이라 순리를 따랐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계곡 위로는 다리가 놓여 있다. 만휴정 출입문과 곧장 이어지는 다리로 후대에 가설했다. 세 뼘 남짓한 비좁은 다리지만 광폭의 전망을 즐길 수 있다. 요리에 견주자면 애피타이저? 풍경을 보는 눈에 포인트가 담기며 구미를 촉발하기 때문이다. 저 위편으로는 입이 떡 벌어지도록 널찍한 너럭바위가 보인다. 이 거대한 바위의 위용으로 숲도 덩달아 묵직한 위엄을 머금는다. 만휴정이 피안이라면, 다리를 건너는 일은 속세와 결별하는 여정인가. 그러고 보면 단아해서 아름답고 고요해서 심원한 만휴정의 모습을 선계의 기척이라고 말 못 할 것도 없겠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홑처마에 팔작지붕을 얹은 만휴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졌다. 초창 이래 중수와 보수가 거듭됐으나 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이 일부 남아 있다. 전면 전체를 개방해 툇마루로 처리한 대목은 흔치 않은 양식이라더라. 누각의 3면을 두른 계자각 난간과 창방 위에 올린 연꽃 화반의 조각에도 공들인 흔적이 완연하다. 아무려나 곱상하게 잘 늙은 집이다. 산야에 피고 지는 꽃들, 산 위로 모이는 별들, 계곡으로 흐르는 달빛을 다 볼 수 있으니 덧없는 세상이야 까먹은 셈치고 숨어 살기 좋은 집이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김계행이 이곳에 머물기 시작한 건 일흔 살에 접어든 때였다. 넌더리 나는 벼슬을 버리고 낙향, 장인인 남상치의 별서였던 쌍청헌(雙淸軒)의 옛터에 만휴정을 조성하고서였다. 김계행은 명민한 재목이었으나 이채롭게도 50세에 이르러서야 식년시에 붙어 벼슬살이를 시작했다. 벼슬에 나아가기 전의 긴 세월을 주로 ‘열공 모드’로 정진했다. 따라서 학문이면 학문, 수신(修身)이면 수신, 어느 면에서든 그를 능가할 이가 드물었다. 점필재 김종직과 함께 영남 유림을 주도적으로 이끈 인물이지 않은가. 처신은 칼칼하고 운신은 꼿꼿해 조정에 대고 쏘아붙인 직언도 잦았다. 배울 만큼 배운 자가 지닌 투명한 정신의 발현이었다. 그랬으니 치고 들어오는 ‘안티’와 잠정적인 침몰도 필연이라 부침이 자심했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김계행의 인품을 짐작케 하는 일화가 있다. 젊었던 날의 그에게 집안의 장조카로 궁궐의 실력자였던 학조대사가 찾아왔다. 학조는 김계행에게 왕실에 줄을 대줄 테니 중앙 관직으로 나아가라 했다. 이에 격분한 김계행이 학조의 종아리에 피가 나도록 회초리로 후려쳤다. “청탁으로 벼슬을 살라고? 우리 집안의 정신이 겨우 그 정도더냐?” 이렇게 딱 부러지는 기개로 청정했으니 미혹이 침범할 틈이 없었을 테다.

“우리 집엔 보물이라곤 없지만, 오직 청백(淸白)만이 보물이다.” 이는 김계행이 일찍부터 게송처럼 읊조린 삶의 나침반이었다. 그를 청백리의 표상으로 보는 사람도 많았던 걸 보면 언행일치에 차질이 없었던가 보다. 이쯤에서 만휴정의 저 화장기 없는 매무새의 행간을 다시 읽게 된다. ‘청백’의 개결한 심지로 안분지족한 자연옹(自然翁)의 뜻을. 은자는 무욕으로 세상과 세월의 속박에서 벗어난다. 이런 사람이야말로 무시무시한 무적함대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답사 Tip

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 있다. 만휴정에서 북동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는 묵계종택이 있다. 김계행이 살았던 고택으로 한옥 체험 숙박을 할 수 있으며, 종택 옆엔 묵계서원도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 역사의 상처 속 유적에서 유쾌한 탐방, 부산시민공원
    역사의 상처 속 유적에서 유쾌한 탐방, 부산시민공원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