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통합지원체계 모형의 전국 확산 기반을 마련하고자 지난 11월 8일부터 11월 27일까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에 참여할 지방자치단체를 모집한다.
‘의료-돌봄 통합지원 체계’란 노쇠 등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대상자 중심으로 통합 사례관리하고, 지역 내 다
1
디 앰비션
셸리 아샹보 / 일므디
“맞닥뜨린 벽 앞에서 좌절할 때 이 책을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자는 세계적인 마케팅 전문가이자 실리콘밸리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CEO인데요. 여성, 흑인, 워킹맘, 어린 나이 등을 딛고 글로벌 IT 기업에서 30년 이상 재직하며 브랜드를 구축하고 팀과 조직을 꾸리는 데 놀라운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원 특별기획 [고령화에 갈 곳 잃은 교통난민]
제1부 인국절벽에 가로막힌 노인 이동권
제2부 전용 교통수단으로 활로 찾은 일본
제3부 첨단 기술과 공유경제, 미래 이동권의 키워드
노인·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포함해 누구든 편하고 안전하게, 자율주행차를 타고 어디든 갈 수 있는 세상. 당장은 실감하기 힘든 유토피아라 여길지도 모른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지역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여가친화경영 인증제도’에서 2024년도 인증기관으로 선정됐다. 여가친화경영 인증은 근로자들이 일과 여가를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관에 부여되는 제도다.
예술위는 직원들의 여가 생활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해온 성과를 인정받아 이번 인증을
젊은 시니어라 불리는 욜드족은 수선스럽지 않게 일상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과제를 달갑고 고맙게 받아들인다. 끊임없이 배우고, 도전하고, 자신을 사랑하며 사는 법을 실천하는 것이다. 젊은이를 능가하는 의욕과 건강을 자랑하는 우리 주변의 욜드족들을 만나봤다.
이성(53)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이자 한국수술로봇교육훈련센터장은 젊음을 유지하는데 취미생활
시니어들이 뭘 남기고 뭘 버려야 할지 생각해 봤으면 해요.
돈 있으면 다 자식 주라는 게 아니에요.
건강하게 살면서 좋은 것 드시고, 좋은 데 다니라는 뜻이에요.
시니어에게 정리란 빛나는 인생의 복기예요.
동시에 금쪽같은 자식을 덜 고생시키는 행위이기도 해요.
- 김민주, 한국청소직업학원 이사
(시니어 매거진 2022년 1월호 인터뷰 중
이제는 개인의 선택이라지만 20·30대 결혼, 40대 자녀 양육 등 나이에 따른 사회적 통념이 잔존해 있다. 그러한 분위기 속에서 예지원은 나이에 얽매이지 않은 삶을 살아왔다. 1991년 데뷔 이후 일에 매진하며 연애나 결혼 생각이 없었다는 그는 최근 한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사랑을 찾아 나선 모습을 보였다. 20년 전 ‘올드미스 다이어리’에서 푼수
시니어 케어 기업 티에이치케이컴퍼니의 부모님과 보호자 돌봄 상담 서비스 ‘이로움돌봄' 앱이 7일 디지털 조선일보가 코리아나 호텔에서 주최한 제17회 조선일보 선정 앱 어워드 코리아 2024 올해의 앱 생활 서비스 분야 ‘시니어 케어’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이로움돌봄’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요양 인정등급 간편 테스트를 통해 시니어들이 일상 생활에서
시니어 케어 전문 기업 케어링이 장기요양 종사자 권익 증진 사업의 일환으로 케어링 소속 사회복지사 대상 미술심리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사회복지사는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 보호자, 요양보호사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어르신 돌봄 상태를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케어링은 돌봄 업무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 누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재충전의 기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금융·경제 디지털화 가속으로 현금을 받지 않는 서비스가 확산된 가운데, 현금 의존도가 높고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고령층의 불편이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경태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 부연구위원과 박재빈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달 31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디지털 이해도와 현금 수요간의 관계’ 보고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