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쥐띠총운 금전운 : 하, 애정운 : 하, 건강운 : 중 오늘의 일진은 동분서주하여도 덕은 없고 어려운 일거리만 생긴다. 도모하는 일이 있다면 바쁘기만 하고 성과는 보기 힘들게 된다. 일신이 곤고해 지니 마음의 평온을 찾으라. 84년생 : 할 일만 많아지고 소득은 없다. 애정은 동남풍이다. 72년생 : 좋은 재운에 동료들의 모함으로 괴롭다. 60년생 : 횡재수 있어 많이 얻는 날이나 다 빠져나간다. 48년생 : 사방에 재물이나 건지는 손이 모자란다. ◇ 소띠총운 금전운 : 상,
◇ 쥐띠총운 금전운 : 중, 애정운 : 상, 건강운 : 중 사람들이 많이 도와 모든 일이 잘 풀리나 자만은 금물이다. 84년생 : 서로 마음이 맞아 잘되나 오래가지 못한다. 72년생 : 무슨 일이든지 진득이 지녀봄이 길하리라. 변동은 불길하다. 60년생 : 행운이 오는 날이다 말만하면 얻어진다. 48년생 : 여행중에 괴로움이 있으니 쉬어감이 길하다. ◇ 소띠총운 금전운 : 하, 애정운 : 중, 건강운 : 중 아침에 모여 늦게는 흩어지니 재물이 진토와 같다. 85년생 : 이성운
“코이카에서 일하며 빚을 참 많이 졌어요. 개인적으로는 큰돈이지만 이렇게라도 빚을 갚고 후배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싶어요” 정부 무상원조 전담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KOICA)의 임원이 회사를 떠나며 받는 퇴직금에다 사재까지 털어 1억원을 사내에 기부하기로 해 화제다. ‘아름다운 기부’의 주인공은 장현식(58) 코이카 선임이사. 장 이사는 23년간 코이카에서 근무하며 과거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한국의 공적 개발원조(ODA) 사업을 크게 향상시켰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는 코이카에서 개발전문가로서 능력을 발휘하며 한국
지난해 도시생활을 접고 농촌행(行)을 택한 귀농·귀촌 가구가 처음으로 3만가구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전원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탓이다. 이처럼 귀농귀촌 열풍이 거세게 불어닥치고 있지만 농사를 지으려는 귀농인들의 정착 기반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귀농·귀촌 가구는 2012년보다 20%가량 증가한 3만2424가구로 집계됐다. 가구원수는 전년 4만7322명에서 5만6267명으로 18.9% 증가했다. 2001년 880가구이던 귀농
봄철엔 나른함 때문인지 보약을 지어 드시는 분들이 꽤 있다. 엄마로서, 요리연구가로서 보약도 보약이지만 때에 맞는 음식을 먹는 게 보약이라는 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3월엔 각종 나물과 함께 꼭 챙겨먹어야 할 음식이 있다. 바로 녹두를 갈아서 체로 걸러 가라앉은 앙금을 모아서 쑨 ‘청포묵’이다. 조선 후기에 홍석모(洪錫謨)가 연중행사와 풍속들을 정리하고 설명한 세시풍속집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를 보면 ‘청포묵은 3월에 먹는 계절음식으로 청포묵을 먹으면 여름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고 기록돼 있다. 청포묵의 주재료인 녹두의 효능
춘분 (春分)이다. 중국발 황사와 미세먼지로 매캐한 나날을 보낸 현대인들에게 따뜻한 봄날씨를 만끽하며 도심을 벗어나 외곽에서 즐기는 여유는 삶의 활력소. 여기에 맛있는 음식을 찾아 떠나는 식도락 여행은 지금 즐기기에 딱 좋은 아이템. ‘맛의 고장’하면 누구나 전라북도 ‘전주시’를 우선으로 꼽는다. 그중에서도 제철 재료로 꾸민 전주식 자연밥상은 입 안에 건강을 선물하는 힐링밥상으로 매력을 뽐낸다. 하지만 밥 한 끼 먹자고 전주까지 여행을 떠나기에 벅차다면 전주 음식의 참맛을 느낄 수 있는 하남시로 떠나보는 건 어떨까. 하남시
건강과 외모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실제로 운동 등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다면? 섹스에 주목하자. 힐다 허처슨 컬럼비아 대학교 의학박사는 “정기적으로 섹스를 하는 것은 파트너와의 관계를 더 친밀하게 만들어주며 실제로 신체가 더 건강해진다”는 의견을 내놨다. 굳이 어떤 ‘효과’를 보기 위해 오르가슴에 오를 필요는 없다. 하지만 만약 오르가슴을 느끼게 된다면 마음을 진정시켜주는 호르몬이 어마어마하게 분비될 것이다. 이때 발생하는 호르몬들은 두통, 생리통, 감기 등 각종 질병으로부터 보호해주며 젊고 아름다운 모습을 유지시켜준다
① 방문 전 예약을 해야 하는지와 휴관일을 미리 알아본다. 수목원 마다 다르지만, 포천에 있는 국립수목원은 사전예약자에 한해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만 관람할 수 있다. ② 휴식, 꽃구경, 관찰 등 방문 목적을 분명히 정한다. 수목원마다 보유하고 있는 나무와 꽃의 종류가 다르고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다양한 만큼 무작정 가는 것보다 관심 가는 부분을 생각한 뒤 적합한 수목원을 가도록 한다. ③ 탐방센터(안내소)에 들러 목적에 맞는 코스를 물어본다. 수목원은 단순히 나무를 많이 모아둔 곳이 아니라 수종별로 분류돼 있고 식물원과 온실을 갖
‘수목원은 공원이 아닙니다’ 오산에 있는 물향기수목원 방문자센터 입구에 써 붙여 있는 말이다. 단순한 휴식처로 제공되는 숲이 아니라 연구하고 보존해야 할 나무를 가꾸는 곳이니만큼 험하지 않게, ‘살살 다뤄달라’는 얘기다. 또 한편으로 최근의 수목원의 역할을 생각하면 조금 다른 말로 다가오기도 한다. 과거 단순한 연구용 살림이었던 수목원이 속속들이 일반인 관람을 허용함에 따라 나무를 살펴보고 또 나무에 둘러싸여 바쁜 삶을 쉬어가려는 사람들이 북적인다. 성큼 다가온 봄에 발맞춰 수목원의 나무와 꽃들도 하나, 둘 깨어나 관람객을 맞이
숲해설은 1920년 미국 요세미티국립공원에서 방문객 대상으로 자연해설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시작됐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IMF 이후 일자리 창출방안 일환으로 국민대 사회교육원 자연환경안내자 과정으로 숲해설가 교육이 시작돼 여기서 교육받은 이수자들이 2000년 4월 사단법인 숲해설가협회를 세우면서 본격화 됐다. 협회는 산림청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이후 매해 숲해설가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전국에 여러 산림청 인증교육기관이 있어 현재까지 4500여명이 교육을 이수하고 경기지역에서만 300명 안팎이 활동하고 있다. 숲해설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