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그의 진짜 직업은 원자력 전문가.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서 근무하며 눈앞으로 다가온 퇴직을 준비 중인 엔지니어다. 평생을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관련한 일을 하며 살았고, 국내에서 운영 중인 상당수의 원전은 그의 손을 거쳤다. 정년이 가까워지면서 회사에서 운영하는 퇴직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됐고, 박씨의 선택은 목공예였다.
“나무가 주는 독특한 매력이 있어요. 질감에 향기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죠. 한번 작업을 시작하면 시간가는 줄 모르고 몰입하는 과정도 무척 행복해요. 사실 그 전부터 집 안의 간단한 인테리어를 위한 목공예는 직접 해왔어요. 하지만 전문적으로 배우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일이니까 제대로 배워보자 싶었죠.”
교육을 통해 그는 도면을 그리는 법, 공구나 장비를 다루는 법도 새로 배웠다. 원전 건설 현장에서 호령하던 그였지만 안전하게 자신만의 가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초가 중요했다.
“안전이 우선이니까요. 일종의 직업병이라고 할까요. 발전소 지을 때도 사고가 나면 가장 먼저 다치는 건 엔지니어 당사자라서 허투루 작업할 수 없었어요. 가구를 만드는 과정도 비슷해요.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죠.”
그가 목공예를 선택한 또 하나의 이유는 남을 도울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 그간 사회에서 혜택을 받고 살아온 만큼 이제는 재능기부를 통해 사회에 되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나서고 싶다는 게 그의 바람이다.
“최근에 도시 재생이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잖아요. 도시 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목공예입니다. 아직 배우는 단계라 어디까지 힘을 보탤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말이죠.”
수료 후에는 방과 후 학습을 통해 아이들에게 나무 다루는 법을 가르치거나, 직접 제작한 물품들의 기부도 생각하고 있다. 또 소외계층 가족의 집수리도 그가 해보고 싶은 봉사활동이다.
이 과정에서 기대하는 것 중 하나는 다양한 관점이나 감각을 통해 사고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그동안의 업무 환경이 아무래도 젊은이들의 미적 감각과는 거리가 멀었던 만큼 고리타분한 기성세대의 관념에서 탈피해보고 싶은 것이 그의 희망이다. 이러한 변화를 위해 그는 목공예뿐만 아니라 캘리그라피나 도시농업도 배우고 있다.
목공예를 시작한 덕분인지 요즘 집에서 인기가 높아졌다고 즐거워한다. 그가 만든 가구에 시집간 딸과 며느리가 반해 주문량이 늘었기 때문이다. 재료값이 만만치 않다며 볼멘소리를 하면서도 이런 반응이 싫지는 않은 눈치다.
“수납장과 탁자를 만들어줬는데 색상이 맘에 든다면서 아주 좋아하더라고요. 겉치레가 아니라 진심으로요. 제품을 써보더니 믿음이 가는지 또 만들어달라고 성화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