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파스퇴르유업에서 특판팀장을 했어요. 그곳에서 한참을 일하다 놀이동산 드림랜드로 옮겨 총괄팀장을 맡았죠. 퇴직을 한 뒤에는 청과 도매업에 손을 댔어요. 제가 전기 관련 일을 하게 될 거라고는 상상도 못했죠.”
그러다 태양광 분야에 발을 들인 것은 2009년. 지인의 소개로 관련 업계에 취업하게 되면서다.
“입사하자마자 태양광 발전소 건설 현장으로 발령을 받았어요. 완전히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불려간 셈이죠. 당시에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오늘 해야 하는 공정과 진척 상황을 체크하는 것뿐이었어요. 그리고 또 다음 날 목표 공정을 확인하는 일이 반복됐죠. 기술 분야가 그렇듯이 초기에는 고참들이 잘 알려주지 않았어요. 특유의 폐쇄성 때문이죠.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는 없었죠. 그때부터 독학을 했어요.”
공부에 정도는 없었다. 관련 책을 찾아 읽어보고 인터넷 서핑을 통해 외국 자료도 놓치지 않았다. 다행히 기술 분야에 대한 소질은 있었는지 기대 이상으로 빠르게 습득해나갔다. 그렇게 그의 손을 거쳐 간 발전소는 100군데도 넘는다.
“운도 따르고 노력까지 더해지면서 성과가 나기 시작했어요. 그 덕분에 에타솔라 창업과 동시에 합류 제안을 받았고, 2011년부터 지금까지 재직 중입니다.”
과연 독학으로 얼마나 공부가 됐을까 함부로 평가절하할 수도 있지만, 현재 그는 관련 강의까지 한다.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태양광 발전 타당성 검토 분야 강사로 회원들을 만나고 있는 것이다.
단순히 설비만 설치하고 제품만 판매한 것은 아니다. 그도 직접 태양광 발전사업에 뛰어들었고, 다른 사업자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과정을 겪었다.
“3년 전 좋은 부지를 확보하게 돼 저만의 발전소를 지었죠. 수익률은 좋았지만 규모가 성에 차지 않았어요. 하다 보니 욕심이 생기더라고요. 그래서 이전 발전소는 매각하고 좀 더 큰 발전소를 지으려고 준비 중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사업자의 마음을 더 이해할 수 있게 됐죠. 언젠가 반드시 새롭게 시작하고 싶어요.”
태양광 발전사업을 하면서 직업병도 생겼다. 발전소 짓기에 괜찮은 땅이 있는지 전국을 누비면서 관찰하는 습관이다. 그는 태양광 발전사업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에게 자문할 것을 조언한다. 공부를 한다 해도 이론과 실제가 많이 달라 개인 차원에서의 접근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는 것.
“실제로 관련 회사들을 보면 영업을 전문으로 하는 브로커도 많고, 시공은 하청을 주는 회사도 많아요. 또 면허를 빌려 일하는 회사, 적은 인력으로 시한부 운영을 하는 업체도 적지 않으니 잘 살펴봐야 합니다. 그 회사의 기술력을 보려면 직접 기획부터 시공, 개발 과정까지 확인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