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사람들은 어려울 때 본모습이 드러난다고 한다. 어려울 때 위기를 회피하려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적극적으로 위기를 헤쳐나가며 극복하려는 사람들도 있다. 이때 위력을 발휘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그 사람의 ‘삶의 철학’이다. 회사의 경우 회사의 철학, 즉 핵심가치다. 짐 콜린스는 ‘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에서 존슨앤드존슨(J&J) 사례를 통해 핵심가치의 중요성을 설득력 있게 들려준다. 존슨앤드존슨은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기업 이익’보다 우선 가치로 삼았고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이에 근거해서 해결했다. 기업이든 가정이든 개인이든 철학이 있느냐, 그 철학이 무엇이냐에 따라 위기를 극복하는 모습도 달라진다. 기업에는 핵심가치가 있어야 하듯이 개인에게는 좌우명이, 가정에는 가훈이 있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게 ‘보이지 않는 힘’으로 작용해 위기를 극복해내는 것이다.

로스차일드가는 1750년부터 사채업을 시작해 지금까지 8대, 250여년에 걸쳐 세계 최대의 금융제국을 유지해오고 있는 신화적인 가문이다. 가문을 일으킨 마이어 암셸 로스차일드(1744~1812)는 프랑크푸르트에서 고리대금업을 시작해 1800년 은행을 만들고 이어 다섯 아들과 함께 영국 런던, 오스트리아 비엔나,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 나폴리에 지점을 세웠다. 각 지점은 형제애로 서로 돕는 ‘파트너십 관계’를 형성했다. 다섯 아들은 나폴레옹 전쟁과 제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19세기에 이미 4억 파운드 재산(60억 달러)을 보유했다.
로스차일드 가문이 급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가족 간의 화합과 결속’이다. 가족 간 화합은 250여 년 동안 로스차일드가의 트레이드마크였던 것이다. 죽음을 앞둔 창업자 마이어는 다섯 아들을 앞에 두고 유언 대신 평소 즐겨 들려주었던 ‘다섯 개 화살’의 일화를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들려주었다. 그 일화는 기원전 6세기 무렵 카스피해 일대에서 강대한 국가를 건설했던 유목민족인 스키타이의 왕이 임종 직전 다섯 왕자에게 말했다는 것이다. 왕은 한 묶음의 화살 다발을 내밀며 한 사람씩 그것을 꺾어 보라고 말했다. 아무도 그것을 꺾지 못하자 왕은 화살 다발을 풀어 하나씩 주고 꺾어 보게 했다. 이번에는 누구나 쉽게 부러뜨렸다. 왕은 말했다. “너희들이 결속해 있는 한 스키타이의 힘은 강력할 것이다. 그러나 흩어지면 스키타이의 번영은 끝날 것이다. 형제간에 화합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