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세 이상 일하는 노인이 700만 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년 연장과 재고용 제도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2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25년 4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는 690만 6000명으로 전년(656만 6000명)보다 34만 명(5.1%) 증가했다. 이는 1982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역대 가장 높은 수치다.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2021년 1월 448만 8300명에서 2022년 5월 600만 명을 넘어섰다. 그리고 600만 명을 넘어선 지 3년여 만에 700만 명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70세 이상 취업자는 222만 9000명으로 전년(204만 8000명)보다 8.8% 증가했다.
연령대별 취업자 비중을 살펴보면, 60세 이상이 전체의 23.9%를 차지해 50대(23.1%), 40대(21.2%), 30대(19.1%)를 모두 앞질렀다. 고령층이 주요 경제활동계층으로 부상한 셈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4월 고용동향에서도 이 같은 추세는 확인된다. 지난달 전체 취업자는 2888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만4000명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4월 이후 1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34만 명 늘어난 반면, 20대는 17만9000명, 40대는 5만1000명 각각 감소해 세대 간 고용 구조의 변화를 보여줬다. 30대는 9만3000명 증가했다.
고령층의 경제활동 의지는 통계에서도 드러난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5~79세 인구의 평균 근로 희망 연령은 73.3세로 드러났다. 2019년(72.5세)보다 0.8세 높았다. 60~64세는 71.9세, 65~69세는 75.0세, 70~74세는 78.7세, 75~79세는 82.3세였다.
이처럼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자가 증가하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계속고용위원회는 지난 8일 ‘계속고용의무제’ 도입을 제안했다. 현행 60세 정년을 유지하되, 정년 이후에도 일하고자 하는 근로자에 대해 기업이 65세까지 재고용 또는 고용 유지를 의무화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해당 제도가 기업 부담을 가중하고, 비정규직 확산 등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 입장을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