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고용률 '중장년'이 견인 “보상보다 유연한 근무 환경 중요”

기사입력 2023-11-24 08:40 기사수정 2023-11-24 08:40

인적자본 손실 막을 정책 필요 "시간제 등 세분화된 제도 설계 해야"

▲동대문디지털플라자에서 열린 '서울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현장에서 채용 게시대를 보고 있는 참여자들의 모습(이지혜 기자 jyelee@)
▲동대문디지털플라자에서 열린 '서울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현장에서 채용 게시대를 보고 있는 참여자들의 모습(이지혜 기자 jyelee@)

한국의 15세 이상 고용률은 2000년 58.5%에서 2021년 60.5%로, 지난 20여 년간 약 2.0%p 상승했다. 코로나19와 같은 외부 환경적 요인이 국내 노동시장에 단기간 영향을 미치기도 했으나, 전반적인 고용률은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고용률 상승세에 주도적 역할은 한 건 누구일까? 바로 50대 이상 중장년이었다.

한국고용정보원 연구보고서 ‘고령자 노동시장 현황 및 개선방안’에 따르면 동 기간 10대와 20대는 고용률이 하락한 반면, 30대 이상에서는 고용률이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50~59세의 증가폭이 가장 컸고, 60세 이상의 증가폭도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나영돈 한국고용정보원 원장은 해당 보고서의 발간사를 통해 “최근 20년간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고용률의 변동, 다시 말해 고용률의 증가 추세는 50대 이상 연령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기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편입과 더불어 가속화하는 고령화 흐름으로 볼 때, 그 상승을 주도하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에 대한 노동시장 정책의 중요도는 증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2025년 한국 인구추계가 절반가량이 50세 이상이고, 약 20%는 65세 이상으로 예상(초고령사회)됨에 따라 노동력의 고령화는 지속적인 사회 문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고용정보원 연구보고서 ‘고령자 노동시장 현황 및 개선방안’ 발췌
▲한국고용정보원 연구보고서 ‘고령자 노동시장 현황 및 개선방안’ 발췌

인구통계학적 측면으로 보자면, 10년 전 베이비붐 이전 고령세대에 비해, 1차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고령세대의 경우 고학력 비중이 높아졌다. 이러한 흐름에 대해 위 보고서에서는 “길어진 교육 기간에 상응해 이들의 인적자본이 더 높게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특성은 기존에 획일적으로 이뤄져왔던 고령층 역량 개발 정책이나 재취업 지원 정책, 일자리 알선 체계 등이 인적자본 손실이나 사회적 비효율을 억제하기 위해 보다 세분화되어 설계돼야 할 필요성을 역설한다”고 지적했다.

세분화된 정책 설계를 위해서는, 고령층 가운데서도 ‘누가 일자리를 희망하는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경제활동 인구 변화를 통해 유추 가능하다. 10년 전과 비교해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세대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는 양상이다. 그중에서도 생애 무직자나 경력 단절자들의 노동신장 진입 규모가 커지고 있었다. 즉, 과거에 비해 여성노인의 일자리 희망 비중이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여성 노인을 포함한 고령층의 경우 경제적 이유 등으로 인해 노동시장에 보다 오래 잔류하고자 하면서도, 건강이나 여가를 위해 시간제 일자리를 선호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전일제보다 시간제를 선호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과거 ‘임금 수준’이나 ‘계속 근로 가능성’ 등 일에 대한 보상이나 고용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겼던 것과 달리, ‘일의 양과 시간대’ 등 유연한 근무 환경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흐름이다.

▲동대문디지털플라자에서 열린 '서울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현장에서 채용 상담 중인 중장년 여성들(이지혜 기자 jyelee@)
▲동대문디지털플라자에서 열린 '서울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현장에서 채용 상담 중인 중장년 여성들(이지혜 기자 jyelee@)

보고서에서는 소결을 통해 “이들 세대의 희망 일자리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60세 정년 의무 제도의 강화를 통해 노동시장의 조기 이탈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65세까지 고용 확보 조치(재고용, 정년연장, 정년폐지 등)에 대해서도 사회적으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전직 지원 강화를 위해 재취업지원 의무 및 전직 훈련 프로그램의 내실화, 중고령층 잡 케어 서비스의 강화 등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고 시사했다.

아울러 “고용 환경을 유연화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경력형 일자리 △사회적기업 △노인일자리 △귀농일자리)를 개발하고, 근로 시간 유연화를 통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개발 및 지원 환대가 보완된다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고령인력의 활용 촉진과 고령자 고용의 질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서울시50플러스재단, 중장년 일자리 지원 종합 계획 발표
    서울시50플러스재단, 중장년 일자리 지원 종합 계획 발표
  • 40세 이상 구직자, “'중장년 일자리 상담버스'를 타보세요”
    40세 이상 구직자, “'중장년 일자리 상담버스'를 타보세요”
  •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 시니어일자리센터 개관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 시니어일자리센터 개관
  • 서울시, 한국자동차환경협회와 미래 자동차 분야에 40대 직업전환 지원
    서울시, 한국자동차환경협회와 미래 자동차 분야에 40대 직업전환 지원
  • ‘이야기할머니’가 꾸리는 어린이 문화공연, 14개 도시 순회
    ‘이야기할머니’가 꾸리는 어린이 문화공연, 14개 도시 순회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