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모든 게 빠르다. 자고 일어나면 유행이 바뀌어 있고, 신나게 쓰던 신조어는 한물간 취급을 받는다. 좁혀지지 않는 급격한 변화의 틈,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한눈에 세상을 파악하고 싶은 이들을 위해 최신 문화를 소개한다.
광고 모델, 아나운서, 아이돌 등 인간의 고유 영역으로 여겼던 직업 분야에 ‘버추얼 휴먼’(Virtual Human)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버추얼 휴먼은 한마디로 ‘가상 인간’이다. 인공지능(AI)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기반으로 대역 배우의 몸에 전혀 다른 얼굴을 입혀 실제 사람과 거의 유사한 모습이다.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우리에게 가상 인간은 영화에서나 볼 법한 판타지적 존재였지만, 이제는 광고나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은행원이나 기상캐스터처럼 구체적인 직업군에서도 활약 중이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디지털 키오스크로 원하는 업무를 안내하는 AI 은행원을 도입해 운영하고, 여수 MBC에서는 AI 기상캐스터가 날씨 소식을 전한다.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가상 인간은 스물두 살 ‘로지’다. 지난해 7월 신한라이프 TV 광고로 얼굴을 알렸다. 발랄한 어깨춤과 자연스러운 미소 덕에 대중은 그를 신인 연예인 정도로 인식했다. 이후 개발사 싸이더스 스튜디오 엑스를 통해 가상의 인물임이 알려진 로지는 더욱 큰 인기를 끌며 2021년에만 10억 원이 넘는 광고 수익을 올렸다. 최근 이서진 주연 드라마 ‘내과 박원장’에 특별 출연하고 데뷔곡 ‘후 엠 아이’(WHO AM I)를 발매하며 본격적인 활동에 시동을 걸고 있다.
가상 인간 하나, 열 모델 안 부러워
사실 가상 인간은 대중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매력과 현재 트렌드를 치밀하게 계산해 개발된다. 이 과정에서 호감도 높은 유명인의 특징을 참고하기도 한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외모나 정체성이 투영된 셈이다. 로지의 경우 동양적인 마스크와 171㎝의 서구적인 체형, 개성 넘치는 패션 센스, 자유분방하고 사교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환경에 관심이 많아 ‘제로 웨이스트’(일상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는 구체적인 설정이 있다. 게다가 소셜미디어(SNS)에서 실제 인간처럼 글이나 사진을 올리고 소통하며 공감대를 형성해 대중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가상 인간은 영원히 늙지도, 죽지도 않는다. 시간과 체력에 구애받지 않고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소통하거나, 동시다발적인 활동이 가능하다. 언제든 옷이나 헤어스타일을 바꿀 수도 있다. 특히 학교 폭력 같은 과거의 오점이나 열애설, 음주운전 등 사생활 문제에 휘말릴 일이 없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가상 인간이 광고 모델로 제격임은 물론,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고 평가한다. 미국 시장조사 업체 비즈니스 인사이더 인텔리전스는 “앞으로 전 세계 브랜드가 인플루언서(영향력 있는 개인)를 이용한 마케팅에 연간 약 17조 원을 투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중 상당 부분은 버추얼 휴먼이 차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성세대가 진짜인지 가짜인지에 집중하는 반면, ‘디지털 원어민’으로 나고 자란 세대는 그게 무엇이든 나에게 어떤 활력이나 즐거움을 주는지가 더 중요하다. 물론 실존 인물이 아닌 탓에 가상 인간과 깊은 감정 교류가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대감과 연대감을 형성할 수 없어, 흥미를 갖는 것 이상으로 탄탄한 마니아층을 구축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그럼에도 가상 인간은 당분간 젊은 세대의 지지를 발판 삼아 인기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이들은 우리를 새로운 ‘가상 세계’로 인도할 안내자가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