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아이를 키우는 30대 여군에서 40년간 원예산업에 종사한 60대 화훼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어려운 생활형편 때문에 뒤늦게 학업의길에 들어서 대학 졸업의 꿈을 이룬 이들이 있다. 교육부는 25일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2014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학점은행제는 대학과 사회 기관에서 학점을 취득해 전문대·대학 학력을 인정받는 제도이고, 독학학위제는 4단계 시험을 거쳐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다. 이날 학위수여식의 주인공 6만1천715명이 이 두 제도를 통해 학사·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지난해 4분기 주택매매가격이 3년만에 상승세로 전환하고 거래량도 증가 추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전세가격 또한 2009년 이후 장기 상승세를 지속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6일 내놓은 ‘2013년 4분기 부동산 동향분석’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주택 매매가격은 수도권 0.34%, 비수도권 1.1%의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전분기 하락세에서 상승세로 돌아섰다. 실질 주택매매가격도 전월대비 상승세를 이어갔다. 4분기 RGM(부동산시장 전문가 그룹) 설문조사에서도 주택매매시장 회복세가 확대되는 것으로 조사
광주시내 요양병원에서 다른 환자와 몸싸움하다 넘어뜨려 숨지게 한 80대 치매환자가 입건됐다. 광주 서부경찰서는 26일 환자를 넘어뜨려 뇌출혈 증상으로 숨지게 한 혐의(폭행치사)로 장모(85)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장씨는 지난 24일 오전 7시 30분께 광주 서구 양동의 모 요양병원 2층 화장실에서 환자 A(85)씨를 밀어 넘어뜨렸다. A씨는 몸싸움이 벌어진 지 9시간 후 구토와 두통을 호소해 대형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뇌출혈 증상으로 하루 만에 숨졌다.조사결과 장씨는 A씨와 화장실 사용문제로 다툼을 벌였던 것으로 나타
100세의 이칭은 ‘상수(上壽)’다. 병 없이 하늘이 내려준 나이란 의미다. 인간의 수명 중 최상의 수명이란 뜻도 담겨 있다. 의학의 힘으로 젊음까지 되돌릴 수 있게 돼 기원지수(期願之壽)이던 100세는 이제 더 이상 꿈이 아닌 현실이 됐다. 그렇다면 우리는 100세를 맞이할 준비가 돼 있을까. 최근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은퇴준비 점수는 57점에 불과하다. 관계, 건강,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 ‘부족’하다는 얘기다. 특히 연금 가입자가 전체 40%에 불과해 경제적
3월에 아파트 분양물량이 2만5천가구가 쏟아진다. 이는 지난 2005년 이후 9년 만에 최대물량이다. 26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2014년 3월에 전국에서 분양예정인 아파트는 37곳, 2만5443가구로 조사 됐다. 전년동기(24곳, 1만7263가구) 대비 47% 늘었다. 2005년 2만6천가구가 분양된 이후 최대 물량이다. 권역별로 △수도권 14곳, 7494가구 △광역시 8곳 6831가구 △지방 15곳 1만1118가구 등이다. 수도권에서는 대림산업이 강남구 논현동 경복아파트를 재건축해 전용면적 84~113㎡, 총 368가구
노인 일자리사업을 수행하는 기관마다 사업량이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복지재단은 25일 ‘경기도 노인 일자리사업 수행기관 역할정립방향 연구’ 정책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에서 노일 일자리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은 대한노인회 24.7%, 노인복지관 24%, 실버인력뱅크 15.4%, 시니어클럽 9.9%, 종합사회복지관 6.8%등 순이다. 수행기관 한 곳당 운영하는 사업단수는 실버인력뱅크 20.24개, 시니어클럽 10.25개를 차지했다. 반면 대한노인회(4개), 종합사회복지관(4.9개)은 시니어클럽과 실버인
◇서울 송파구 가락동 95-1, -5 가락금호 = 108동 12층 1205호가 경매에 나왔다. 1997년 준공된 8개동 915가구의 단지로 해당 물건은 25층 건물 중 12층이다. 8호선 가락시장역에서 도보 5분 거리다. 롯데백화점, 송이공원 등의 레저편의시설이 있다. 신가초, 석촌중, 가락고 등의 교육시설도 가깝다. 최초감정가 4억3000만원에서 1회 유찰돼 이번 경매 최저매각가는 3억4400만원이다. 입찰은 오는 3월 24일 서울동부지방법원 경매 7계에서 실시된다. 사건번호 2013-15801. ◇서울 구로구 구로동 642-9
우리나라 베이비 부머 세대는 일반적으로 전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높고, 노후대비가 부족한 특징을 보인다. 사례자의 경우도 이와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어 자산의 재조정이 필요해 보인다. 먼저 아파트의 경우 실거주 목적이고, 중소형 규모라면 굳이 변화를 줄 필요는 없어 보인다. 중소형 아파트는 대형에 비해 가격의 하방 경직성이 강하고 수요층이 두터워 향후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면 매매차익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임대소득을 받고 있는 상가의 경우 매매차익을 기대하기보다는 실질 임대소득과 금융투
시중금리가 3% 이하로 하락하면서 정기예금과 같은 상품의 매력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 그렇다고 수익성을 포기하기는 또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100세 시대 은퇴자산관리를 위해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 ‘시중금리+α’의 수익을 추구하는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전략을 추천한다. 중위험·중수익 투자전략은 주식 등 고수익 자산에의 투자비중을 낮춰 전체 금융자산의 수익률 변동성을 감소시키는 투자 방식이다. 기대하는 목표수익률을 낮춰 위험도 감소시키는 균형 투자를 말한다. 대표적인
50대 이상 연령층을 겨냥한 모바일 게임이 나왔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NHN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 NHN블랙픽은 50대 이상 이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게임 ‘두뇌 18세 포 카카오(for Kakao)’를 아이폰·안드로이드폰용으로 출시했다. 이 게임은 NHN이 서울대병원 임상인지신경과학센터에서 두뇌 계발 효과에 대한 검증을 받아 2009년 선보인 플래시 게임 ‘더 브레인’을 스마트폰에 최적화한 것이다. 미니게임 형식으로 6개의 게임을 탑재했으며 게임별로 임무를 수행하면 이용자의 두뇌 나이를 측정해 보여준다. 게임을 이용
지난 1월 신설법인 수가 베이비붐세대의 창업 증가 등 영향으로 6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4년 1월 어음부도율 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한달간 법원에 설립 등기를 한 신설법인 수는 6930개로 전월(6681개)보다 249개 늘었다. 신설법인 수는 작년 7월(7140개)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많다. 한은 관계자는“지난 2011년 부터 신설법인 수가 증가세에 있다”며 “베이비부머들의 창업이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부도법인 수에 대한 신설법인 수 배
정부의 3개년 계획 중 청년고용을 위해선 취업경로별 애로 해소로 50만개 일자리를 만들 방침이다. 또한 여성 일자리의 경우 경력유지를 통한 150만개 창출을 목표로 세웠다. 우선 청년 고용과 관련 정부는 전문대학을 평생직업 교육대학으로 전환. 육성하고 재직자 특별전형 규모를 확대해 선취업-후진학을 통한 조기입직을 촉진한다. 교육·의료·금융·관광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서비스 분야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진입장벽 완화 등 규제를 개선하고 산업단지 내의 청년친화적 근무환경을 조성해 일자리의 미스매치도 완화한다. 산업단지와 인근학교를
"놀면 뭐하나요. 돈은 얼마 안 돼도 소일거리가 있는 게 어디입니까.”육아를 이유로 회사를 떠난 지 어느덧 20년이 넘은 최모(60·여)씨는 지난달부터 한 대형마트에서 계산원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인터넷에서 웹서핑하던 중 우연히 ‘실버 아르바이트’를 구한다는 광고를 본 게 계기가 됐다. 10대∼20대의 성역으로만 여겨지던 아르바이트 시장에 50∼60대가 등장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패스트푸드점에 가면 테이블을 닦는 장년 아르바이트생을 쉽게 찾아볼 수 있고,65세 이상만 고용하는 ‘지하철 택배’도 유행을 타고
미국 지상파 TV 시청자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방송사마다 노년층을 겨냥한 마케팅이 한창이다. 25일 연합뉴스와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 따르면 미국 지상파TV는 요즘 시청율이 높은 황금시간(prime time)에 노년층을 앞세운 프로그램을 배치하고 있다. CBS 황금시간 프로그램인 ‘밀러스’는 72세의 보 브리지스와 62세의 마고 마틴데일이 주인공이다. NBC는 황금시간 프로그램 ‘블랙리스트’ 주연에 54세 제임스 스페이더를 내세웠고 76세의 빌 코스비를 새로운 시트콤 주연으로 검토 중이다. ABC는 60대를 주연으로 삼은
초저금리가 지속되고 있다. 이제 시중은행에서는 3% 예금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은퇴자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저금리 기조는 치명적이다. 필요한 노후자금의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어떤 은퇴자가 매년 1000만 원의 이자수익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자. 이 은퇴자는 금리가 10%라면 1억원만 있어도 필요한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금리가 5%로 떨어지면 2억원, 2%에서는 5억원, 1%에서는 10억원이 필요하게 된다. 금리가 특정 수치 이하로 떨어지면서 필요한 자금이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