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만의 ‘장기’ 아지트 보라매공원에 가다

기사입력 2019-04-24 14:24 기사수정 2019-04-24 14:24

오만성 (사)대한장기연맹 경기운영부위원장 / 장애인장기부위원장

자전거를 타거나 혹은 트랙 위를 걷는 사람들. 작은 호수를 돌며 오순도순 얘기 나누는 모습이 정겨운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동의 보라매공원. 이들 사이로 사람들이 많이 모인 파고라가 보이는데 안에서는 큰 부대(?)를 이뤄 시니어들이 장기를 두고 있다. 1년, 열두 달, 365일. 적게는 50명에서 많게는 100명이 넘게 모이는 곳. 장기판이 그럴싸하게 탁자 위에 놓여있고 밤에 불도 켜지면서 장기 성지로써의 모습을 갖췄다. 유유자적 자유로워 보이지만 사실 이곳을 관리하는 사람은 따로 있다. 바로 (사)대한장기연맹 경기운영부위원장이자 보라매공원 장기 동호회 총무를 맡고 있는 오만성 씨. 그를 만나 시니어의 아지트가 된 보라매공원에 대해서 들어봤다.

▲오만성  (사)대한장기연맹 경기운영부위원장. 그 뒤로 장기를 두는 시니어들의 모습이 보인다.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오만성 (사)대한장기연맹 경기운영부위원장. 그 뒤로 장기를 두는 시니어들의 모습이 보인다.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Q. 보라매공원에는 언제부터 장기를 두는 사람들이 많았나?

A. 공군사관학교가 충청북도 청원군으로 이사하고 1986년 봄, 그 자리에 보라매공원이 생겼다. 현재 장기 두는 장소가 입구에서 비교적 가깝고 외져서 사람들이 모인 것 같다. 공원이 들어서고 나서부터 장기판을 들고 한, 두 명씩 모이기 시작했다. 벤치에서 매일 같이 장기를 두다보니 “여기에 오면 장기를 둘 수 있구나” 하면서 어쩌다가 형성됐다. 이곳에는 30년 전부터 나와서 장기 두는 고참이 10명 정도 있고 최하 10년 이상 된 분들이다.

Q. 언제부터 지금처럼 장기 두기 좋은 장소로 변모했는가?

A. 거의 30년 동안 파고라 안에 벤치 6개만 있었다. 그 자리가 좁으니 돗자리도 깔고 장기를 두는 처지였다. 나 혼자서 공원 관리사무실에 방문해 장기를 둘 수 있게 시설을 보강해 달라고 요구했다. 물론 처음에는 들어주지 않았다.(웃음) 그럼 의자가 너무 노후 됐으니 바꿔달라고 했다. 3년 전부터 조금씩 바꿔가기 시작해 작년 말, 완벽하게 파고라 안이 장기를 둘 수 있는 공간이 됐다. 탁자는 특수하게 기원처럼 높낮이를 맞춰서 설계하고 장기판을 고정했다. 장애인이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분들을 위해 한 곳은 의자를 놓아두지 않았다. 장기동호회도 만들었다. 조금씩 회비를 모아서 장기판과 알도 넉넉하게 구비해 두었다. 커피도 마시고 친교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Q. 장기는 전통놀이인가, 아니면 스포츠인가?

A. 장기는 브레인 스포츠이다. 우리나라의 장기 역사가 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데 시니어들이 즐기는 전통놀이로만 알지 스포츠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시니어들과 장애인들이 즐기기 좋은 브레인 스포츠가 장기 아닌가. 우리는 육체적으로 땀 흘리는 운동을 못 한다. 머리를 계속 쓰는 스포츠를 통해서 정신을 맑게 하고 치매도 예방하는 좋은 점이 있다. 젊은 사람들은 장기를 노인들의 놀이로만 생각한다. 장기 대회가 열리면 젊은 기사도 많고 여자 기사도 있다. 편견이 심한 것이 아쉽다. 2년 전 장기와 체스 전문 채널인 브레인TV가 채널 이용 인구조사를 했는데 당시 한 1천만 명이라는 통계가 나왔다. 장기에도 그만큼 팬이있다는 뜻이다.

Q. 바람이 있다면?

보라매공원 안에 브레인스포츠센터 건립을 했으면 한다. 공원 측에서 지금도 부분을 신경 써주신다. 겨울철에는 장기를 두는 시니어를 위해서 파고라에 비닐 천막도 씌워준다. 하지만 그것으로는 추운 겨울나기가 쉽지 않다. 멀리서 보면 양계장 같다는 사람도 있다.(웃음) 정말 매일 이곳에 사람들이 모인다. 갈 곳은 없고 취미가 장기인 시니어가 인천, 분당 등 멀리서도 온다. 천막을 치지 말고 접이식 창문으로 해달라며 관리사무실에 얘기하고 있다. 하지만 건물을 지어야 하는 상황이라서 뚝딱하고 쉽게 진행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그냥 지금까지 했던 것처럼 꾸준히 찾아가서 얘기하는 수밖에 없다. 모든 세대를 위해 공원이 존재한다. 그것이 공원의 기능이다. 장기를 두는 우리들도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이다. 반려견을 위한 공간을 포함해 체육시설이 12개 정도다. 30년 넘게 한자리에서 장기를 두는 시니어를 위해 시설을 좀 더 갖추면 좋지 않을까.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65세 이상 노인 인구 1천만 명 돌파… 대한민국 20%는 ‘노인’
    65세 이상 노인 인구 1천만 명 돌파… 대한민국 20%는 ‘노인’
  •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IT 경력자만 가능? “중장년 인식 바뀌었죠”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IT 경력자만 가능? “중장년 인식 바뀌었죠”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으로 침구 산업 재도약 꿈꿔”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으로 침구 산업 재도약 꿈꿔”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