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쁠 때는 노래의 멜로디가 들리고, 슬플 때는 노래의 가사가 들린다는 말이 있다. 음악을 듣는 건 어떤 마음을 느끼는 행위일지도 모른다. 1980~90년대 포크밴드 ‘동물원’의 멤버로 활약했던 가수 김창기는 서정적인 노랫말로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런 그가 기타를 세심하게 매만지던 손으로 초크 대신 펜을 들고 음악과 삶에 관한 얘기를 독자에게 들려주고자 한다.
“당신을 처음 보았을 때 난 당신의 눈에서 태양을 보았고, 달과 별은 당신이 이 공허하고 어두운 세상에 내린 선물이라 여겨졌죠. 우리의 사랑은 이 세상을 가득 채울 것이고, 이 세상이 끝날 때까지 지속할 것임을 알았죠.” 첫눈에 반할 때 뇌에서 분비되는 ‘도파민’이 찰찰 넘치는 노랫말이다. 내게도 이 노랫말과 같은 순간이 있었다.
아내를 처음 본 순간을 잊을 수 없다. 짧은 연애 후 실연 9년 차였던 때, 다시는 사랑이란 없을 줄 알았던 내게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갑작스러운 순간이었다. 지진이나 눈사태같이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거대한 힘에 휩쓸리듯 그녀에게 빠져들었다. 동시에 오랫동안 억압되어 있던 희망과 기쁨이 풍성한 거품처럼 ‘펑’ 터지며 하늘 높이 쏘아 올라간 것 같다고 할까?
앞서 소개한 노래는 1950년대 포크송인데, 한국으로 치면 트로트의 여왕 ‘주현미’ 같은 소울의 여왕 ‘로버타 플랙’이 리메이크해서 1969년에 발표한 그녀의 데뷔곡이다. 녹음할 때 편곡자가 좀 더 빠르고 멋지게 편곡을 하자고 했는데, 플랙은 이렇게 느리고 간결하게 하지 않으면 하지 않겠다고 했다.
당연히 노래는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그런데 1971년 배우이자 감독인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운전을 하고 가다가 우연히 이 노래를 라디오에서 들었다. 이스트우드는 다음 주유소에서 전화를 걸어, 자기가 준비 중인 영화에 이 노래를 꼭 쓰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그 영화가 바로 유명한 스토커 스릴러 ‘어둠 속에 벨이 울릴 때’다. 그 영화 덕분에 노래는 뒤늦게 대 히트곡이 됐다.
어두운 곳을 환히 비추는 사랑
알다시피 도파민에 의한 사랑의 유효 기간은 3년 정도다. 미칠 것처럼 뜨겁던 시간이 지나고 식어버린 사랑은 사랑이 아닐까? 본능적 사랑이 끝난 것일 뿐이다. 그 고개를 넘으면 진짜 ‘사랑’이 싹트기 시작한다. 서로를 연인으로만 보는 사랑이 아니라, 서로의 부족함을 수긍하며 감싸고 고마워하며 믿어주는 사랑이 비로소 시작된다. 평소엔 파트너였다가 힘들 때는 서로에게 부모처럼 크고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것이다. 서로를 잘 알기에 서로에게 너그럽고 융통성 있는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사이.
도파민은 중독성이 있어 갈수록 더 강력한 자극을 원하지만, 인간은 현명해서 파멸로 이끄는 본능으로부터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 대표적인 능력이 사랑이다. 자신과 소중한 사람들을 지키는 현실적 사랑, 보호받을 때와 소중한 누군가를 보호해줄 때 몸에 흐르는 ‘옥시토신’을 추구하는 사랑. 그런 따뜻하고, 일관적이고, 민감하고, 관계 개선을 잘하는 진짜 사랑. 그게 오래가는 사랑이다.
눈에 콩깍지가 씌어서 잘못된 선택을 할 수도 있다. 과도한 결핍이나 부정적인 경험은 경험과 반대되는 쪽을 선택하게 만들고,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했던 사람은 사랑을 잘 몰라서 과도한 기대를 할 수도 있다. 만일 ‘도파민적’ 사랑이 끝나고 상대방을 도저히 ‘옥시토신적’으로 사랑할 수 없다면 자신의 잘못된 선택을 인정하고 헤어지거나, 대안이 없을 땐 적응하도록 더 힘겨운 노력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
그렇게 왜곡된 사랑의 이유와 환상을 가지지 않았더라도 사랑을 지켜나가기는 힘들다. 사랑을 지키려면 함께 노력해야 하고, 좀 더 강하고 현명한 쪽이 늘 양보하고 더 노력해야 한다. 그럴 수 있는 사람이 그럴 수 없는 사람을 도와줘야 하니까. 보통의 관계에서 내가 상대방에게 10을 주면 상대방은 3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상대방은 10을 줬다고 하는데 나는 3도 못 받곤 한다. 나머지 7은 어디로 간 것일까? 그 7은 상대방이 원치 않는 엉뚱한 곳에 던져 실종된 것이다.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 파악해야 더 효과적인 사랑을 할 수 있다.
그럼 이런 방법도 있다. 먼저 내가 원하는 사랑을 절반으로 줄여서 기대를 낮추는 건 어떨까? 왜 나만 손해 봐야 하냐고? 그럼 내가 받고 싶은 사랑의 절반만 주고, 5를 주면 1.5를 받는 것을 수긍하자. 그러면 조금 덜 억울하고, 가늘지만 끊어지지 않을 사랑을 유지할 수 있다. 사랑이 없으면 이 세상은 플랙의 노래처럼 ‘공허하고 어두운 곳’이 되니까. 믿음과 소망과 사랑 중 사랑이 가장 중요하니까.
The First Time Ever I Saw Your Face - Roberta Flack원곡은 영국 포크송의 아이콘 ‘이완 매콜’이 작곡했다. 싱어송라이터이자 극작가, 배우, 사회운동가였던 그는 미래 자신의 세 번째 부인이 될 페기 시거를 오디션에서 처음 본 후 이 곡을 작곡했다. 막 활동을 시작한 로버타 플랙은 데뷔 앨범 ‘First Take’를 위해 이 곡을 리메이크했다. 처음에는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한편 배우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이 곡을 자신의 감독 데뷔작 ‘어둠 속에 벨이 울릴 때’에 삽입한다. 이후 이 곡은 1973년 그래미 시상식에서 그해의 음반상을 받았고, 플랙은 R&B 가수로서 성공적인 음악 인생을 이어갔다. 뿐만 아니라 이 곡은 최초의 유인 달 탐사선 아폴로 17호가 지구를 떠난 지 9일째 되는 날 우주 비행사를 깨우는 음악으로 사용됐다. 지구를 넘어 우주에서도 울려 퍼지는 영광을 얻은 것이다.