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의 해를 맞아 연말연시 지인들과 덕담을 주고받을 때 활용할 만한 무료 모바일 연하장 5가지를 준비해봤다. •PC 이미지에 마우스를 대고 오른쪽 클릭 ‘다른 이름으로 저장’ •모바일 이미지를 길게 눌러 팝업창이 나오면 ‘이미지 저장’ 브라보 마이 라이프 독자여러분. 2023년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사드리며 2024년 새해에도 건강하고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
2024년 청룡의 해 내년 전망 전문 서적들에서 찾은 시니어 관련 5개 키워드를 소개한다. 돌봄경제 ‘트렌드 코리아 2024’ 中 돌봄은 이제 사회적 약자만이 아닌,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돌봄경제는 나의 문제인 동시에, 우리 조직과 사회의 경쟁력이다. 스마트 그레이 ‘라이프 트렌드 2024’ 中 역사상 가장 강력한 노인의 시대 예고. 핵심 소비자층으로 떠오른 상위권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 사회적 역할, 인간관계, 자산 관리 등에 주목한다. 실버 싱글 ‘2024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 中 혼자서 늙어가는
다가오는 성탄 시즌, 손주와 시간을 보낼 이들을 위해 OTT로 시청 가능한 크리스마스 소재 애니메이션 5편을 소개한다. 아더 크리스마스 (2011) 넷플릭스·시리즈온·웨이브·쿠팡플레이 제공 대대손손 크리스마스 임무를 해온 산타 가족. 실수로 선물 하나가 누락되고, 은퇴한 산타 할아버지와 손자 아더가 사건 해결에 나선다. 클라우스 (2019) 넷플릭스 시청 가능 주민들의 불화를 막으려 ‘아이들에게 장난감을 줄 테니 편지를 쓰라’고 제안한 마을 우체부와 장난감 장인. 그들의 에피소드와 우정을 그린다. 세이빙 산타 (2013) 시리즈온
세계에서 가장 죽기 좋은 나라는 어디일까? ‘죽기에 좋다’는 말이 생소하게 들릴지도 모르지만 ‘좋은 죽음’을 정의하고 준비하는 나라들이 있다. ‘잘 죽는 방법’을 고민할 이들을 위해 해외의 웰다잉 문화를 소개한다. 영국 ‘당신의 1% 찾기’ 영국의 국가 생애 말기 돌봄 프로젝트로 의사들이 생의 마지막 시간을 보내는 환자들을 파악해 돌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 캠페인이다. 다잉 매터스, 닥터스 넷, 왕립일반의사협회와 기타 주요 단체들이 협력해 완화치료 등 생애 말기 돌봄 시스템을 갖추는 데 크게 기여했다. 미국 ‘죽음 만찬’
웰다잉 문화 확산 속 주목받는 ‘온라인 추모 서비스’란 비대면으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프로필 옆 국화꽃 카카오톡 ‘추모 프로필’ 카카오톡은 올해 ‘추모 프로필’ 기능을 오픈했다. 과거에는 고인이 세상을 떠나면, 카카오톡 계정이 ‘알 수 없음’으로 변경됐다. 이제 직계가족 요청 시 추모 프로필로 전환이 가능하다. 1대1 채팅방도 이용할 수 있다. 3D 추모관 보건복지부·한국장례문화진흥원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 정부의 온라인 추모 서비스. 과거 2D에서 3D로
겨울은 시니어에게 그다지 유쾌하지 않은 계절이다. 추운 날씨 탓에 몸이 잔뜩 움츠러드는 데다 마치 몸에 기름칠이 덜 된 것처럼 허리에 뻐근함과 통증이 자주 나타난다. 겨울철 척추 질환을 완화·예방하기 위해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스트레칭으로 근육과 인대를 유연하게 만들어 보자! 브리지(허리 들어 올리기) 약해진 엉덩이 근육과 허리 뒤쪽에 신전근을 강화해 허리 안정성을 높인다. 또한 앞 허벅지 근육인 대퇴사두근을 이완시켜 신체 앞뒤 불균형을 해소하는 운동이다. 1. 척추를 완전히 붙이고 누워 두 무릎을 세운다. 양발은 골반 너비로
영양가 높고 바다의 풍미가 가득한 굴은 겨울을 대표하는 식재료다. 바다를 입에 머금은 듯한 향이 일품인 매생이는 굴과 궁합이 좋다. 추운 날씨에 속을 따뜻하게 해줄 굴국밥과 부드러운 식감의 매생이굴전을 함께 즐겨보자. 굴국밥(4인 기준) 재료 다시육수 1L, 무 1/4토막, 콩나물 한 줌, 불린 미역 종이컵 1컵, 홍고추·청양고추·달걀 1개씩, 대파 1/2개, 굴 500g, 부추·소금 약간씩, 국간장·새우젓·멸치액젓·다진 마늘·참기름·통깨 1큰술씩 1 다시육수에 채 썬 무와 국간장을 넣고 끓인다. 2 육수가 끓어오르면 콩나물을 넣
김정민은 ‘MSG워너비’ 활동 당시 ‘옛날 사람’으로 불리는 동시에 많은 20·30의 MZ세대 팬을 얻었다. 젊은 팬들의 존경의 마음을 느낀다. “사실 제가 가창력이 뛰어난 가수는 아니에요. 음색이 독특한 가수라고 생각합니다. 부족한 게 많아서 지금도 노래 연습을 열심히 합니다.” 고(故) 최진영의 ‘영원’ 리메이크곡을 발표하기까지, 걱정이 많았다. 그럼에도 용기 낼 수 있었던 건 팬들과 함께 작업해서다. “팬은‘또 다른 김정민’이죠. 저를 만들어줬고 지켜줬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팬들과 여동생, 남동생 같은 사이가 된 것 같아요.
2024 트렌드 모니터 최인수 외·시크릿하우스 리서치 전문 기업 ‘마크로밀 엠브레인’은 대중 소비자의 흐름을 분석해 트렌드를 전망한다. 2024년 핵심 키워드는 ‘피드백 부재가 낳은 고립된 개인’이다. 이토록 멋진 인생이라니 모리 슈워츠·나무옆의자 나이 듦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의 모리 교수는 주어진 시간을 ‘자기만의 세계’로 완성한다면 큰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공원의 위로 배정한·김영사 조경미학자인 저자는 국내외 여러 공원과 도시에 대한 생각을 58편의 에세이에 담았다. 공공 공간과 도시를 어
최근 ‘어싱’(맨발로 땅을 밟고 걷기)이 건강에 좋다는 입소문이 퍼지며 주변 공원의 흙길, 등산로에만 가도 맨발로 산책을 즐기는 ‘어싱족’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건강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무턱대고 맨발로 걷다 오히려 탈이 날 수 있으니 스트레칭으로 발 건강부터 챙기자. 발바닥 스트레칭 족저근막을 직접 풀 수 있는 동작으로, 족저근막의 유연성과 탄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1. 의자에 앉아 아픈 발을 반대쪽 무릎 위에 얹는다. 2. 한 손으로 발가락 전체를 감싸 쥐고 다른 손으로 엄지나 검지를 이용해 발의 움푹 들어간
아픈 무릎은 시니어에게는 일종의 훈장이다. 중장년층의 단골 질환으로 꼽히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퇴행성 관절염으로 병원을 방문한 환자, 400만 명 돌파 남성 140만 명, 여성 277만 명 2배가량 많음(‘폐경’으로 인한 호르몬 영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9년 기준 의료진이 꼽은 퇴행성 관절염 주요 원인은 ‘연골’ 무릎 연골은 우리가 걷거나 뛸 때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핵심 조직이다. 그러나 연골에는 신경이 존재하지 않아 연골이 손상되거나 얇아지는 것을 알기 어렵다. 무엇보다 퇴행성 관절염은 회복이 힘들다.
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방법이 있다. 바로 투자다. ’성덕 애널리스트’라 불리는 이현지 유진투자증권 리서치 센터 선임연구원은 말한다. “투자를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좋아하는 분야부터 시작하세요.” 단순한 덕질 대상으로 여겨지던 엔터테인먼트는 K-콘텐츠의 약진과 함께 유망한 성장 분야로 자리매김했다. 투자자들은 콘텐츠를 즐기는 동시에 주가 차트를 들여다보는 중이다. 이현지 선임연구원는 성장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엔터주를 지금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제가 엔터주를 좋게 보는 이유는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에요. 시장이 성장 초
➊ 가입은 언제? 집값 하락 추세에는 빨리 가입하는 것이 유리, 집값 상승 추세에는 늦추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주택가격이 급등해 공시 가격을 초과하면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➋ 종신 VS 확정 주택연금은 평생 받는 ‘종신지급방식’과 10~30년까지 일정 기간 받는 ‘확정기간방식’이 있다. 국민연금 수령금액이 많지 않고 활용할 다른 자산이 없다면 ‘종신지급방식’이 안정적이다. ➌ 고금리 VS 저금리 주택연금 가입 후 금리가 올라도 기존가입자 월지급금은 가입 당시 정해진 금액을 평생 보장 받는다. 다만, 주택
아직 국내에 실버타운에 대한 법적 정의가 미비하다. 때문에 요양원, 양로원, 요양병원 등과 헷갈려 하는 이가 적지 않다. 여러 형태의 노인 주거 시설 중에서도 가장 헷갈려하는 요양원과 비교해 실버타운의 특징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➀ 입소자격 실버타운: 만 60세 이상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건강한 노인 요양원: 장기요양등급 1~2등급 판정 노인 ➁ 주거 형태 실버타운: 단독 공간으로 원룸 또는 투룸 요양원: 1인 이상 다인실 ➂ 비용 부담 실버타운: 보증금 및 생활비 자기 부담 100% 요양원: 정부 보조금 지원 가능 ➃ 제공 서
가을이면 바다와 산에서도 고기가 나온다. 고기의 쫄깃탱글한 식감을 연상케 하는 대하와 표고버섯이다. 칼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곳곳에서 축제가 열릴 정도로 대하는 가을 대표 별미다. 표고버섯은 사시사철 나지만, 건조한 가을에 낮은 기온에서 재배된 것이 가장 맛있다. 두 재료로 가을을 즐겨보자. 가을 대하찜(4인 기준) 재료 대하 800g, 오이 1/2개, 당근 1/3개, 홍고추·청양고추 1개씩, 달걀 2개, 소금·후추 약간씩 1 대하의 머리와 꼬리를 제외하고 껍데기를 제거한 뒤 등 쪽에 칼집을 내어 내장을 제거하고 흐르는 물에 씻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