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준비되어 있을까? | 노인 천만 쇼크] “내 코가 석자” 상속 의지 낮아져
우리나라는 202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노인 인구는 급증하는 반면 생산 가능 인구는 줄어 경제성장 둔화와 노인 빈곤 심화가 우려됐다. 다행히도 현재 노인 인구에 진입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는 과거의 노인과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신(新)노년층’으로 불리는 그들의 등장이 어떠한 변화를 야기할지 이목이 집중된다.
점점 늘어나는 노인 인구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7월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000만 62명, 전체 대비 노인 인구 비중은 19.51%로 집계됐다. 고령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생산연령인구는 줄어드는 추세다.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2022~2072 장래인구추계’ 가운데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보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2022년 17.4%에서 2072년 47.7%로 증가한다. 반면, 15~64세 생산 연령 인구 비중은 71.1%에서 45.8%로 감소하고, 0~14세 유소년 인구 비중은 11.5%에서 6.6%로 줄어들 전망이다.
신노년층의 가치관 변화
보건복지부가 지난 10월 발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이전 세대와 비교해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고 가치관이 다른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5세 이상이 생각하는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로 3년 전(70.5세)보다 1.1세 상승했다. 지난해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469만 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에는 2590만 원, 2020년에는 3027만 원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 눈에 띄는 것은 재산 상속에 대한 가치관이 바뀌었다는 점이다.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비중이 2020년 17.4%에서 지난해 24.2%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은 51.4%, 부양을 많이 한 자녀에게 많이 상속은 8.8%로 나타났다.
73세까지 일해야 하는 이유
국민연금연구원은 노후 최소생활비에 대해 개인 월 124만 3000원, 부부 월 198만 7000원으로 추정한다. 노후 적정 생활비는 개인 177만 3000원, 부부 277만 원이다. 그러나 실제 고령자가 받는 연금 수령액은 100만 원도 채 되지 않는다. 통계청의 ‘2024년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55~79세의 월 평균 연금 수령액은 82만 원으로 조사됐다. 10명 중 4명 이상이 25만~50만 원 미만을 받고, 그 뒤를 50만~100만 원 미만(32.4%), 150만 원 이상(13.8%)가 이었다. 그러다 보니 고령자는 계속 일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올해 55~79세 고령층 인구 가운데 취업자는 943만 6000명으로 59%의 고용률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더불어 10명 중 7명(69.4%)는 장래에도 일하기를 희망했다. 근로 희망 연령은 73.3세이며, 근로 희망 사유는 ‘생활비에 보탬(55%)’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관련 기사
-
- [2025 노후 트렌드⑤] 노후 소득이 달렸다, ‘연금빌리티’
- 대한민국은 OECD 주요국 중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것을 대비하고 갖춰야 할까? 고령화 시계에 가속도가 붙은 오늘날. 브라보 마이 라이프 기자들이 청년, 중년을 지나 다가올 노년을 ‘잘’ 보내기 위해 챙겨볼 만한 키워드 5가지를 꼽았다. 2025년 새해를 맞이하기 전, 해당 내용을 참고해 감수성의 방향을 설정해보자. Keyword 05. 연금빌리티 머니 파이프라인이란 시스템을 만들어 소득을 발생시키는 창구다. 노후를 위한 파이프라인으로 연금이 거론되며, 대표적으로 국민연금, 퇴직연금,
-
- [2025 노후 트렌드④] 나이 들어도 오래 일해야, ‘저속 은퇴’
- 대한민국은 OECD 주요국 중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것을 대비하고 갖춰야 할까? 고령화 시계에 가속도가 붙은 오늘날. 브라보 마이 라이프 기자들이 청년, 중년을 지나 다가올 노년을 ‘잘’ 보내기 위해 챙겨볼 만한 키워드 5가지를 꼽았다. 2025년 새해를 맞이하기 전, 해당 내용을 참고해 감수성의 방향을 설정해보자. Keyword 04. 저속 은퇴 1964년부터 1974년 사이에 태어난 ‘제2차 베이비부머’ 세대는 은퇴 시점을 맞이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의 ‘2024년 5월 경제활동
-
- [2025 노후 트렌드①] 나이 든 내 몸, AI로 챙겨.. ‘셀프 돌봄’
- 대한민국은 OECD 주요국 중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것을 대비하고 갖춰야 할까? 고령화 시계에 가속도가 붙은 오늘날. 브라보 마이 라이프 기자들이 청년, 중년을 지나 다가올 노년을 ‘잘’ 보내기 위해 챙겨볼 만한 키워드 5가지를 꼽았다. 2025년 새해를 맞이하기 전, 해당 내용을 참고해 감수성의 방향을 설정해보자. Keyword 01. 셀프 돌봄 적지 않은 이가 돌봄은 가족, 요양보호사, 간병인 등 타인과의 관계가 주축이라 여긴다. 공동체의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
- 종로노인종합복지관 정관스님, 대통령 표창 수상
-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 산하 종로노인종합복지관의 관장 정관스님이 30여 년간의 효행과 노인복지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보건복지부는 8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제53회 어버이날 기념식을 열고 효행자, 장한 어버이, 효행 단체 등에 정부포상을 수여했다. 이날 정관스님은 노인복지 현장에서의 헌신과 이웃사랑을 실천한 점을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정관스님은 청각장애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고 가족이 없는 여성 어르신을 30년 넘게 보살피며 실제 거처까지 제공하는 등 몸소 효(孝)를 실천해왔다. 또한 종
-
- 이재명 후보, 노인복지 공약 발표… “어르신 행복한 나라 만들것”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주요 노인복지 공약을 발표하며, “어르신의 노후를 국가가 책임지는 사회가 진짜 선진국”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전쟁과 산업화를 이겨낸 어르신들이 여전히 거리에서 폐지를 주우며 생계를 이어가는 현실은 선진국 대한민국의 민낯”이라며, “가난과 외로움이 아닌 헌신과 노력에 대한 정당한 대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한 주요 공약에는 어르신의 소득 보장, 건강 관리, 돌봄 지원, 공공일자리 확대 등이 포함됐다. 가장 먼저, 기초연금 부부감액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