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노라면 가끔은 숨을 공간이 필요하다. 젊은 날이었다. 과음을 하고 동료들 몰래 건물 뒤로 돌아가서 시원하게 토악질을 해댔다. 보고도 못 본 척해주면 좋으련만 꼭 뒤따라와서 등을 두드려 주는 선배가 있었다. 썩 고맙지는 않았다. 손등에 흉터를 가리려는데 까뒤집어 들어내게 하며 “야! 우리 톡 까놓고 지내자” 하고는 정작 자신은 드러내지 않는 유형이다.
취업포털 사이트 커리어가 직장인 391명을 대상으로 ‘직장에서 가장 바라는 공간’을 물었다. 응답자의 49.6%가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수면공간을 원했다. 이어 산책 공간 (17.4%), 당구 탁구 등 레저가 가능한 공간(10.2%),자유로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카페 또는 매점(8.2%), 따로 건물 밖이나 옥상에 가지 않아도 흡연할 수 있는 흡연 공간(6.7%) 순이었다. 목적은 달라도 남들로부터 방해받지 않는 나만의 공간을 누구나 원한다. 회사 사장님이 들으면 펄쩍 뛸지 모르지만 정말 직원을 위한다면, 나아가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라도 직원 수면공간을 만들어 주는 건 긍정적으로 검토해볼 만하다.
통계자료를 더 살펴보면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않은 미혼의 20~30대는 나만의 공간으로 ‘내방’이 있다. 부모들이 자신의 방을 희생해서라도 자식의 방은 만들어줬다. 결혼 후에는 내방이 있어도 나만의 공간으로 인식하지 않거나 못한다. 심지어 40~50대는 나만의 공간이 자동차 안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드라마 속 남자 주인공은 퇴근 후 집이 아닌 혼자만의 공간인 오피스텔로 간다. 혼자 조용히 샤워를 하고 맥주를 마시며 스포츠방송을 보며 자신만의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다시, 들어왔을 때의 차림으로 갈아입고 아내와 아이들이 있는 집으로 간다.
나이 들면 나만의 공간이 점점 더 없어진다. 커피숍에 가도 온통 젊은이들 천지다. 그들은 나이 먹은 나를 의식하지 않는데 나는 그들이 불편해할까 봐 조바심 나서 오래 있지 못한다. 자식들이 결혼해 집을 나가면서 내 방이 생겼다. 오랜 습관 때문인지는 몰라도 내방이라는 인식이 덜하다. 비상금은 회사에 있는 내 책상 서랍에 두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한국블로거협회’에서는 매주 월요일 회원들끼리 지역별로 모여서 ‘월요브런치클럽’이라는 오프라인 행사를 한다. 퇴직하고 특별히 갈 곳도, 만날 사람도 없는 도시의 은퇴자들을 동병상련(同病相憐)의 마음으로 집 밖으로 끌어내는 수단이다. 서로 관심사에 대해 이야기도 하고 밥도 한 끼 먹는다. 문제는 만나서 수다를 떨 공간이 절대적으로 없다는 것이다. 1만 원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만 원의 행복’을 하려다 보니 카페에서는 커피 값이 부담되고 오래 앉아있으면 눈총이 느껴진다.
짐승들도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숨을 곳을 찾아야 살아남는다. 그것도 여의치 않으면 자신의 몸을 주위의 나뭇잎 색깔과 같게 보호색으로 변화 시켜 위장술로 숨는다. 사람도 혼자 있는 공간이 있어야 사색도 하고 꿈도 꾼다. 정부나 지자체에서도 은퇴자들에게 이런저런 교육만 시키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갈 곳 없는 도시의 은퇴자들이 혼자서 또는 삼삼오오 몰려와서 떠들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나만의 공간’, ‘우리의 아지트’를 만들어 주는 것도 고려해봄 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