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도 마음도 파릇파릇 ‘우리 집 텃밭 레시피’
- 여름 더위를 이기는 방법 하나, 초록빛 생기를 머금은 자연과 만난다. 둘, 싱그러운 채소를 활용한 음식과 음료를 맛본다. 셋, 건강을 위해 적당한 육체 활동을 즐긴다. 이 모두를 누리려 애써 특별한 곳을 찾을 필요는 없다. 가장 가까운 ‘우리 집 텃밭’이 최적의 피서지가 되어줄 테니까. 사진 제공 및 도움말 야미가든 ‘참 쉬운 베란다 텃밭 가꾸기’ 저자
- 2019-05-29 10:02
-
- 짜게 먹지 않으려고 국 대신 숭늉을
- 소금 섭취량이 많으면 뇌졸중과 관상동맥질환, 뇌심혈관질환을 일으키며 고혈압의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 국민의 1일 나트륨 섭취량은 4719mg(소금으로 12g)으로 이는 WHO(세계보건기구)의 나트륨 섭취 권고량인 2000mg(소금 5g)의 2.4배이며 일본 4280mg,영국 3440mg 미국 3426mg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우리의 주 음식인 국ㆍ찌
- 2019-03-19 09:16
-
- [카드뉴스] 탱탱한 식감이 살아 있는 간장새우, 칠리새우
- 간장새우 숙성이 잘된 간장새우는 간단한 술안주로도 좋고 밥, 버터와 함께 비벼 먹으면 한 끼 식사로도 충분하다. 또 새우에는 글리신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체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줘 동맥경화와 같은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재료 생새우 500g, 물 1컵, 소주 ½컵, 마늘 30g, 청양고추 5개, 홍고추 2개, 레몬 1개 간장소스:
- 2018-12-03 17:09
-
- [카드뉴스] 맛 좋은 가을무로 만든 무생채, 고등어무조림
- 무생채 ‘가을무는 인삼보다 좋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달고 수분이 많아 목 넘김이 좋다. 또 전분 분해 효소인 아밀라아제가 풍부해 소화를 도와준다. 아삭한 무에 새콤달콤한 양념을 버무린 무생채는 맛도 있지만 쉽게 만들 수 있어 더 좋다. 재료 무 1kg, 쪽파 10뿌리, 통깨 1큰술 양념장: 고춧가루 5큰술, 액젓 2큰술, 다진 마늘 2큰술,
- 2018-11-06 10:47
-
- [카드뉴스] 붉은 속살의 유혹! 생홍합미역국, 홍합밥
- 생홍합미역국 찬바람이 불 때 유난히 생각나는 홍합탕. 여기에 미역을 넣으면 색다른 미역국이 완성된다. 시원한 국물 맛은 물론 쫄깃쫄깃 씹히는 식감까지. 홍합에는 칼슘, 인, 철분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빈혈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며 노화 방지에도 좋다. 재료 홍합 500g, 불린 미역 2컵, 물 8컵, 다진 마늘 1큰술, 국간장 2큰술, 후
- 2018-09-28 11:28
-
- [카드뉴스] 감자의 변신! 허니버터칩, 감자채 치즈전
- 허니버터칩 한때 품절 대란까지 일으키며 큰 인기를 끌었던 허니버터칩은 감자, 꿀, 버터만 있으면 집에서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버터의 고소함과 꿀의 달콤함이 어우러진 허니버터칩의 등장은 ‘감자칩은 짜다’는 고정관념을 깨트렸다. 오늘 하루쯤 칼로리 걱정 내려놓고 달콤함에 빠져보는 건 어떨까. 재료 감자 2개, 튀김기름, 버터 50g, 꿀 40g
- 2018-09-05 10:46
-
- [카드뉴스] 가지로 만든 두 가지 요리, 가지 덮밥, 가지 튀김
- 가지 덮밥 여름 제철 채소인 가지는 가격도 저렴하고 영양소도 풍부해 부담 없이 요리 재료로 사용하기 좋다. 특히 보랏빛을 띠게 하는 안토시아닌 색소는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노화를 억제한다. 살짝 구운 가지와 매콤한 양념장을 이용해 가지 덮밥을 만들어보자. 재료 밥 2공기, 가지 2개, 식용유, 다진 돼지고기 150g, 홍고추 1개, 적양파
- 2018-08-10 08:39
-
- 세계 3대 향신료 계피, 그 맛과 쓰임
- 인간의 생활에서 의식주(衣食住)는 빼놓을 수 없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식(食)이며 매일처럼 맛있는 요리를 해주는 분들에게 항상 감사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나는 날마다 아침 일찍 아내가 요리해 준 음식을 먹고 일과를 시작하여, 퇴근하면 저녁 식사를 맛있게 끝내고 잠자리에 들곤 하였다. 아내는 일품(逸品) 요리연구에 관심이 대단했다. 어느 날
- 2018-05-23 12:30
-
- 맛있지만 무서운 햄버거.
- 강남역 근처 어느 매장에서 파는 수제 햄버거가 매우 인기라고 한다. 햄버거 가격이 만 원이 넘는데도 줄을 몇십 분 씩 서서라도 먹겠다며 젊은이들이 기다린다는 것이다. 얼마나 맛있기에 줄을 서서 기다리기까지 한다는 걸까? 필자는 무얼 먹기 위해 줄을 서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 필자의 친한 친구는 맛집을 찾아 꼭 그 집에서 먹어야 한다며 줄서기를 마
- 2016-09-23 09:17
-
- [리빙 트렌드] 야외 나들이 짝꿍 도시락과 함께
- 도시락은 먹는 즐거움, 누군가를 위해 만드는 행복, 그리고 어딘가로 떠난다는 설렘을 준다. 맛이 있든 없든, 모양이 예쁘든 아니든 도시락 뚜껑을 여는 그 자체로도 기분이 좋아진다. 도시락 나들이를 계획하는 이들을 위한 작은 팁을 준비했다. 사진 제공 및 도움말 네이버 요리 파워블로거 리즈쿡 이현주(blog.naver.com/cooklhj)
- 2016-06-01 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