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커뮤니티를 가든 밝고 편안했다. 그들이 즐기는 취미가 무엇이냐에 따라 조금씩 다른 분위기였지만, 긍정적인 에너지를 뿜는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공기를 달구는 빨간 불꽃 같은 열정이 아니라 차분하지만 뜨거운 파란 불꽃 같은 열정이 모여 있었다.
회비 걷어 밥 먹고 헤어지는 친목 모임은 매번 같은 사람들과 만나다 보니 더 이상 새롭지 않다. 취미도 즐기고 새로운 사람들과 교류도 하는 방법은 없을까?
‘서울시50+세대 실태조사: 포스트코로나 50+세대 라이프스타일 변화 연구’에 따르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여가 시간을 다른 세대와 교류하며 보내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미 생활을 하더라도 타인과 함께 하고 싶다는 뜻이다.
막상 어디로 가야 할지 막막한 중장년이라면, 취미를 기반으로 한 모임 ‘커뮤니티’를 찾아보자. 공통의 취미를 기반으로 하는 모임인 ‘커뮤니티’는 수업으로부터 시작되는 곳이 많았다. 센터 등에서 열린 취미 수업에 참여했다가, 수업 종료 후 회원들끼리 정기 모임을 가지며 활동을 이어가는 식이다. 배움을 얻기에는 수업이 너무 짧고, 취미 생활로만 이어가기에는 더 성장하고 싶은 사람들끼리 시너지를 내고 싶어 모인다. 잘 모르는 사이지만 좋아하는 게 같아 이야기가 잘 통하니 그중 마음 맞는 이들이 모여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 또래 친구들을 사귈 수 있고, 여가 시간도 보낼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 물론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기존에 있던 커뮤니티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 점점 나오는 사람이 줄고 만남의 횟수가 뜸해지면서 사라지는 커뮤니티가 대부분이다. 커뮤니티 내 인간관계에서 서로 상처를 받기도 한다. 회비를 얼마 걷을지, 한 달에 몇 회 볼지, 만나서 무얼 할지 정하는데, 각자의 상황이 다르다 보니 동상이몽(同床異夢)이기 쉽다.
커뮤니티 안에서는 어떻게 해야 오래 관계를 이어갈 수 있을까? 오래도록 활동이 이어지는 커뮤니티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실제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는 중장년 회원들을 만나 ‘커뮤니티로 관계 맺는 방법’과 ‘커뮤니티 유지 꿀팁’에 대해 들어봤다.
◆ 특징 ① 목적성 가지기
취미 기반 커뮤니티가 다른 모임들과 다른 점은 단순 사교 모임이 아니라는 점이다. 각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목표가 있고, 구성원들은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활동에 참여한다. 내가 참여하고 싶은 커뮤니티를 고를 때는 첫 번째로 내가 좋아하는 취미 활동을 찾은 다음, 그 취미를 기반으로 나와 같은 목표를 지향하는 모임에 들어가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림 그리기’가 취미라면, 이 취미를 어떤 목적을 가지고 즐기고자 하는지 생각해보자.
역할 맡기 모두가 목표를 향해 가려면 각자 맡은 역할이 있어야 한다. 살펴보면 한 사람씩 잘하는 부분이 있어 자연스레 역할이 정해지기 마련. 서로 부족한 부분은 보완해주고 자신이 맡은 일은 책임감 있게 참여하면서 커뮤니티 안에서 성장해나갈 수 있다. 커뮤니티는 회사가 아니기에, 서로의 역량과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일정과 참여도를 조정해갈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강제성보다는 유연성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
일단 해보기 어떤 커뮤니티가 나에게 잘 맞을지 모르겠다면, 내가 하고 싶은 취미가 무엇인지 모르겠다면, 일단 무엇이든 하자. 관심 있는 주제를 배워보는 것도 좋다. 또 수업이든 커뮤니티 활동이든 접근성이 좋아야 꾸준히 할 수 있다. 시간과 관심사가 중요하다는 의미. 혹 커뮤니티에 참여했는데 나와 맞지 않는다면 다른 커뮤니티를 찾으면 된다. 원하는 커뮤니티가 없으면 내가 만들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일단 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특징 ② 사교는 따라오는 것
“저희 사적으로 안 친해요.” 대부분의 커뮤니티 참여자들이 입을 모아 한 말이다. 현장에서 만나면 화기애애하고 친하지만 사적인 교류를 하거나 개인사를 묻지는 않는다. 경조사도 챙기지 않는다. 딱 취미와 관련된 이야기만 한다. 커뮤니티 목표에 맞춰 ‘활동’에만 집중하다 보면 사람과의 관계는 자연스럽게 가까워지기 마련이다. 인간적으로 가깝다고 오래가는 커뮤니티가 되는 것도 아니란다. 그저 하고자 하는 일에 집중해보자.
배움에 집중하기 커뮤니티 회원들은 이 시간이 친구를 사귀는 시간이 아니라 배우고 발전하는 시간이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배우는 커뮤니티가 건강한 커뮤니티라는 의견이다. 중장년인 만큼 각자의 경험치가 다르다. ‘나는 할 줄 아는 게 하나도 없다’는 사람도 뜯어보면 그만의 경험이 있다. 커뮤니티는 그 경험을 나누면서 서로를 성장시킨다.
나를 비우기 해본 적 없는 것을 새롭게 배우는 건 쉽지 않다. 중장년쯤 되면 살아온 방식이 굳어져 나만의 벽이 견고할 수 있다. 그간 살아온 경험치가 있는데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처럼 느껴지는 상황에 좌절하기 쉽다. 하지만 이 순간을 이겨내야 한다.
◆ 특징 ③ 밀어주고 끌어주고
커뮤니티가 잡음 없이 잘 운영되려면 리더인 모임 장의 역할도 중요하다. 커뮤니티에서는 카리스마형 리더보다 중재형 리더가 더 적합하다. 취미 기반 모임이다 보니 각자의 역량이 다르기 마련이다. 누군가의 욕심은 눌러주고, 누군가의 부족함은 끌어줘야 한다. 또 팀원들이 미처 보지 못하는 곳을 봐야 하고, 때로는 아무도 선택하고 싶지 않은 것을 맡아 해야 한다. 커뮤니티의 방향성이 흔들리지 않도록 이끌어가는 역할도 해야 한다.
원칙 만들기 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의견 차이는 대체로 방향성 때문이다. 새로운 회원을 받지 않는다면 커뮤니티의 성장은 언젠가 멈춘다. 따라서 초기 회원들이 커뮤니티 운영 기준과 문화를 잘 다져놓을 필요가 있다. 또한 안정적인 활동 공간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공간이 없어 흐지부지 사라지는 커뮤니티도 많기 때문. 회비를 너무 강조하거나, 참여를 강요하는 분위기도 금물이다.
양보와 배려하기 커뮤니티는 단체 활동이다. 다른 단체보다는 조금 더 유연한 성격을 가지지만 역시 단체 활동이다. 내 생각이 절대적으로 옳은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양보와 배려는 필수! 자신의 욕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지점이 분명 있겠지만, 이는 감수해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