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 줄고 있다. 산부인과가 벌써부터 문을 닫기 시작했고 놀이터에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종알거림이 사라진 지 오래다. 노인은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젊은이는 줄어들고 있어 안타깝다. 수명이 늘어나면서 일부일처제가 지겨운 제도라는 말을 우스갯소리처럼 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 얼마 전 모 경제신문에서 읽은 내용이다. “인간의 뇌는 몸무게의 2%를 차지한다. 그런데도 에너지의 20%를 소비하는 고비용 기관이다. 로빈 던바와 수잰 슐츠는 ‘던바의 수’라는, 포유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뇌가 가장 많은 에너지를
어떤 사람이 자신의 버킷리스트에 종점에서 종점까지 버스나 전철을 타보는 것을 담았다. ‘참 쉬운 버킷리스트구나’ 했는데 스스로 곰곰이 생각해보니 실제 그렇게 해본 일이 없다. 업무상 전철로 왕십리에서 문산까지는 자주 다녔다. 그런데 반대편으로 왕십리에서 용문까지는 가보지 못했다. 막연히 '용문에 가봐야지' 했는데 아는 선배가 용문 오일장 구경을 가자고 전화를 해왔다. 시골 출신의 시니어세대는 오일장에 대한 추억들이 있다. 어릴 적 오일장은 명절처럼 기다려지는 설렘이 있었다. 북적거리는 장터를 돌아다녀보면 어린 내 눈에는 희한하고
딸애들이 결혼을 안 하고 진드기처럼 붙어서 부모와 함께 살 때부터 알아봤다. 어느덧 우리나라 인구가 줄어들어 죽는 인구가 태어나는 아이들을 추월한단다. 인구는 늘 느는 것인 줄만 알았는데 줄기도 하는 모양이다. 우리 젊을 때 귀에 못이 박이게 듣던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하나씩 낳아도 삼천리는 초만원!’ 등의 구호가 아직 생생한데 왠지 잘 적응이 되질 않는 느낌이다. 그러나 그때로부터 불과 30여 년밖에 지나지 않은 지금 이 땅에는 ‘2305년이면 한국이 지구 상에서 사라진다’라느니 ‘북핵보다 무서운 게
얼마 전 국립극장 국악 표가 생겼는데 마침 그 날 다른 일이 있어 갈 수 없게 됐다. 요즘 공연표 가격이 보통 15만 원에서 20만 원이 넘기에 그냥 버리기엔 아까워 친구에게 양도했다. 며칠 후 공연을 보고 온 친구가 엄마를 모시고 다녀왔는데 너무 좋아하셨다며 고맙다고 했다. 그 친구는 요즘 연로하신 엄마의 버킷리스트를 만들어 하나씩 실천하는 중인데 공연이 보고 싶다는 엄마의 소원을 하나 들어드리게 되어 정말 기쁘다 한다. 엄마에게 엄마의 버킷리스트가 뭐냐고 물었다. 그 친구처럼 엄마의 버킷리스트를 하나씩 들어드리고 싶었기 때문이
베토벤 교향곡 9번, 환희의 송가를 들으며 스위스에서 삶을 마감한 호주의 생태학자(데이비드 구달)가 있다. 그는 아침에 일어나 식사를 하고 점심때까지 의자에 힘없이 앉아 있다가 약간의 점심을 먹고 다시 의자에 붙어 있어야 하는 삶이 더는 쓸모가 없다고 보고 올해 5월 자기의 삶을 안락사로 마감했다.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자존심을 지키며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고 싶다는 원초적 욕망을 창조주의 거룩한 섭리도 가로막지 못했다. 8년 전, 시골에 계신 노모의 허리가 아프다는 연락을 받았다. 단순한 허리 병으로 알고 근처 큰 병원에서 수술했
해마다 6월이 되면 우리 가족은 60년 전 납북된 시아버지를 떠올리며 착잡한 마음에 휩싸이게 된다. 한국전쟁 발발 뒤 얼마 되지 않아 시아버지는 북으로 납치됐다. 여태껏 한 번도 시아버지 소식을 들을 수 없었다. 살아 계셨다면 지금 아마 100세는 넘기셨을 텐데. 살아계실 거라는 기대를 뒤로하고 5년 전 향년 95세의 나이로 돌아가신 시어머니 기일에 맞춰 시아버지 제사도 지내고 있다. 시부모님은 일제 강점기 동경에서 유학하던 중에 만났다. 당시로써 보기 드물게 자유연애하고 결혼한 신식 커플이었다. 시어머니는 조선말 높은 벼슬에 재력
퇴직 후 숲 생태 해설가로 활동하며 ‘생강’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됐다. 생강(生薑-ginger)의 어원은 정력, 기력이며 신이 내린 정력제라고 할 만큼 효과가 있다. 공자가 생강을 좋아했다고 잘 알려졌으며, 다산 정약용 역시 생강차를 즐겨 마셨다고 전해진다. 생강은 새앙과의 풀이다. 채소 중 뿌리채소며, 약용과 식용으로 쓰이는 다년생풀에 속한다. 지하경이 굵어져서 다육한 괴상(塊狀)이 되며, 특유한 향과 매운맛이 있어 사람들이 애용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많이 쓰이는데, 생강차는 감기 예방에도 좋다. 생강
주택연금 가입은 빠르면 빠를수록 이익이다. 왜, 그럴까? 충분한 이유가 있다. 필자는 주변 사람들에게 가입을 서두르라 이른다. 우선, 주택연금 자체가 꼭 필요하고 가입 시기가 빠를수록 가입자에게 이익이 되기 때문이다. 돈을 벌 수 있는 일자리 마련이 쉽지 않고 모아둔 자금도 마땅치 않은 5060세대가 활용할 수 있는 자산은 가지고 있는 주택이다. 주택을 팔아 생활비로 쓸 수도 있으나 그럴 땐 살 집이 없어지기에 또 다른 문제를 낳는다. 따라서 살고 있는 주택을 담보로 평생 연금을 받는 제도인 주택연금이 인기다. 근래엔 가입자가 크
중학교 2학년 여름, 사춘기라서 감성에 젖어 있을 때였다. 원고지를 묶어놓고 토요일이면 시를 쓰기 시작했다. 시를 지도해 주는 사람은 없었다. 단지 감정에 취해 생각나는 대로, 내 마음대로 쓰는 것이다. 그마저도 여름 한 계절밖에 쓰지 못했다. 3학년 때, 작문시간에 글짓기를 해서 제출했는데 작문 선생님이 부르셨다. 영문도 모른 채 갔더니 이미 여러 아이가 와 있었다. 작문 선생님은 시인이신데, 우리에게 시를 한 편 지어내라고 하셨다. 당시 최종 선발된 아이들이 나를 포함해 다섯 명이었다. 그렇게 생각지도 못한 대학교 백일장에 나
세계유산(世界遺産) 이집트 최남단 아스완 지역, 수단공화국과의 국경지대에 고대 이집트 19왕조의 파라오 람세스 2세가 건설한 아부심벨 신전이 있다. 입구에 20m 높이의 거대한 석상 4개가 앉아있는 모습으로 널리 알려진 이 신전은 1817년에 발굴되었는데 아부심벨은 당시 안내를 맡았던 이집트 소년의 이름이다. 1960년대 초 아스완 하이댐의 건설로 이 아부심벨 신전이 수몰 위기에 처하게 되자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구하자는 세계적인 여론이 일어나 유네스코가 모금 운동을 펼치고 미국이 발 벗고 나서서 신전을 살리기로 하였다. 거대한
액션, 공포, 애니메이션 등 몇 장르 영화는 극도의 피로감으로 보는 게 두려울 지경이다. 반면에 시대극, 서부극, 뮤지컬, 전기 영화는 시사회 초대를 마다하지 않는다. 최근 관심 갖고 본 다큐멘터리 알렉산드라 딘의 ‘밤쉘(Bombshell: The Hedy Lamarr Story, 2017)’과 스티븐 노무라 쉬블의 ‘류이치 사카모토: 코다(RYUICHI SAKAMOTO: CODA, 2017)’는 추억을 떠올리며 공부하는 자세로 보았다. ‘밤쉘’은 ‘영화 속 가장 아름다운 여성’이란 수식어가 따라다녔던 오스트리아 출신 할리우드 여배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는 돈키호테 이야기다. 오늘날 ‘돈키호테’라는 말은 현실을 무시한 공상가에 비유하거나 그런 인물의 유형을 ‘돈키호테형’이라 부르며 쓰이고 있다. 돈키호테는 누구나 다 알고 있듯 자신이 기사라 생각하며 미친 사람처럼 보이는 행동을 하는 인물이다. 어릴 적 동화책을 통해 기억하는 그의 모습은 산초라는 좀 모자라는 듯한 하인을 거느리고 돌아가는 풍차를 악마라 여겨 공격하는 이미지였다. 그러나 이날 뮤지컬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돈키호테는 자신의 신념을 위해 열심히 나아간 순수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었다. 점점 무더
향교(鄕校)는 고려와 조선시대 지방에 설치한 국립 교육기관이다. 지방에 세운 향교는 국가가 유교 문화이념을 수용하기 위해 중앙의 성균관과 연계시켰다. 교육의 기능 외에도 지방 단위 유교적 행사를 치르는 문화기능을 담당했다. 또, 생원·진사 시험을 거쳐 성균관에 입학하고 문과 시험을 통과하여 중앙의 정치권에 진입하는 정치기능을 갖춘 곳이기도 하다. 나주 향교(사적 제483호)는 나주읍성의 서쪽 성문 밖에 자리 잡고 있다. 향교가 있어 동네 이름이 교동(校洞)인데 전국에 향교가 있는 많은 곳 또한 교동(校洞)이라고 부른다. 조선시대 교
국민대학교가 주관하는 풍류나누기 ‘명인시리즈’를 알게 된 것은 우연이었다. 국민대학교에 근무하는 동생에게서 지나가듯 들었던 것인데 이번 프로그램이 마침 판소리 공연이라는 소식에 귀가 번쩍했다. 남편이 “나이가 드니 판소리 같은 우리 가락이 좋아진다”는 말을 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 이참에 나도 한번 들어보자’라는 생각에 급히 공연장으로 향했다. 그런데 공연장의 운치 또한 그만이었다. 국민대학교 후문 옆에 멋진 고택이 자리하고 있었다. ‘명원민속관’이라는 현판이 붙어있는 60칸짜리 양반 고택인데 원래 구한말 한성판윤을 지낸
북한 핵 폐기와 관련해 원래는 C(Complete 완전한), V(Verifiable 검증할 수 있는), I(Irreversible 돌이킬 수 없는), D(Dismantlement 해체, 폐기) 즉‘CVID’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핵 폐기를 뜻한다. 최근 ‘PVID’는 ‘Complete’에서 ‘Permanent’(영구적인)라는 용어가 쓰이는데, 영구적으로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도록 핵을 폐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구적 비핵화는 완전한 비핵화 보다 강도 높은 표현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