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철의 스포츠 인물 열전] ‘박치기왕’ 레슬링 선수, 김 일

기사입력 2015-11-12 09:01 기사수정 2015-11-12 09:01

사각의 링 위에서 보여줬던 투혼에그토록 열광했던가

2010년 발간된 <대한체육회 90년사>에는 김일(金一)과 김기수가 별도의 항목으로 실려 있다. 한국 아마추어 스포츠의 총본산인 대한체육회의 역사서에 프로 선수가 포함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1980년대 들어 프로화가 된 야구와 축구 등의 국제 대회에 출전한 프로 선수들 이름이 담겨 있기는 하지만 두 스포츠 스타가 활동한 시기는 1960년대이고 이때는 아마추어리즘이 철저하게 지켜지던 때이기도 하다. 더구나 같은 프로 종목이면서도 복싱과 달리 정통 스포츠라고 하기에는 문제가 없지 않은 프로 레슬링 선수인 김일이 포함된 것은 1960년대 한국 스포츠를 말할 때 결코 빼 놓을 수 없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아마추어 종목이 아직은 아시아 무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던 시기에 프로 레슬링의 김일과 프로 복싱의 김기수는 스포츠팬들에게 한국 선수도 얼마든지 세계 정상에 오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안겼다. 또 김일이 터뜨리는 박치기와 김기수가 뻗는 주먹에 1인당 국민소득 100달러 수준의 팍팍한 삶을 살고 있던 국민들은 잠시나마 위안을 얻기도 했다.

중년 이상의 스포츠팬들에게 1960년대 인기 스포츠를 꼽으라고 하면 프로 레슬링은 아마도 첫손가락에 꼽힐 것이다. 이어서 프로 복싱과 여자 농구, 축구 정도가 순위에 들 것이다. 그 무렵 프로 레슬링의 인기는 요즘의 야구 메이저리그나 축구 프리미어리그에 결코 뒤지지 않았다. TV 인기 프로그램은 물론이고 <대한뉴스>에도 빠지지 않고 한 토막 소식으로 등장했다.

1960~1970년대 절정의 인기를 누리던 프로 레슬링의 최고 스타는 ‘박치기왕’ 김일이었다. 김일이 장충체육관에서 자이언트 바바(馬場), 안토니오 이노키(猪木) 등 일본 선수들과 치른 경기는 말 그대로 ‘한일전’이었다. 총과 칼만 들지 않았지 처절한 싸움이 링 위에서 펼쳐졌다.

일본 선수가 게다(일본 나막신)로 김일의 이마를 때리면 김일은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머리를 쓰다듬고는 곧바로 박치기로 일본 선수를 링에 뉘어 버렸다. 그리고 링 위에 나뒹굴고 있는 게다를 관중석으로 던져 버렸다. 관중석은 열광의 도가니였다.

임택근·이광재 등 당대 최고 인기 아나운서들은 목청을 높여 “박치기, 박치기, 박치기~”를 외쳐 댔다. 루 테즈 등 산만 한 덩치의 외국 선수들도 박치기 소리가 3번 이상 울려 퍼지는 일이 거의 없었다. 그 정도 소리를 치면 어지간한 선수는 링 바닥에 벌렁 나가자빠졌다. 경기 중반까지 김일이 일방적으로 몰리거나 악랄한 반칙으로 피를 흘리는 등 체육관 안의 분위기가 달아올랐을 때는 예외적으로 대여섯 차례의 박치기가 상대 선수의 이마를 강타했다.

그 무렵 장충체육관에서 프로 레슬링 한일전이 벌어지면 경기 전부터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아나운서도 긴장하고 흥분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아무개 아나운서의 중계 시작을 알리는 방송 코멘트는 아나운서계의 전설로 남아 있다.

“고국에 계신 동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기는 장충체육관입니다. 지금부터 김일 선수의…” 아무개 아나운서는 태국 등 외국에서 열린 국제 대회 중계가 많았다.

“고국에 계신 동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기는 태국의 수도 방콕입니다. 지금부터 제 5회 아시아경기대회 남자 농구 한국 대 태국의 경기를 중계 방송해 드리겠습니다.” 이래야 제대로인데 서울 한복판에서 ‘고국에 계신 동포 여러분’을 찾고 있었던 것이다.

▲전남 고흥군 거금도 김일생가 기념관에 있는 김일과 이노키의 사진.
▲전남 고흥군 거금도 김일생가 기념관에 있는 김일과 이노키의 사진.

김일은 1929년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어전리에서 태어났다. 1948년부터 1957년까지는 씨름 선수로 활동했다. 당시로서는 큰 키인 180㎝의 당당한 체격으로 씨름판을 휘어잡다가 역도산(力道山)을 찾아서 1956년 일본으로 밀항했다. 불법 체류자로 잡혀 1년 동안 형무소 생활을 하다가 1957년 도쿄에 있는 역도산체육관 문하생 1기로 입문했다. 역도산으로부터 ‘맨손으로 호랑이를 때려잡는 사나이’라는 뜻의 오키 긴타로(大木金太郞)라는 이름을 받았다. 긴타로는 전설 속의 주인공으로, 소문난 장사를 뜻하는 말이다.

1963년 세계프로레슬링협회(WWA) 태그챔피언, 1964년 북아메리카 태그 챔피언, 1965년 극동 헤비급 챔피언, 1966년 도쿄 올 아시아 태그 챔피언, 1967년 제 23대 WWA 헤비급챔피언, 1972년 도쿄 인터내셔널 세계 헤비급 태그 챔피언에 오르며 20여 차례 챔피언 방어전을 치렀다. 장영철, 천규덕 등과 함께 한국 프로 레슬링 1세대로 활약하며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전 국민적인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김일은 말년을 힘들게 지냈다. 1987년 아내를 백혈병으로 떠나보냈고, 자신은 박치기 등 경기 후유증으로 각종 질병에 시달리면서 병원 신세를 져야 했다. 군대에 보낸 막내아들이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나 큰 실의에 빠지기도 했다.

이왕표 등 후배들의 경기나 프로 레슬링 관련 행사에 참석하기도 했지만 지난날 링에서 포효하던 ‘박치기왕’은 더 이상 보기 어려웠다.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여러 사업을 벌이기도 했지만 번번이 실패하면서 좌절을 맛봐야 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국내에 머무르면서 후배 양성과 프로 레슬링 재건 사업에 힘을 쏟았던 김일은 1995년 4월 도쿄돔에서 일본 무대 은퇴식을 가졌다. 국내 은퇴식은 2000년 3월 장충체육관에서 열렸다.

‘레슬링 쇼’ 파문으로 41년 동안 서로 등을 돌리고 지내 왔던 장영철과 뒤늦게 화해해 팬들을 흐뭇하게 하기도 했다. 또 생전에 언제 다시 찾을지 모르는 스승 역도산의 묘지를 참배하기 위해 일본에 다녀오기도 했다.

2005년 11월 그는 대장을 잘라 내는 큰 수술을 받아 한때 생명이 위태롭기도 했다. 다행히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나고 휠체어를 타고 다닐 정도로 회복돼 사회생활을 계속해 나갈 수 있었다. 혹독한 훈련과 치열한 경기의 후유증을 겪으면서도 후배들을 격려하며 프로 레슬링에 대한 애착을 버리지 못했던 김일은 오랜 투병 끝에 2006년 10월 26일 낮 12시 17분 영원히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떠났다. 그의 영전에 놓인 국민훈장 석류장(1994년)과 체육훈장 맹호장(2000년)은 힘들고 어려웠던 시절 온 국민에게 선사한 기쁨의 가치에는 한참이나 모자랐다.

◇ 대한뉴스

1960년대 김일의 프로 레슬링 경기를 서울에 있는 장충체육관에서 직접 볼 수 있는 이는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아직도 많은 국민들이 김일의 호쾌한 박치기 장면을 기억하고 있을까. 텔레비전 수상기가 널리 보급되지 않았던 그 시절 김일의 프로 레슬링 경기와 김기수의 프로 복싱, 박신자의 여자 농구 경기를 볼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대한뉴스>였다. 전국의 모든 극장에서 영화 상영 전에 반드시 영사하던 대한뉴스는 오늘날의 TV 종합 뉴스 편성과 같아서 정치 경제 사회 뉴스에 스포츠 소식이 붙어 있었다. 월남전 소식과 새마을운동 소식은 단골 메뉴 가운데 하나였다. 정부 시책 홍보 수단이기도 했지만 정보 소통을 신문과 라디오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시절 대한뉴스는 매우 중요한 매스미디어 가운데 하나였다. 대한뉴스는 1953년부터 1994년까지 매주 제작됐다. 1945년 해방 이후 조선시보로 시작해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대한전진보, 1953년 대한늬우스로 이름이 바뀌었고 외래어 표기법 개정에 따라 대한뉴우스를 거쳐 대한뉴스로 바뀌었다.

>>>글 신명철 스포티비뉴스 편집위원, 전 스포츠서울 편집국장 smc6404@naver.com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으로 침구 산업 재도약 꿈꿔”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으로 침구 산업 재도약 꿈꿔”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 배우 김수미 별세... 향년 75세
    배우 김수미 별세... 향년 75세
  • 쓰러진 승마협회, “다시 질주해야죠”… 박서영 대한승마협회장
    쓰러진 승마협회, “다시 질주해야죠”… 박서영 대한승마협회장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