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드뉴스] 2025 달라지는 노인복지 정책
- 기초연금 인상 최대 33만4,810원 → 34만4,000원 *부부 가구의 경우, 최대 54만9,600원까지 수령 가능 노인 근로소득 공제 대상 확대 75세 이상 → 65세 이상 *근로소득공제액 20만 원+근로소득의 30% 공제 가능 노인 일자리 관련 예산 확대 2조262억 원 → 2조1,847억 원 *역
- 2025-01-20 08:15
-
-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한국 노인 인구 실태
-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 추이 2013년 1월 - 600만 8,757명 2017년 1월 - 703만 1,367명 2019년 12월 - 802만 6,915명 2022년 4월 - 900만 4,388명 2024년 7월 - 1000만 62명 연령 계층별 인구 구성비 1980년 - 0~14세 34.0%, 15~64세 6
- 2025-01-16 08:51
-
- “헬스장은 노시니어존?” 80대까지 운동하고 싶다면 여기로!
- 무병장수를 위해서는 운동이 필수라는 이야기를 들은 70대 A씨는 큰마음 먹고 집 근처 헬스장을 찾았다. 그러나 그는 입구에 ‘노(No)시니어존’이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는 것을 보고 발길을 돌려야 했다. 그렇다면 그는 어디에서 운동해야 할까. 다행히도 시니어가 운동할 수 있도록 각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시설이 늘어나고 있다. 새해를 맞아 건강해지려는 이들을
- 2025-01-16 08:50
-
- 저소득층, 건강도 불평등… ‘부자 노인’, 9년 더 산다
-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건강수명’에서도 나타났다.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사실이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됐다. 지난 5일 윤석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20년까지 건강보험 데이터를 이용해 한국인의 소득·지역별 격차와 건강수명 기대치 추이를 분석한 논문을 대한의학회지에 발표했다. 건강수명이란 기대수명
- 2025-01-13 08:54
-
-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 앞으로 5년이 골든타임이다. 2030년까지 제도나 정책을 전향적으로 바꿔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매년 40만~50만 명씩 늘어나는 노인 인구를 감당하기 어렵다.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유연한 정책과 제도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 홍석철,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시니어 매거진 2024년 12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손효
- 2025-01-09 10:01
-
- 초고령사회 ‘큰손’, 요즘 시니어 소비 트렌드 어떻게 바뀌나?
- 요즘 중장년은 어떤 소비 행동을 보일까? 초고령사회 진입, 디지털 전환, 가치관의 변화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 이들의 소비 특징을 집중 조명했다. 가장 ‘잠재력 있는’ 소비 주체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소비 패턴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베이비부머·X세대는 세대 자체의 규모가 커지고 있어 시장 흐름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다
- 2025-01-06 08:08
-
-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 1 상주곶감축제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대한민국 곶감 최대 주산지 상주에서 축제가 열린다. 곶감 전시·판매 및 공연이 이뤄진다. 이찬원, 김희재가 무대에 설 예정! 2 얼음나라화천 산천어축제 ★1월 11일부터 2월 2일까지 지난해 153만 명이 다녀간 산천어축제가 개막을 앞두고 있다. 산천어 체험부터 눈·얼음 체
- 2025-01-03 08:25
-
- 비엔나전·‘명성황후’ 30주년 기념 공연… 1월 문화소식
- ●Exhibition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일정 3월 3일까지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1 국립중앙박물관과 오스트리아 레오폴트 미술관이 함께하는 국내 최초 대규모 특별전으로 1900년대 비엔나의 예술과 문화를 조명한다. 레오폴트 미술관이 소장한 회화, 사진, 조각, 공예품, 가구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191점
- 2025-01-03 08:24
-
- 日, “새해 의료·돌봄 문제 대두”… 의료비 3년 연속 최대
- 2025년 일본의 1차 베이비붐 세대(단카이 세대)가 모두 75세 이상인 후기고령자가 되면서, 의료·돌봄 체계 확충이라는 ‘2025년 문제’가 과제로 떠올랐다. 일본 공영방송 NHK는 일본 국민 5명 중 1명이 후기고령자에 해당한다면서, 의료와 돌봄 체제의 확충이 사회적 문제로 꼽힌다고 보도했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 2025-01-03 08:22
-
- 치매 환자 전문치료 위한 안심병원 2개소 추가 지정
- 보건복지부는 양질의 치매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기 지역 ‘경기도립노인전문용인병원’과 ‘안산시립노인전문병원’을 치매안심병원으로 추가 지정했다. 치매안심병원은 치매환자 전용병동 등 치매환자 특성을 고려한 시설·장비(집중치료를 위한 1인용 입원병실, 조명·색채 등을 이용한 환경, 모든병상·목욕실·화장실 내 통신 및 호출장치 등), 신경과 또는 정신
- 2025-01-02 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