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주자학의 적통을 이은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이 살았던 집이다. 몹쓸 세상 버리고 은둔했던 곳이다. 독락당(獨樂堂)이라, ‘홀로 즐기는 집’이다. 고고한 고독을 벗 삼아 은거했나? 도학자의 본분은 ‘열공’에 있으니 세상을 등지고서야 학문에 표 나게 정진했나? 둘 다 누렸을 걸 어림짐작할 만하다. 분명하기론 회재의 낙심이 실린 집이라는 거다. 풍진세상에서 일단 달아나 숨기 위해 지은 집임이 완연하다.
회재는 중신 김안로의 중용을 반대하다 벼슬에서 쫓겨났다. 당대 최고 지식인으로 탕탕 잘나가다 졸지에 추락했다. 야심만만한 마흔한 살 때였음을 생각해보라. 코피를 서 말쯤 쏟고도 남을 울분이 왜 없었으랴. 정쟁의 아귀다툼과 인간의 꿍꿍이에 대한 환멸이 컸을 테다. 에라, 마음의 문고리를 안으로 걸어 잠그고 돌아앉으리. 회재가 찾은 자구책은 은둔이었다. 아니 은둔을 상회하는 자폐였다. 독락당 일원의 모습에서 그가 지닌 둔세(遁世)의 욕구가 얼마나 강렬한 것이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나 지금이나 끈 떨어져 앙앙불락이 많은 이에게 낙향은 버겁다. 회재가 그랬다. 그는 본가가 있는 경주 양동마을 대신 안강면 자옥산 아래 소실의 집으로 내려갔다. 여기엔 아버지가 지은 작은 정자도 있었다. 회재가 서둘러 먼저 한 일은 건축이었다. 이왕에 있었던 집들을 대대적으로 고치고 늘렸다. 정자가 딸린 별서(別墅) 독락당을 새로 지었다. 그저 있던 방 하나 대충 차고 앉아 청승이나 떨 협량이 아니었던 셈이다.
의아한 건 집의 높이가 하나같이 낮다는 사실이다. 후대에 세운 솟을대문만 껑충해 얄궂다. 담장 밖에서 보면 지붕만 슬쩍 보인다. 담이 높아서가 아니다. 기단을 낮춰 지은 걸 보면 일부러 내려앉혀 만든 집이라는 걸 짐작할 만하다. 심지어 터부터 깎아 낮춘 게 아닐까. 복잡한 담장의 구성도 의아하기는 마찬가지다. 상당한 건축적 식견과 미적 센스가 없이는 만들어낼 수 없을 이중삼중 구조다. 그러니 당혹스럽다. 어디가 어디인지 한눈에 감 잡기 어려운 게 아닌가. 안채와 마름들이 기거하는 공수간, 그리고 독락당으로 들어가는 길이 접하는 담장길 삼각지는 절묘해 찬탄을 터뜨리게 하지만 미로에 들어선 것처럼 어지럽기도 하다.
집과 담을 왜 이렇게 만들었나. 은둔이란 속세에 자취를 남기지 않는 일이다. 눈길을 걸어도 발자국이 남지 않아야 진짜 끝내주는 은자다. 회재는 한사코 세상과 멀어지고 싶었던 게 아닐까. 낮은 집으로 꾹꾹 눌러 주저앉힌 자신의 겸손한 정신을 표방하고, 겹겹의 흙담으로 세상의 눈들을 차단하고 싶었던 게 아니었을까. 오라는 이, 온다는 이, 이도 저도 다 싫었을 테다. 오로지 면벽처럼 자신과 오롯이 독대하고 싶어 경계를 짓고 싶었을 테다. 그가 내심을 실어 지었을 독락당을 보면 알 수 있다. 가장 외진 안통 가장자리에, 가장 조촐한 구색으로 지어놓지 않았는가.
그렇게 독락당을 음전하게 짓고서도 마음은 갈피없이 흔들렸나보다. 시로 쓰기를, 술잔을 기울여 근심을 끄고 웃었다고 했다. 공명에 쫓기는 관직에 무슨 이로움이 있겠느냐 한탄도 했다. 또 쓰기를, 솔과 대를 무수히 심었다고, 새와 물고기가 내 얼굴을 익혀 알아보더라고 했다. 낡은 추억의 악보만 남았을 뿐, 회재는 더 이상 벼슬이나 현세를 기려 노래할 염이 없었다. 세상은 본시 아름답고, 돌아다니는 사람 모두가 성인이라는 게 고명한 유자(儒者)들의 뉴스였으나 이도 속이 편할 때라야 접수가 가능하다.
결국 회재의 허탈한 마음은 흘러 자연으로 귀환했음인가. 자계천 냇가에 지은 독락당 계정(溪亭)에 앉아 산수와 교제하기를 습으로 삼았다. 일부러 공들여 마당에 정원을 꾸미진 않았다. 독락당 주변의 경물들에 사산오대(四山五臺)라 이름 붙이고 통째 정원으로 삼았다. 부글부글 끓는 가슴을 산 아니고 물 아니면 무엇으로 헹구랴. 한 쌍의 부부로 일컬어지는 하늘과 땅, 비밀스러운 언어가 스멀거리는 숲이 아니면 어디에 대고 도력을 실험하랴. 자연미의 궁극에 도달하고자 시어를 벼렸지만, 거기에 허세에 다름 아닌 달관의 낌새나 유희가 일체 없는 건 자아 부양의 용도로 시를 썼기 때문이리라.
회재는 독락동 은거 5년이 지나 다시 벼슬을 해 승승장구했다. 58세엔 다시 정쟁에 치여 유배를 당했으며, 배소에서 병으로 타계했다. 벼슬이 곧 우환이었다. 닭벼슬은 곱기라도 하지. 손가락질이야 시대의 파행에다 해야겠지만.
답사 Tip
독락당은 꼼꼼히 살펴볼 게 많은 고택이다. 집과 정자에 걸린 퇴계, 이산해, 추사. 한석봉 등의 현판 글씨도 감상할 만하다. 회재의 학행과 덕행을 기리는 옥산서원과, 회재가 자주 찾았던 정혜사 십삼층석탑도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