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인더가 지난해 4분기 부진한 실적을 냈다. 전 사업부의 일회성비용이 반영되고,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된 영향 때문이다. 하지만 증권사들의 분석이 부정적이지만은 않아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저조했던 실적을 올해 회복해나갈 것으로 예상돼서다. 코오롱인더는 오히려 주가가 바닥을 찍은 상황에서 상승여력을 품은 ‘관심주’로 주목받고 있다. ◇4분기 실적과 주가가 부진한 까닭 코오롱인더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6%가량 증가한 1조1327억 원을 기록했다. 연간으로는 약 4조4000억 원의 매출액을 달성
이탈리아 대표 명품 브랜드 조르지오 아르마니(Giorgio Armani)가 25년 전 디자인한 브랜드 최초의 핸드백 ‘라 프리마’(La Prima)백을 올 봄 새로운 모습으로 재출시한다. 이탈리아어로 ‘첫 번째’ 라는 뜻의 ‘라 프리마’는 1995년 디자이너 조르지오 아르마니가 처음으로 디자인한 가방이다. 당시 아르마니는 여성성과 남성성, 정제된 디자인과 자유로움의 경계에서 고민했으며, 기능성과 심미적인 측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라 프리마를 선보였다. 라 프리마는 부드럽고 우아하지만 절제된 디자인의 아르마니 여성복에서 영감을
즐기는 취미가 있는가. 부자들의 좀 더 특별해 보이는 그것, 혹은 돈이 없으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럭셔리 취미생활을 엿봤다. 브리지 게임에 빠진 슈퍼리치 한국 사람에게 가장 있기 있는 게임이 화투라면 외국에서는 트럼프 카드로 즐기는 브리지 게임(이하 브리지)이 인기다. 우리에게는 생소하지만 130여 개국 4000만 명이 이 게임에 열광한다. ‘인류가 만들어낸 최고의 지적인 두뇌 게임’이라는 찬사가 따라다니는데, 그 명성만큼이나 이 사교 게임을 즐기는 부호와 사회 지도자도 많다. 당장 부자의 대명사로 꼽히는 워런 버핏과 마이크로소프
부동산 안정화를 위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지만 토털 인테리어 리모델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샘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식을 줄 모른다. 정부의 도시정비 규제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3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는 올해 181만 세대에서 2030년 521만 세대로 늘어날 전망이라서다. 정부가 도시정비 규제에 대한 입장을 바꿔도 사업기간은 10년 이상 걸려 노후 아파트의 리모델링 수요는 줄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리하우스 중심으로 ‘외형성장’ NH투자증권에 따르면 현재 시장은 한샘이 리하우스 중심으로 외형 성장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수원 영통구, 권선구, 장안구와 안양 만안구, 의왕시 등 수도권 5곳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돼 대출, 세제, 청약부문에서 규제를 받는다. 국토교통부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20 부동산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해 12·16 부동산대책 이후 두 달 만에 나온 후속 조치다. 이번 대책을 살펴보면 다음달 2일부터 조정대상지역 내 시가 9억 원 이하 주택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60%에서 50%로 낮아지고, 9억 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LTV 30%가 적용된다. 다만 서민 실수요자를 위한 내 집 마련 지원 상품인
CJ제일제당이 지난해 4분기 물류를 제외한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4% 증가한 3조3236억 원, 65.2% 늘어난 1721억 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55% 증가한 491억 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DB금융투자는 △이른 설에 따른 세트 매출 증가 △쉬완즈 제외 가공식품 수익성 개선 △바이오부문의 고수익 제품 확대·원가 개선 △사료부문 축산물 가격 상승 등을 실적 개선의 원인으로 분석했다. 이와 함께 쉬완즈 PPA비용(M
컴투스가 지난해 기존 게임들의 저력을 보여줬다. 올해도 신작 출시가 대거 예정돼 투자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올해 신작 출시에 따른 성과가 주가를 끌어올릴지 관심이 쏠린다. 특히 ‘서머너즈워’ IP 확장이 본격화되는 점을 주시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주가의 하방경직성 확보 컴투스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1216억 원, 영업이익은 1.5% 증가한 332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충족했다. ‘서머너즈워’와 야구 라인업 매출액 모두 전분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서머
라임자산운용 사태로 인한 은행권의 배상손실이 1000억~2700억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8일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에 이어 은행권 펀드 관련 불완전판매와 배상 규모 확대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며 “라임펀드 관련 은행 예상 손실액은 가정에 따라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데, 은행 전체적으로 약 1000억~2700억 원까지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다만 신한지주를 제외한 은행들의 손실폭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최 연구원은 “신한지주의 경우 라
KT&G의 실적과 주가가 힘을 잃은 모양새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고 주가는 바닥을 찍었다. 다만 증권사들은 KT&G에 대한 투자의견으로 ‘매수’를 유지했다. KT&G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분석이다. ◇중동향 수출 해결과제 KT&G 주가가 지난해 10월 이후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7일 9만3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최근 1년 사이 가장 낮은 주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날 9만9500원보다 9200원이 빠진 금액이다. 또한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SK텔레콤은 14일 플립형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플립’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 공식 인증 대리점과 온라인샵 T월드 다이렉트를 통해 구매와 개통이 가능하다. 갤럭시 Z 플립은 접었을 때 한 손에 쏙 들어오는 콤팩트한 사이즈가 강점이다. 삼성 울트라 신 글래스(Ultra Thin Glass)를 적용한 6.7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출고가는 165만 원이고 색상은 미러 퍼플(Mirror Purple)과 미러 블랙(Mirror Black) 2가지다. 삼성전자 프로모션으로 구매 고객에게는 디스플레이 파손 보험 증정(1년
온 나라가 영화 기생충의 아카데미 시상식(Academy Awards) 작품상과 감독상 등 4개 부문 석권 소식에 떠들썩하다. 뜨거웠던 시상식의 열기만큼이나 시상식장의 면면도 관심이 가는데, 바로 2016년부터 시계 명품 브랜드 롤렉스가 디자인하고 있는 돌비극장 내 그린룸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돌비극장 내 그린룸은 아카데미 시상식 때 시상자와 특별 게스트들이 무대에 오르기 전 머무는 특별한 공간으로 유명하다. 매년 시상식 때마다 다양한 주제로 꾸미고 있다. 올해의 테마는 ‘극지 탐험’이었다. 롤렉스는 올해 그린룸의 디자인을 통해
이커머스 포털 11번가가 2월 ‘월간 십일절’ 행사를 오는 11일 ‘쇼핑의 재개발’을 주제로 진행한다. 특히 ‘신종 코로나’ 사태 영향으로 이용자에게 도움이 될 생필품과 건강 관련 제품을 다양하게 준비했다. ‘월간 십일절’의 하이라이트 행사인 ‘타임딜’에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시각마다 5개씩 총 65개 상품을 최대 62% 할인 판매한다. 오전 11시에 롯데호텔 제주 숙박권, KFC e쿠폰, 빈폴키즈 책가방 세트 등을 특가에 내놓는다. 이어 한샘 샘 책장, 에브리봇 물걸레 로봇청소기, 트레이더스 3만 원권, 함소아 프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시장이 1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글로벌 전기차 판매 실적으로 각각 9위와 11위를 차지했고 두 회사의 실적을 합한 현대차그룹은 6위로 올라섰다. 자동차업계와 미국 전기차 전문매체 ‘인사이드 EVs’는 지난해 전세계 순수 전기차(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판매가 전년 대비 10% 증가한 220만9831대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하이브리드차(HEV)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인사이드 EVs의 보도에 따르면 세계 전기차시장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중국시장의 경우 정부의 보조금 문제로
SKC가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친 성적을 내놨다. 시장에서는 예견된 실적. 오히려 올해 본격적인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평가가 나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다만 증권 전문가들은 SKC가 단기적으로 숨고르기에 들어갈 가능성을 보며 ‘중장기적’으로 접근할 것으로 권유했다. ◇회사구조 혁신적으로 변하는 시기 SKC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6601억 원, 영업이익은 301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의 경우 전 분기보다 3.7% 늘었지만 시장 기대치에 못 미쳤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3.1% 감소했고 전 분기보다는 25.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경상기준 사상 최대실적으로 기록했다. 우리금융그룹은 7일 실적발표를 통해 2019년 당기순이익 1조9041억 원을 시현했다고 밝혔다. 지주전환에 따른 회계상의 순이익 감소분 1344억 원 포함 시 약 2조 원을 초과하는 규모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으로 구성된 수익성 핵심지표인 순영업수익은 3.4% 증가한 6조9417억 원을 달성했다. 이자이익은 중소기업 중심의 자산성장과 핵심예금 증대 노력으로 4.3% 증가했고, 수수료이익은 디지털 및 여신수수료 중심으로 전년 대비 3.1% 성장했다. 또한 그간 국내 중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