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보 일본 통신] 지난해 491명 숨진 채 발견... 연락처, 건강정보 담아
*편집자 주: 국민의 30% 가까이가 65세 이상인 나라, 일본.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인 일본의 소식을 발 빠르게 전합니다치매로 인한 행방불명을 막기 위해 ‘지켜보는 실’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QR코드입니다.
초고령 사회인 일본은 치매로 인한 행방불명자가 10년 연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행방이 묘연해진 치매 환자는 1만 8709명에 달했고, 그 가운데 491명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지차제에서 묘안을 내놓고 있습니다. 오키나와현 도미구스쿠시는 QR코드를 선보였습니다. 지난 28일 오키나와현 일간지 류큐신보는 시가 고령 치매 환자가 행방불명 되었을 때 도움이 되는 실을 도입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가족은 사전에 보호가 필요한 치매 환자의 닉네임이나 생년원일 등을 실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귀가 나쁘니까 왼쪽 귀에 말을 걸어 주세요’, ‘선생님이라고 불러주세요’, ‘(인공) 심장 박동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등 신체적 특징이나 소통에 관한 내용을 기재하는 겁니다.
실은 옷이나 가방 등에 다리미로 붙일 수 있습니다. 실에 인쇄된 QR코드를 읽으면 등록처에 메일이 가는 시스템입니다. 도미구스쿠시에서는 희망 가구에 실을 무료로 제공한다고 합니다. 시의 당부입니다. “QR코드를 읽어도 이름이나 전화번호 등 개인 정보는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심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실을 알고, 활용해 주었으면 합니다.”
관련 뉴스
-
- 치매, 제대로 알기 "오해를 넘어서 이해로"
-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브라보 마이 라이프’는 12월까지 치매 관련 기사를 연재합니다. “건망증이 치매일까?”, “치매는 유전돼?”, “치매는 치료가 안 된다?” 치매에 대한 이런 질문은 흔하다. 그러나 대답은 단순하지 않다. 우리는 여전히 치매를 오해하고 있다. 치매는 더 이상 노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사회는 초고령화로 접어들었고, 치매 환자 수는 눈덩이처럼 불어나 2026년 치매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그보다 더 심각한 것은 ‘치매에 대한 편견’이다. 치매는 병명이 아니다 치매는 단일 질
-
- 치매인지 어떻게 아셨어요?
-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브라보 마이 라이프’는 12월까지 치매 관련 기사를 연재합니다. 치매는 갑자기 찾아오는 병이 아닙니다. 익숙한 표정이 낯설어지고, 평생 해오던 일이 서툴어지며, 성격이 예기치 않게 변하는 순간이 쌓여 조용히 문을 두드립니다. 그러나 그 변화를 처음 알아차리기란 쉽지 않습니다. 시니어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인 홍명신 에이징커뮤니케이션센터 대표가 ‘치매 케어’에 관한 궁금증에 답합니다. 실제 가족들의 절절한 경험담과 함께, 초기 신호를 발견하는 법부터 환자와의 대화, 가족의 마음 관리까지. 치매와 마주한
-
- 치매 예방의 시대 “생활 속 관리로 치매 막는다”
-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브라보 마이 라이프’는 12월까지 치매 관련 기사를 연재합니다. 치매는 발병 이후 완치가 어렵고, 치료 비용과 사회적 부담이 크다. 하지만 조기 개입과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발병 자체를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다. 이찬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과 교수는 “치매는 나이 들면 당연히 오는 병이 아니다. 위험 요인을 관리하고, 생활 습관을 조정하며, 조기 발견을 병행하면 발병 가능성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며 이 견해를 뒷받침했다. 이찬녕 교수는 치매가 단순한 노화 현상이 아니라 뇌의 질병으로 조기
-
- 병원 대신 ‘집에서 돌봄’… 전국 확대 앞둔 ‘통합돌봄’
- 2026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통합돌봄 제도’가 본격 궤도에 접어들었다. 보건복지부는 2일, 2025년 통합돌봄 시범사업에 전국 229개 모든 기초자치단체가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병원이나 시설 중심의 케어가 아닌, 일상 속에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하겠다는 국가 차원의 ‘돌봄 대전환’이라 할 수 있다. 통합돌봄은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을 뜻한다. 기존에는 진료, 간병, 일상생활 지원 등이 기관마다 따로 운영되면서 복지 사각지대가 생길 수 밖에 없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한 번에 연
-
- 탈모 고민 샴푸 뭐 쓸까? 모에브 아누카틴 53만 개 판매
- 힘없이 처지거나 푸석하고 가늘어진 모발, 듬성듬성 두피가 드러나는 탈모룰 고민하는 중장년층은 샴푸를 고르는 사소한 일에도 신중해진다. 헤어케어 브랜드 모에브가 국내외 누적 판매량이 53만 개가 넘고, 판매 금액은 40억 원에 육박한다고 알려 눈길을 끈다. 이는 출시 1여 년 만에 거둔 성과다. 모에브에 따르면, 이러한 성과를 달성한 비결은 제품력과 함께 마케팅과 수출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다. 모에브의 ‘아누카틴’ 라인은 식약처 인정을 받은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살리실릭애씨드, 덱스판테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해 모근의 힘을 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