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량대첩, 조선의 운명을 건져 올리다

기사입력 2017-08-03 08:54 기사수정 2017-08-03 08:54

정유재란 격전지를 찾아서

정유년인 올해는 정유재란(1597.1~1598.12) 발발 420주년이다. 임진왜란으로부터는 427주년.

임진왜란이 치욕의 역사였다면, 정유재란은 왜군이 충남 이북에 발도 못 붙인 구국승전의 역사다. 그 전적지는 진주, 남원, 직산 등 삼남지방 곳곳에 있지만 옛 자취는 찾기 어렵다. 뚜렷한 자취가 남아 있는 곳은 왜군이 남해안을 중심으로 농성하던 성터들이다. 주로 경남 중동부 해안에 밀집한 왜성 터들도 오랜 세월 허물어지고 지워져 갈수록 희미해져간다. 왜성이라는 이유로 사적지 지정이 해제된 탓이다. 근래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그 중요성에 눈을 떠 옛 모습대로 복원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는 아직도 방치되어 있다. 치욕의 역사도 반드시 기억해야 할 역사다. 더 늦기 전에 지금 모습이라도 남겨둬야 한다.더 사라지고 훼손되기 전에 역사 현장 보전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정유재란의 역사적 의미를 천착하기 위해서라도 그 흔적을 돌아볼 필요가 있어 <브라보 마이 라이프>에 게재하기로 한다.

▲현장에서 재현된 명량대첩 상황
▲현장에서 재현된 명량대첩 상황

명량대첩의 기적은 기울어져가던 조선의 운명을 건져 올렸다. 서해안을 타고 올라가 한강하구로 도성을 도모하려던 왜군의 계획을 보기 좋게 좌절시킨 것이다. 원균의 칠천량 패전으로부터 꼭 2개월, 13척의 전선으로 300척이 넘는 왜선을 격퇴한 기적 같은 승첩이었다. 이순신 장군 스스로 천행이었다고 기록한 전투였다.

후세 역사가들은 이 승전을 세계 4대 해전사의 하나로 등재했다. 150척이 넘는 전선이 수몰되고, 장수도 군졸도 죽고 흩어져 전력 제로 상태의 조선수군이 어떻게 그런 기적을 이루어낸 것인가. 믿을 수 없는 이 전투의 경과는 여러 나라 해군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러일전쟁의 영웅 도고 헤이하치로(東鄕平八郞) 제독은 자신을 군신(軍神)이라고 떠받드는 말에 “진정한 군신은 이순신 정도다. 그에 비하면 나는 하사관 정도도 못 되는 사람”이라고 말한 바 있다.

옥에서 풀려나 백의종군 길에 오른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복직된 것이 기적의 단초였다. 8월 3일 진주에서 복직교서는 받았지만 달랑 종이 한 장뿐이었다. 군영도, 병력도, 군량도, 전선도 없는 완전 제로였다. 그래서 기적이었고 세계 4대 해전으로 꼽히는 것이다.

▲일제가 철거했던 명량대첩비
▲일제가 철거했던 명량대첩비

그날부터 이순신은 전라도 해안 지역과 내륙 지방을 순회하면서 수군 재건을 서둘렀다. 그가 다시 수군을 이끌게 되었다는 소식이 퍼지자 숨었던 군관들과 군졸들이 모여들었다. 그들 모두가 한심한 패전에 분을 품었던 모양이다. 배흥립(裵興立), 송희립(宋希立), 이몽구(李夢龜), 최대성(崔大晟) 등 옛 측근들이 상사를 찾아와 진용이 갖추어지자, 거제 현령, 발포 만호 등 지방관들도 낯을 내놓았다. 다시 옛날과 같은 권한을 쥐게 된 사람과 관계를 수복하려는 것이었다.

순천, 보성, 장흥 땅을 거쳐 전선의 소재를 찾아가는 동안 군관 군졸이 120여 명으로 늘었고, 보성에서는 창, 칼, 활, 화살 등 무기류에 약간의 군량미까지 손에 넣게 되었다. 피란민들도 이순신 가까이로 몰려들어 든든한 배후가 되어줬다. 배설(裵楔)이 끌고 도망쳤던 12척의 전선은 우여곡절 끝에 8월 19일 장흥 회진포에서 인수되었다. 이순신이 무서웠던 경상우수사 배설은 주저주저 현장에 나타나 전선을 넘겨주고는 명량회전이 임박하자 도망쳤다.

왜적이 자신을 찾아나선 사실을 모를 리 없는 이순신은 즉시 회진포를 떠나 서쪽으로 항해를 시작했다. 안전한 포구를 찾아 진용을 정비하고 교육·훈련도 서두를 필요가 있었다. 왜적에게 쫓기며 수군 재건에 노심초사 과로한 탓인지, 토사곽란이 일어 꼬박 사흘을 앓았지만 편히 누워 쉴 수가 없었다.

이진(梨津·해남군 북평면), 어란포(於蘭浦·해남군 송지면)에 진을 치자 왜적이 알고 달려왔다. 전의와 실력을 떠보려는 것이었다. 어란포에 닻을 내린 8월 28일 새벽 왜 척후선 8척이 포구 안으로 돌입해왔다. 칠천량 이후 사기가 오른 탓도 있겠으나, 전선이 10여 척뿐이라는 것을 알고 얕잡아보는 것 같았다. 이순신은 즉시 출동 명령을 내렸다. 우리 전선이 마주 나가 싸움을 걸자 적은 황급히 달아났다.

야습을 우려한 이순신은 즉시 진도 벽파진(碧波津)으로 진을 옮겨갔다. 그곳에서 보름 동안 머물며 참모들과 함께 왜의 대군을 맞아 싸울 궁리에 머리를 싸맸던 이순신은 마침내 울돌목을 최후의 결전장으로 선택하기에 이른다. <난중일기> 15일자에 그 까닭이 적혀 있다. “벽파진 뒤에 명량이 있는데 수효 적은 수군으로 명량을 등지고 진을 칠 수가 없기 때문”이라 했다.

진도와 해남 땅 화원반도를 가르는 좁은 해협은 옛날부터 물길이 사납기로 유명한 곳이다. 진도대교가 놓인 곳은 폭 300여 m에 불과한데 수중에 날카로운 암초가 많아, 조류가 바뀔 때면 회오리 물결이 일어 물소리가 20리를 간다고 울돌목이란 이름을 지녔다. 그 말은 과장이 아니었다. 진도읍에서 고속버스를 내려 되돌아 나와 도보로 대교를 건너면서 실감할 수 있었다. 물목이 300m 정도인 바닷속에 수심이 20m 정도밖에 안 될 정도로 뾰족뾰족한 한 암초가 숨었다니, 조류가 바뀔 때 물살이 울고 돌지 않고 어쩌랴! 특히 해남 쪽 물길이 크게 울었다.

흰 거품을 뿜어내며 세차게 소용돌이치는 모습을 내려다보면서 당시의 통쾌한 전황이 떠올랐다. 조류가 한창 빠를 때는 해남 쪽 해안에서 뜰채를 들고 있다가, 수면 위로 솟아오르는 숭어를 잡는다는 말도 이해되었다.

결전의 날이 왔다. 9월 16일 별망군(별도로 조직된 정탐조)이 보고하기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적선이 명량을 거쳐 우리 배를 향해 들어오고 있다”고 했다. 어란포와 그 부근에 진을 쳤던 무리들이다. 이순신을 따라온 해상 피란민들이 벽파진 인근 야산에 올라 헤아린 바로는 왜선이 300척이 훨씬 넘는다 했다. <난중일기> 초고에도 330척으로 기록돼 있다.

▲진도대교에서 내려다본 울돌목 물길
▲진도대교에서 내려다본 울돌목 물길

적 선봉장은 해전의 천재라는 구루시마 미치후사(來島道總)였다. 마다시(馬多時)라 불리던 그는 임진년 당항포 해전에서 왜군 함대를 이끌다 전사한 지휘관의 친동생으로, 안골포에 진을 두고 있었다. 그는 “내 손으로 이순신의 수급을 베어 형의 원수를 갚고 서해를 통해 경강(京江·한강)으로 항진하겠다”고 나선 인물이었다.

이 이야기는 14일자 <난중일기> 기록으로 입증된다. 이날 탐망군관 임준영(任俊英)이 왜적선 200여 척 가운데 55척이 어란에 들어왔다는 보고 끝에 “왜적에게 붙잡혔다가 도망쳐 나온 김중걸(金仲傑)이 말하기를, 왜적이 각처의 배를 불러 모아 합세해서 조선수군을 섬멸하고 경강으로 올라가기로 의논이 되었다는 말을 들었다”고 적혀 있다. 연합선단을 꾸려 어떻게든 서해를 장악하려는 의도가 확인된 셈이다.

왜군은 수군 총사령관 구키 요시다카(九鬼嘉隆)였다. 그 휘하에 해전에 능하다는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 가토 요시아키(加藤嘉明), 도도 다카도라(藤堂高虎), 구루시마 미치후사(来島通総) 등 제장이 총동원되었다. 현지 해역에 330척을 비롯해 남서 해안 곳곳에 숨겨놓은 것을 다 합치면 적세는 1000척으로 추산되었다.

출진 전날 이순신은 장수들에게 유명한 정신무장 훈화를 남겼다. “병법에 이르기를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살려고만 하면 죽는다(必死卽生 必生卽死) 하였다. 한 사람이 길목을 지키면 족히 1000명이라도 두렵게 할 수 있다.”

드디어 결전의 날이 밝았다. 16일 오전 9시쯤 명량해협에 나타난 적은 진도 해안에 머물다가 유속이 느려지기 시작한 정오 가까이 되어 울돌목에 나타났다. 이에 맞추어 이순신 함대도 우수영을 떠나 울돌목 동북쪽, 우수영 포구를 감싸고 있는 양도 앞 바다에서 전투대형을 이루고 기다렸다. 맨 앞에 이순신의 기함, 그다음이 김응함(金應諴)의 중군선단, 그 뒤가 김억추(金億秋)의 후군선단, 그 배후에 전선으로 위장한 피란민 어선 100여 척이 포진했다.

“곧 여러 배에 명령하여 닻을 올리고 바다로 나가니 적선 130여 척이 우리 배를 에워쌌다. 여러 장수들은 적은 군사로는 많은 적을 대적할 수 없다 없다고 낙심하면서 모두 회피할 꾀만 냈다. 그 와중에 김억추는 벌써 2마장 밖으로 물러나 있었다. 나는 노를 바삐 저어 앞으로 돌진하면서 지자, 현자 등 각종 총통을 마구 쏘아 탄환이 폭풍우같이 쏟아지고, 군관들이 배 위에 총총히 늘어서 화살을 빗발같이 쏘니 감히 대들지 못하고 나왔다 물러갔다 하였다.” 16일자 <난중일기>에 적힌 초기 상황은 이렇게 위태로웠다.

▲일제 헌병의 총탄에 맞은 자국
▲일제 헌병의 총탄에 맞은 자국

겁을 먹은 중군과 후군이 멀찌감치 물러서 있고 이순신만이 고군분투하는 장면이다. 배를 돌려 군령을 내리려 해도 적이 대들 것 같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이순신은 초요기(부르는 깃발)를 세웠다. 중군장 김응함과 거제 현령 안위(安衛)가 다가왔다. “안위야, 군법에 죽고 싶으냐, 도망친다고 어디 가서 살 것이냐?” 통제사의 질책을 받은 안위가 마지못해 적진으로 돌입했다. 김응함에게도 같은 호령이 떨어졌다. “대장을 구원하지 않는 죄를 어찌 면할 것이냐? 당장 처형할 것이로되 적세가 급하므로 우선 공을 세우게 한다.”

▲진도 쪽 해안에서 본 진도대교
▲진도 쪽 해안에서 본 진도대교

두 장수가 적진으로 뛰어들자 다른 배들도 용기를 내어 본격적으로 해전이 시작되었다. 적 대장선과 휘하 두 척의 군사들이 안위의 배에 오르려고 개미 붙듯 한 것을 보고 이순신이 달려가 총통과 화살을 마구 날렸다. 녹도 만호 송여종(宋汝淙), 평산포 대장 정응두(丁應斗)의 배도 달려와 합세했다. 지자, 현자 총통 소리가 산천을 뒤흔들고 화살이 빗발처럼 날았다.

왜군이 남긴 명량해전도에는 조선수군이 쇠뇌를 발사하는 장면이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쇠뇌는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화살이 발사되는 장치로, 5~10초당 한 발씩 쏠 수 있어 왜적이 무서워한 무기다.

한창 교전 중 기함에 타고 있던 준사(俊沙)라는 항왜(降倭)가 “적장 다마시가 바다에 빠졌다”고 말했다. 총통이 대장선 층루에 맞아 선교가 통째로 부서져 바다에 떨어진 것이었다. 이순신이 물 긷는 병사 김돌손(金乭孫)을 시켜 갈고리로 적장을 낚아 올렸다. 준사는 “그래, 다마시 맞다!” 하며 좋아 날뛰었다. 그의 시신이 토막토막 잘려 대장선에 효수되자 갑자기 적진이 조용해졌다.

그 틈에 조선함대는 북을 크게 울리고 함성을 지르며 돌진해 들어가 적선을 만나는 대로 부딪쳐 깨트리고 불화살을 쏘았다. 삽시간에 31척이 분멸되었다. 때마침 조류의 방향이 바뀌어 적진은 우왕좌왕했다. 어쩔 수 없었던지 적은 남쪽으로 도망치기 시작했다. 조류에 떠밀려 북쪽으로 흘러든 적선들은 후위의 어선들에게 협공을 당해 흩어졌다.

우리 측 인명과 전선은 전혀 피해가 없었고, 부상자는 기함에서 5명, 전체로는 100명이 안 되었다. 13척의 전선으로 300척이 넘는 적 함대를 물리친 전대미문의 승첩이었다.

유성룡의 <징비록>에는 이때 조선수군 병력이 8000명이라 했다. 불과 2개월 전 120명을 거느렸던 ‘회령포 결의’ 때와 비교하면 믿어지지 않는 숫자다. 유성룡은 이순신이 통행첩을 발행해 막대한 전비를 충당했다고 썼다. 바다로 피란 온 백성들에게 큰 배는 쌀 3섬, 중간 배는 2섬, 작은 배는 1섬씩을 받고 통행첩을 발행해주었다는 것이다. 또 백성들이 갖고 있는 구리와 쇠 등을 모아 대포를 주조하고, 나무를 베어 배를 만들었다. 이순신에게 의지해 난리를 피하려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성안에 다 수용하지 못할 정도였다. 이런 실정으로 보아 병력 자원 해결이 어렵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왜적 함대가 그토록 허무하게 깨진 데는 여러 원인이 있지만, 무엇보다 세키부네(關船)라는 전선이 조선 판옥선보다 몸체가 작아 충돌에 약한 탓이었다. 임진년 연전연패에 충격을 받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전선 대형화를 명해 정유년에는 몸체가 큰 아다케부네(安宅船)가 많이 왔다. 그러나 폭이 좁은 해협에 들어설 수가 없어 뒤에 물러서 있다가 싸워보지도 못하고 쫓겨간 것이다.

조선수군 승인의 하나로 거북선의 역할이 거론되기도 하는데, 이 부분은 더 고증되어야 할 문제다. 8월 19일 배설에게서 12척을 인수하고 1개월도 못 되는 사이 거북선을 건조할 시간이 있었겠냐는 의문이 해결되지 않았다. <난중일기>, <선조실록>, <징비록> 같은 신빙성 높은 기록에 거북선이 출전했다는 기록은 없다.

또 한 가지는 ‘쇠사슬’론이다. 조선수군이 울돌목 바다 밑에 쇠사슬을 가설해 적선이 걸려 항진할 수 없었다는 학설인데, 이 역시 기록이 없어 증빙이 되지 않는다. 쇠사슬은 임진년 이순신이 전라좌수영 해역에 설치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는 항만 방어용이었지 실전에 이용된 기록이 없다. 다수 학자들은 물살이 센 울돌목에는 무게가 몇십 톤이나 되는 쇠사슬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지지하고 있다.

진도대교를 건너기 직전인 해남 땅에 국민관광지 명량대첩 기념공원이 있다. 작년에 개관한 기념관에는 거북선과 판옥선 실물대 모형선과 전쟁 경과 등에 관한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지만 눈에 띄는 유물은 없다. 진짜 유물은 거기서 2km쯤 떨어진 우수영 마을에 있는 명량대첩비다.

숙종 때(1688년) 건립된 이 비석 상단에 새겨진 ‘통제사충무이공명량대첩비’ 전액 12자는 <구운몽>의 작가 서포 김만중(金萬重)의 전서체로 유명하다. 1942년 일제가 강제 철거해 조선총독부청사 뒤편에 방치했던 것을 1950년 우수영 지역 유지들이 되찾아 세웠다. 처음에는 우수영성 밖에 이건했다가, 2011년 도로공사 관계로 처음 자리로 되돌아왔다.

1964년 우수영 마을에 건립된 사당 충무사도 지난 5월 비석 옆으로 이전 건립되어 비로소 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비석을 둘러보다가 현지 주민에게서 기막힌 수난사를 들었다.

“왜놈 헌병 둘이 비석 앞에 와서 권총을 꺼내 몇 발이고 비석을 쏘아버리두만. 비석이 무슨 죄라고. 그때의 파편이 저기 저렇게 남아 있소.”

철거 당시 일곱 살이었다는 노인은 지금도 그 심보를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비석 상단을 유심히 보니 어린애 주먹 크기의 총탄 자국이 몇 개 식별되었다.

대승첩 직후 이순신은 빠른 조류를 타고 당사도(唐沙島·신안군 암태면), 어의도(於義島·신안군 지도읍), 법성포를 거쳐 전북 고군산 열도까지 진출했다. 명량승첩과 이순신의 건재를 알려 피란민들을 안심시키려는 행보였는데, 왜군의 추적을 따돌리려는 의도도 있었을 것이다.

왜군은 어디에 숨었을지 모를 조선함대가 두려워 서해 진출은 꿈도 꾸지 못했다. 신출귀몰하는 이순신의 전법에 또 어떤 수모를 당할지 모를 일 아닌가. 참패의 원수는 갚아야겠는데 바다는 무서웠다. 그래서 택한 것이 뭍에 있는 이순신의 고향집이었다.

10월 14일, 일단의 무리가 아산 금성촌 이순신 본가에 불을 지르고 분탕질을 쳤다. 막내아들 면(葂)이 그 와중에 전사했다. 이 소식을 들은 이순신은 영내에 있는 민가에 들어 밤새 통곡했다. 그날 밤 코피를 한 되 넘게 흘렸다는 기록도 남았다. 영웅도 일상으로 돌아오면 우리와 같은 인간이었던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크게 보고 처신한 넘사벽 컬렉터… 문화보국 염원한 전형필 가옥
  •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 역사의 상처 속 유적에서 유쾌한 탐방, 부산시민공원
    역사의 상처 속 유적에서 유쾌한 탐방, 부산시민공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