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0개 넘는 낡은 라디오가 울리는 추억 하모니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에는 ‘모던춘지’라는 이름의 건물이 있다. 불투명한 유리문 너머로 보이는 것이 무엇일까 싶어 문을 활짝 열어보니 라디오 1000여 대가 얼굴을 드러낸다. 나이도 국적도 달라 보이는 라디오가 질서정연하게 앉아 있는 모습이 감탄을 자아낸다. 건물의 규모는 작지만 라디오 박물관이라 해도 손색없는데, 이곳 주인 김형호 기자는 “그냥 라디오가
- 2024-06-12 08:22
-
- 퍼즐 풀고 상품 받자! ‘브라보 마이 라이프’ 독자참여마당
- 1.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3.‘먼지가 되어’, ‘잊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등 많은 명곡을 남긴 싱어송라이터. 대한민국에 포크송 붐을 일으킨 전설적인 존재. 4.여러 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는 긴 의자. 5.여자들이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허리 따위에 다는 물
- 2024-06-03 08:08
-
- [카드뉴스] 노인이 말하는 노인 혐오
- ‘세대를 잇다’라는 콘셉트의 한 시니어 행사를 취재 갔을 때 일이다. 당시 노인 혐오 사건이 있던 터라 어르신께 한소리 들을 것만 같았다. “요즘 어린 친구들이 말이야, 어른 공경할 줄 알아야지!” 하고. 그런데 나이 지긋한 어르신 말씀은 예상을 빗나갔다. “노인들이 잘 몰라서 그럽니다. 시대에 적응하지 못해서 그래요.” “모
- 2024-06-03 08:07
-
- 중년에게 조언하는, 이상적인 말과 글이 순환하는 삶
- 학창 시절 내내 읽고 들으면서 살았다. 직장 생활 할 때도 그랬다. 지금은 듣거나 읽은 걸 말하고 쓰면서 산다. 읽고 듣는 만큼 말하고 쓴다. 말하기와 쓰기가 내 삶에 비중 있게 자리 잡았다. 또한 말하고 쓰려니 읽고 듣지 않을 수 없다. 읽고 듣기만 하면서 살 때보다 읽기와 듣기가 더 소중해졌고, 더 많이 읽고 듣는다. 이로써 읽기, 듣기와 말하기, 쓰기
- 2024-05-29 09:04
-
- [어른의 MUT(멋):] 셔츠에 얽힌 이야기
- 옷장 깊숙한 곳에 있는 셔츠, 철 지난 바지도 얼마든지 멋지게 입을 수 있다. 10년, 20년 뒤를 꿈꾸게 하는 ‘취향 저격’ 멋쟁이를 발견할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좋다. 취향 앞에 솔직하고 당당한 태도를 배울 수 있다면, 노인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면. 김동현 사진작가의 사진과 감상 일부를 옮겨 싣는다. 열세 번째 주제는 ‘셔츠
- 2024-05-22 08:22
-
- 중장년의 '어른 공부'를 위한 공부방, 감이당을 찾다
- “당신은 어른입니까?” 이 질문에 쉽사리 답이 나오지 않는다. 왜 우리는 당당하지 못할까. 그렇다면 어른이 되기 위해 필요한 건 뭘까. ‘더 나은 어른’이 되기 위해 중장년의 나이에도 공부하는 이들의 얘기를 들어보자.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던 3월의 어느 날, 남산 자락 아래에 있는 ‘감이당’을 찾았다. 한마디로 표현하면 어른들의 공부방 같은
- 2024-05-14 09:06
-
- [카드뉴스] 정순둘 교수가 말하는 노인과 어른
- 노인이 된다는 두려움이 사라졌으면 합니다. 나이로 나누지 말고 그저 한 사람의 시민으로 이해하고 바라봤으면 해요. 나이와 무관하게 기회가 주어지는 ‘연령통합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시니어 매거진 2024년 4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이지혜 디자인 유영현
- 2024-05-14 08:41
-
- ‘낀 세대’ X세대 무거운 짐, 홀가분하게 나누는 법
- 중년의 인간관계가 유독 무겁게 느껴지는 이유는 ‘낀 세대’이기 때문이다. 직장에서는 부장급 위치인 그들은 베이비붐 세대 상사와 MZ세대 후배들의 눈치를 보며 일하고, 가정 내에서는 부모와 자녀의 부양 부담을 동시에 안고 있다. 직장과 가정에서 발생한 스트레스는 양쪽에 악영향을 끼치며 악순환의 고리를 만들기도 한다. 이 무거운 짐을 내려놓는 방법은 과
- 2024-05-09 08:56
-
- [어른의 MUT(멋):] 니트에 얽힌 이야기
- 옷장 깊숙한 곳에 있는 셔츠, 철 지난 바지도 얼마든지 멋지게 입을 수 있다. 10년, 20년 뒤를 꿈꾸게 하는 ‘취향 저격’ 멋쟁이를 발견할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좋다. 취향 앞에 솔직하고 당당한 태도를 배울 수 있다면, 노인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면. 김동현 사진작가의 사진과 감상 일부를 옮겨 싣는다. 열두 번째 주제는 ‘니트
- 2024-04-30 08:34
-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시대의 어른’으로 추앙받은 이들이 있다. 여러 사람이 떠오르는 가운데, 고(故) 김수환 추기경과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을 대표 인물로 꼽아봤다. 그들은 왜 세상을 떠난 뒤에도 큰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을까. 김수환 추기경과 이어령 장관을 가까이에서 보고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를 물어봤다. ◇김수환 추기경의 소통법 “여기 명동대성당
- 2024-04-29 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